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

 



[image]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총연장'''
'''20,710 km'''
'''기점'''
일본 도쿄
'''주요 경유국가'''
대한민국
북한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미얀마
이란
인도
'''종점'''
터키-불가리아 국경
'''주요 교차도로'''
아시아 고속도로 6호선
1. 개요
2. 경유 도시
2.1. 일본
2.2. 대한민국
2.3. 북한
2.4. 중국
2.5. 베트남
2.6. 캄보디아
2.7. 태국
2.8. 미얀마
2.9. 인도/방글라데시
2.10. 파키스탄
2.11. 아프가니스탄
2.12. 이란
2.13. 터키

[clearfix]

1. 개요


일본도쿄를 출발점으로 하여 대한민국, 북한,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미얀마, 이란, 인도를 거쳐 터키불가리아의 국경선을 종착점으로 하는 아시안 하이웨이의 노선 중 하나로, 총연장은 '''20,710 km'''로, '''아시안 하이웨이 노선 중에서 가장 긴 노선이다.'''
종점에서는 유럽 고속도로망과 연결되어 있으며 대한민국과 일본 사이를 연결하는 대한해협 노선은 카페리로 연결되어 있으며, 종점인 터키에서는 유럽 고속도로 E80을 따라 불가리아, 세르비아,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을 거쳐 포르투갈 리스본에 이른다.

2. 경유 도시



2.1. 일본


[image]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시점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일본)
노선
소재지
에도바시 분기점
수도고속도로 도심환상선
도쿄
수도고속도로 시부야선
도쿄
도메이고속도로
도쿄 - 나고야
메이신고속도로
나고야 - 교토 - 스이타
주고쿠자동차도
스이타 - 고베
산요자동차도
고베 - 야마구치
주고쿠자동차도
야마구치 - 시모노세키
칸몬자동차도(칸몬 대교)
시모노세키 - 기타큐슈
규슈자동차도
기타큐슈 - 후쿠오카
후쿠오카고속도로 카스야선
후쿠오카
후쿠오카고속도로 카시선
후쿠오카
후쿠오카 시내도로
(히가시하마IC-하카타항 국제터미널)
후쿠오카
하카타항 국제터미널에서 카페리로 연결
일본 후쿠오카 시 하카타항국제터미널에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까지는 카페리(뉴카멜리아호)로 연결한다. 뉴카멜리아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항목 참조. 추후 한일해저터널로 연결 구상이나 실현 여부는 불투명하다.

2.2. 대한민국


[image]
'''경부고속도로에 설치된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표지판'''
우선 대한민국 구간중 일부를 보면 경부고속도로 전구간[1], 경부간선도로, 한남대교, 남산1호터널, 퇴계로, 통일로 전구간이 지정되어있는데, 이 구간들은 현재 일부 구간 공사중인 평택파주고속도로가 완전 개통될 시 약간의 변동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16년 4월 29일에 수원-광명 구간이 개통하였고, 2020년 11월 7일에 서울-문산 구간이 개통되었다. 문산 측 종점에서 가까운 산단IC가 추후 평양개성고속도로와의 직결을 대비한 형태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추후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더더욱 높다. 자세한 것은 평택파주고속도로 항목 참고.
그리고 현재 지정되어있는 남산1호터널퇴계로는 '''악명높은 헬게이트'''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판교에서부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아시안 하이웨이 이 기능을 하고 있다.
현재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으로 지정된 대한민국 구간은 아래와 같다.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한국)
노선
소재지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에서 카페리로 연결
충장대로 ( )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 부산시 동구
번영로 ( )
부산시 동구 - 금정구
경부고속도로 ( )
부산광역시 금정구 - 서울특별시 서초구
경부간선도로
서초구 - 강남구
한남대로(한남대교) ( )
강남구 - 용산구
삼일대로 ( )
용산구 - 중구
퇴계로 ( )
중구
통일로([include(틀:노선번호/시도2, n=21)])
중구 - 은평구
통일로(1번 국도 )
은평구 -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희망로[2]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 군사분계선
남북 도로 연결(개성공단 진입로)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의 경우 수원문산고속도로로 바뀐다면 경부고속도로 지정범위를 동탄JC까지로 축소하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동탄-서오산JC)를 잠시 넣어서 수원문산고속도로에 편입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2.3. 북한


