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버워치/성우
1. 개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FPS 게임 오버워치에 출연하는 성우 목록.
신규 캐릭터의 음성이 추가될 때마다, 한국 오버워치 공식 홈페이지에서 성우진 목록을 갱신해 준다. 시네마틱 영상에만 등장하는 캐릭터는 대부분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로 찾아야 하지만, 역으로 말하면 인게임 상의 성우진은 모두 공지하고 있기 때문에 어렵게 찾아다니지 않아도 된다. 이 때문에 다른 프랜차이즈 게임에 비해 성우진에 관한 잘못된 추측이 비교적 적은 편이다.[1]
성우진은 연령대와 경력이 매우 다양한 편이다. 고령의 베테랑 성우부터 데뷔 경력이 짧은 편인 신인 성우까지 폭이 넓고, 성우 소속 역시 고루 분포되어 있고, 인게임 상에서는 중복 캐스팅 또한 없기 때문에 다양한 성우의 연기를 감상할 수 있다. 또한 모국어를 사용하는 캐릭터의 경우 해당 언어에 능한 성우를 캐스팅하거나, 아니면 별도의 사람을 붙여서 해당 언어를 자연스럽게 연기할 수 있게 지도해주기도 한다. 하지만, 마찬가지로 모국어 연기가 있음에도 이를 연기하지 않거나, 아니면 모국어 연기를 했음에도 편집 과정에서 빠지게 된 케이스도 존재하는 등 다양한 사항이 있다.
한편 일본판도 한국판만큼은 아니지만 성우진이 화려한 편인데 한국판보다는 연기 퀄리티가 나쁘다는 평이 많다. 특히 아이러니 하게도 자국인 일본 캐릭터인 한조와 겐지의 일본판 성우들은 캐릭터와 미스매치라며 무척 까이고 있다. 도리어 한국판 성우인 한신과 김혜성이 낫다는 평이 더 많다.[2] 또 다른 문제는 캐릭터 대사 및 인터페이스를 모두 일본 미디어물 풍으로 현지화를 했기 때문에[3] 현지화에 힘쓴 타국판보다 저평가를 받으며 그 중에서도 모국어들을 하나도 남김없이 일본어로 바꾸거나 일본풍으로 바꾼 것이 미스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개명과 현지화가 심한 중화권판보다도 심한 수준.[4] 다만 중국판은 한미일 양국 성우들보다 퀄리티가 비교적 떨어지고 대부분의 기합 소리들을 모두 북미 원판으로 재탕했다.[5]
한국 더빙판은 그 나라 말을 할 줄 아는 성우를 기용했다면, 북미판은 영어를 할 줄 아는 그 나라 성우를 썼다는 느낌이 강하다. 그러나 아무리 영어를 한다곤 해도 역시 외국어와 모국어는 다른 건지, 한국만 봐도 북미 디바보다 우리나라 디바가 한국어 연기 면에선 훨씬 자연스럽고, 프랑스판 위도우메이커와 북미판 위도우메이커는 같은 성우가 맡았으나 성우의 모국어인 프랑스판 쪽의 연기력이 훨씬 고급진 편이다. 같은 예로 중국어판 메이나 대만어판 메이도 그러하다. 물론 북미측에서는 '가장 어울리는 성우'를 찾다보니 그렇게 된 것일 뿐, 라인하르트와 루시우의 성우는 독일어와 브라질식 포르투갈어를 거의 할 줄 모르지만, 특유의 열혈기와 흥겨움을 살려, 자기 배역에 걸맞는 연기를 보여주었다.
2. 인게임
- 모국어 연기가 있는 캐릭터는 ★로 표시.
- 기침 소리나 기합 소리 등을 포함, 북미 원판 성우의 모국어 연기를 일부 채용한 캐릭터는 ☆로 표시.
- 북미 원판 성우의 음성을 그대로 채용한 캐릭터는 ✡로 표시.
