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
[clearfix]
1. 개요
일본의 도쿄를 출발점으로 하여 대한민국, 북한,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미얀마, 이란, 인도를 거쳐 터키와 불가리아의 국경선을 종착점으로 하는 아시안 하이웨이의 노선 중 하나로, 총연장은 '''20,710 km'''로, '''아시안 하이웨이 노선 중에서 가장 긴 노선이다.'''
종점에서는 유럽 고속도로망과 연결되어 있으며 대한민국과 일본 사이를 연결하는 대한해협 노선은 카페리로 연결되어 있으며, 종점인 터키에서는 유럽 고속도로 E80을 따라 불가리아, 세르비아,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을 거쳐 포르투갈 리스본에 이른다.
2. 경유 도시
2.1. 일본
일본 후쿠오카 시 하카타항국제터미널에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까지는 카페리(뉴카멜리아호)로 연결한다. 뉴카멜리아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항목 참조. 추후 한일해저터널로 연결 구상이나 실현 여부는 불투명하다.
2.2. 대한민국
우선 대한민국 구간중 일부를 보면 경부고속도로 전구간[1] , 경부간선도로, 한남대교, 남산1호터널, 퇴계로, 통일로 전구간이 지정되어있는데, 이 구간들은 현재 일부 구간 공사중인 평택파주고속도로가 완전 개통될 시 약간의 변동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16년 4월 29일에 수원-광명 구간이 개통하였고, 2020년 11월 7일에 서울-문산 구간이 개통되었다. 문산 측 종점에서 가까운 산단IC가 추후 평양개성고속도로와의 직결을 대비한 형태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추후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더더욱 높다. 자세한 것은 평택파주고속도로 항목 참고.
그리고 현재 지정되어있는 남산1호터널과 퇴계로는 '''악명높은 헬게이트'''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판교에서부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아시안 하이웨이 이 기능을 하고 있다.
현재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으로 지정된 대한민국 구간은 아래와 같다.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의 경우 수원문산고속도로로 바뀐다면 경부고속도로 지정범위를 동탄JC까지로 축소하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동탄-서오산JC)를 잠시 넣어서 수원문산고속도로에 편입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2.3. 북한
앞서 대한민국 구간 문단에서 서술하였듯, 수원문산고속도로가 평양개성고속도로와 직결할 예정이기에 직결 고속도로로 따로 문산개성고속도로가 계획중이기에 북한 구간도 일부 변동이 있을 수 있다.
남북 단절로 인해 사실상 끊겨 있다. 경부고속도로 - 신갈 - 영동고속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를 경유해 인천국제여객터미널에서 단둥행 카페리를 타면 되긴 하다. 하지만 러시아행 카페리와 달리 중국행 카페리는 국제운전면허증 미인정 등의 문제로 자가용 선적이 매우 어렵다. 2007년경 잠깐 허용된 적이 있었지만 2008년 올림픽 때 보안 강화를 이유로 막아버렸다.
현재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으로 지정된 북한 구간은 아래와 같다.
2.4. 중국
2.5. 베트남
2.6. 캄보디아
2.7. 태국
2.8. 미얀마
2.9. 인도/방글라데시
구간이 두번 등장한다. 중간에 방글라데시가 껴있는지라 가로질렀다 나오기에 두번 거친다.
2.10. 파키스탄
2.11. 아프가니스탄
- 잘랄라바드 - 카불 - 칸다하르 - 딜라람 - 헤랏 - 이슬람 칼라
2.12. 이란
2.13. 터키
대부분의 구간이 유럽 고속도로 80호선과 중첩되며, 사실상 종점인 불가리아 국경에서 유럽 고속도로 80호선과 직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