앞서 대한민국 구간 문단에서 서술하였듯, 수원문산고속도로평양개성고속도로와 직결할 예정이기에 직결 고속도로로 따로 문산개성고속도로가 계획중이기에 북한 구간도 일부 변동이 있을 수 있다.
남북 단절로 인해 사실상 끊겨 있다. 경부고속도로 - 신갈 - 영동고속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를 경유해 인천국제여객터미널에서 단둥행 카페리를 타면 되긴 하다. 하지만 러시아행 카페리와 달리 중국행 카페리는 국제운전면허증 미인정 등의 문제로 자가용 선적이 매우 어렵다. 2007년경 잠깐 허용된 적이 있었지만 2008년 올림픽 때 보안 강화를 이유로 막아버렸다.
현재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으로 지정된 북한 구간은 아래와 같다.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북한)
노선
소재지
남북 도로 연결(희망로)
1번 국도[3]
개성공단 - 개성특급시
개성평양간 고속도로
개성특급시 - 평양직할시
평양묘향산간 고속도로
평양직할시 - 평안남도 안주시
1번 국도
평안남도 안주시 - 평안북도 신의주시
중국 G304

2.4. 중국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중국)
노선
소재지
1번 국도
G304
신의주시 - 단둥
G1113
단둥 - 선양시
G1(베이징-하얼빈 고속공로)
선양시 - 베이징
G4(징강아오고속공로)
베이징 - 광저우[4]
G1501
광저우
G80(광저우 - 쿤밍 고속공로)
광저우 - 난닝
G7211(난닝 - 요우이관 고속공로)
난닝 - 핑샹
QL1A(베트남 국도와 연결)

2.5. 베트남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베트남)
노선
소재지
G7211
QL1A
난닝 - 하노이 - 호치민
QL22
호치민 - 목바이
NR1

2.6. 캄보디아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캄보디아)
노선
소재지
QL22
NR1
목바이 - 프놈펜
NR5
프놈펜 - 포이펫
33번 고속도로

2.7. 태국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태국)
노선
소재지
NR5
33번 고속도로
아란야프라텟 - 힌콩
32번 고속도로
왕노이 - 나콘사완
1번 고속도로
나콘사완 - 딱
12번 고속도로
딱 - 메솟
8번 고속도로

2.8. 미얀마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미얀마)
노선
소재지
태국 5번 고속도로
8번 고속도로
미야와디 - 양곤
양곤-만달레이 고속도로
양곤 - 만달레이
7번 고속도로
만달레이 - 타무
NH39

2.9. 인도/방글라데시


구간이 두번 등장한다. 중간에 방글라데시가 껴있는지라 가로질렀다 나오기에 두번 거친다.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인도/방글라데시)
노선
소재지
7번 고속도로
NH39
모레 - 디마푸르
NH36
디마푸르 - 나가온
NH37
나가온 - 조라밧
NH40
조라밧 - 실롱 - 다우키
방글라데시
N2
타마빌 - 다카
N5
다카 - Paturia 페리터미널
카페리 이용
N7
Daulatdia 여객선터미널 - 제소르
N706
제소르 - 베나폴
인도
NH35
베나폴 - 캘커타
NH19
캘커타 - 뉴델리
NH1
뉴델리 - 아따리
파키스탄

2.10. 파키스탄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파키스탄)
노선
소재지
인도 NH1
-
아따리 - 라호르
M-2
라호르 - 이슬람바드
M-1
이슬람바드 - 페샤와르
N-5
페샤와르 - 토르캄
아프가니스탄

2.11. 아프가니스탄


  • 잘랄라바드 - 카불 - 칸다하르 - 딜라람 - 헤랏 - 이슬람 칼라
아프가니스탄의 상황이 워낙 막장이라 제 구실을 하지 못한다. 북한과 달리 국경이 폐쇄된 것은 아니지만... 이란과 파키스탄은 국경을 접하기 때문에 아프가니스탄을 우회할 수 있다.

2.12. 이란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이란)
노선
소재지
아프가니스탄
36번 도로
이슬람 칼라 - 타이바드
97번 도로
타이바드 - 상 바스트
44번 도로
상 바스트 - 테헤란
2번 고속국도
테헤란 - 타브리즈
32번 도로
타브리스 - 바자르간
D.100

2.13. 터키


대부분의 구간이 유럽 고속도로 80호선과 중첩되며, 사실상 종점인 불가리아 국경에서 유럽 고속도로 80호선과 직결된다.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터키)
노선
소재지
32번 도로
D.100
귀르불락[5] - 시와스
D.200
시와스 - 앙카라
O.4
앙카라 - 이스탄불
O.2
이스탄불
O.3
이스탄불 - 카프쿨레[6]
유럽 고속도로 E80

[1] 엄밀히 말하면 부산시점에서 구서IC까지 고시된 구간(0.6km)은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이 아니지만, 구간이 너무나도 짧고 접속도로 개념이라 별로 의미없기 때문에 사실상 전구간이라 해도 무방하다.[2] 실질적인 1번 국도의 역할을 한다. [3] 남한에서 부르는 이름이다. 현재 북한에는 국도가 없고 대신 1급도로라고 부른다.[4] 중간에 우한 시내 서쪽을 통과한다.[5] 이란-터키 국경[6] 터키-불가리아 국경. 참고로 터키-그리스 국경인 우준쾨프뤼가 4km 남쪽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