2.1. 영웅
- D.Va - 김현지 ★[6] (CJ E&M 6기)
- 겐지 - 김혜성 ★ (대원 3기)
- 둠피스트 - 안장혁 (MBC 11기)
- 라인하르트 - 권혁수[7] (MBC 7기)
- 레킹볼 - 디 브래들리 베이커 ✡ (본체)[공] , 한복현 (로봇. KBS 35기)
- 로드호그 - 김대중 ☆[8] (KBS 30기)
- 루시우 - 이호산 ★ (CJ E&M 6기)
- 리퍼 - 신용우 ★[9] (CJ E&M 5기)
- 맥크리 - 곽윤상 ★[10] (KBS 30기)
- 메르시 - 이현진 ★ (CJ E&M 1기)
- 메이 - 전숙경 ★ (KBS 29기)
- 모이라 - 이미나 ★ (대원 1기)
- 바스티온 - 크리스 멧젠 ✡[공]
- 바티스트 - 최승훈 ★ (CJ E&M 6기)
- 브리기테 - 문유정 ★ (대원 3기)
- 솔저: 76 - 김승준 (KBS 22기)
- 솜브라 - 김연우 ★ (대원 4기)
- 시그마 - 정승욱 ★ ☆[11] (CJ E&M 1기)
- 시메트라 - 임윤선 ★[12] (CJ E&M 8기)
- 아나 - 이선주 (MBC 8기) → 이영리 ☆[13] (대교 1기)
- 애쉬 - 사문영 ★[14] (KBS 36기)
- 에코 - 안소연 (KBS 23기) [15]
- 오리사 - 강시현 (대원 4기)
- 위도우메이커 - 이지현 ★ (대원 1기)
- 윈스턴 - 임채헌 ☆[16] (KBS 28기)
- 자리야 - 양유진 ★ (KBS 33기)
- 정크랫 - 진정일 ★[17] ☆[18] (EBS 22기)
- 젠야타 - 안효민 (대원 3기)
- 토르비욘 - 이재범 ☆[19] (대원 2기)
- 트레이서 - 박신희 ★[20] (MBC 16기)
- 파라 - 조현정 (MBC 16기)
- 한조 - 한신 ★ (CJ E&M 8기)
2.2. 아나운서
2.3. NPC
3. 시네마틱
- 시마다 소지로 - 성완경 (KBS 23기)
- 쓰레기촌 여왕 - 김현심 (CJ E&M 6기)
- 에피 올라델레 - 김새해 (CJ E&M 7기)
- 카티야 볼스카야 - 김은아 (EBS 20기)
- 해롤드 윈스턴 - 장민혁 (KBS 32기)
- 테카르타 몬다타 - 김영찬 (CJ E&M 6기)
- 발데리히 폰 아들러 - 소정환 (CJ E&M 7기)
- 대현 - 손수호 (CJ E&M 9기) [21]
- 알레한드라 - 박지윤 (KBS 31기)
[1] 스타크래프트 2도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까지는 대부분의 성우진을 크레딧에 실었다가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부터는 크레딧에 성우진이 빠진 탓에 추측이 늘어나버렸다. 따라서 이 문서의 목록도 위의 링크에 등재되지 않은 성우와 배역은 그저 참고만 할 것을 추천한다.[2] 특히 한국판 한조 한신의 연기는 몇몇 해외의 오버워치 팬들도 호평할 정도다.[3] 일본인들은 일상 생활에서 영어 단어를 자주 쓰기 때문에 영어로 된 단어를 대부분이 일본어로 번역되지 않고 그대로 가타카나로 음역되었다.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도 마찬가지로 스타크래프트 2의 완역판이 아닌 음역판만 있다.[4] 영웅들의 이름은 중국식으로 번역되었으나 모국어 대사들은 북미 원판 것을 쓰거나 중국 성우가 재녹음하였다.[5] 대표적으로 라인하르트 돌진 음성.[6] 한국어판에선 모국이 한국이다보니 거의 모든 연기가 모국어인 셈이지만, 영어를 쓰는 북미판에선 일부 한국어 대사를 들을 수 있다.[7] 오버워치 성우 중 최고령이자 남자 성우진 중에서는 최고참.[공] A B 13개국어판 모두에서 영어판 연기자의 목소리가 사용되었다.[8] 궁극기 음성을 비롯한 대부분의 기합 소리.[9] 영어권 캐릭터다보니 인삿말로 "헤이(Hey)"이외의 몇가지만 존재한다. 너무 짧고 기본적인 영어 인삿말이지만 일단 모국어이긴 하다(...)[10] 궁극기 발사 대사가 유일한 영어 대사로 존재한다. [11] 빠른 근접 공격 기합, 사망 등[12] 오버워치 성우 중 최연소[13] 모든 아랍어 대사를 북미판으로 채용.[14] 역시 영어권 캐릭터이기에 수가 적고 길이도 짧다.[15] 오버워치 참가 여자 성우 중 최고참이자 최연장자.[16] 궁극기 음성 한정. 참고로 궁극기 음성은 세계 공통이다.[17] 호주의 인삿말인 "G'day, mate!(그데이, 메이트! / 안녕, 친구!)"가 있다. [18] 대부분의 웃음소리나 기합 소리가 원판의 음성이다. 다만, 진정일과 크리스 파슨의 연기 톤이 비슷해서 크게 부각되진 않는다.[19] 감정 표현 중 '열받음'의 음성으로 북미판의 것을 채용.[20] 영어 연기를 녹음한게 있으나 인게임에 거의 반영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도 일단 인사 중에서 "하이(Hi)"하나는 살아남았다.[21] 경력상 막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