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보(유희왕/카드군)
1. 개요
유희왕을 상징하는 마스코트. 동글동글한 몸통과 커다란 눈동자의 귀여운 외모가 특징인 카드들로, 유희왕의 주인공 덱에서 한번씩은 꼭 나오는 전통이 있다.
이전까지는 '크리보'를 카드군으로 지정하는 카드 없이[1] 그냥 이름대로 밤(くり)처럼 생긴 일러스트를 공유할 뿐이었지만, 유우기 스트럭처 덱에서 크리보온이 등장하면서 몬스터 한정으로 카드군이 되었다. 참고로 카드군 지정이 이름 뒤에 장음까지 포함시켜('''クリボー''') 지정하기 때문에 장음이 들어가지 않는('''クリボ''') 크리본과 크리볼트는 카드군으로 취급되지 않는다.
일러스트뿐만 아니라 효과도 비슷한 면이 있는데, 대체로 전투 및 효과 데미지를 막아주거나, 몬스터를 전투 파괴에서 지키는 등 '''플레이어와 다른 몬스터들을 전투등에서 지켜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무지개 크리보나 상위 레벨이 존재하는 날개 크리보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레벨 1에 공방 300/200 이라는 공통점도 있다.
애니매이션에서 처음 등장하면 상대에게 공격력 낮은 쓸모 없는 몬스터라며 무시당하는 전통(?)이 있다. 하지만 언제나 그 무시당한 게임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해 듀얼을 승리로 이끈다. 대표적으로 DM에선 크리보의 증식과 기뢰화 콤보로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을 뚫었으며 GX에선 날개 크리보 LV10으로 '''VWXYZ-드래곤 캐터펄트 캐논'''을 갈아버렸다. 어찌 보면 '''세상에 쓸모없는 카드는 없으며 모든 카드에게는 의미가 있다는 주인공들의 듀얼 정신'''
2. "크리보" 몬스터
2.1. 메인 덱 몬스터
2.1.1. 크리보
2.1.2. 날개 크리보
2.1.2.1. 날개 크리보 LV9
2.1.2.2. 날개 크리보 LV10
2.1.3. 무지개 크리보
2.1.4. 정크리보
[image]
유희왕 5D's/코믹스에서 드디어 나온 후도 유세이의 크리보. 공개된 디자인은 볼트가 박혀있고 유세이와 같은 게 머리와 마커를 가지고있는 크리보이다.
유감스럽게도 원작에 비하면 효과가 좀 너프된 감이 있다. 유세이의 카드라 튜너로 나왔다면 하는 아쉬움도 있는 듯.
이 카드의 등장으로 애니뿐만 아니라 코믹스까지도 제알까지의 주인공들은 모두 크리보 시리즈를 사용한 셈이 된다.
카드 일러스트에서는 인상을 쓰고 있긴 하지만 원작 카드 일러스트에서는 무토우 유우기처럼 땡글한 눈매로 나왔다. 초기 디자인에서는 어둠의 유우기처럼 날카로운 눈매를 지니고 있었다.
'''수록 팩 일람'''
2.1.5. 새크리보
[image]
팔다리에 새크리파이스를 연상시키는 장갑을 장착한 크리보. 뒤통수에 달고있는건 다름아닌 페가서스의 천년 아이. 이름 또한 새크리파이스+크리보를 합친 말장난. 듀얼리스트 킹덤에서 증식한 크리보로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를 폭살시킨 점에서 나온 모티브인 듯.
릴리스했을 경우 드로우할 수 있고, 전투 파괴를 막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아래의 크리볼과 마찬가지로 크리보 + 가이아 = 카오스 솔저의 의식 소환에 갈아넣어서 어드밴티지 보충에 써먹는 게 좋다. 물론 새크리파이스와의 궁합도 호궁합. 의식 소환의 특성상 부족해지는 패를 조금이나마 보충할 수 있고, 새크리파이스의 주 공략법 중 하나인 두번치기의 대책도 된다.
2.1.6. 크리보르
[image]
라의 익신룡 스피어 모드와 비슷한 구체에 크리보의 눈과 팔다리가 달린 형태의 크리보.
묘지에서 제외해 의식 소환을 보조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지만, 레벨이 1밖에 되지 않아 사용 범위는 매우 제한되어 있다. 무엇보다 이것만 본다면 같은 레벨/속성/종족에 좋은 부가효과까지 달린 의식마인 디저즈에게 아득히 밀리므로 1번 효과로 방어도 하고 셀프 덤핑도 할 수 있다는 것을 살리는 것이 중요. 무지개 크리보와 비슷한 감각으로 공격을 막고 묘지에 넣어 사용할 수 있다. 사실상 같은 팩인 디멘션 오브 카오스에서 발매된 레벨 8인 초전사 카오스 솔저와 레벨 7인 기사 가이아 계열의 빈틈을 메꾸는 역할로 발매된 카드.
사족으로 이름이 크리보르라는 기묘한 이름으로 번역이 되었는데,이 카드의 일본판 이름에 크리보(クリボー)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2] 추후 크리보온이 "크리보"를 정식 카드군으로 지정하게 되면서 귀찮게 에라타할 수고를 덜게 되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제거 카드가 별로 없기에 에너미 컨트롤러, 저돌맹진 등과 함께 가장 자주 채용되는 범용 방어 카드가 되었으며 앞의 두 개와는 달리 이 카드는 몬스터 효과라 막을 방법도 거의 없다.[3][4] 공격 한번에 승패의 흐름이 뒤바뀌거나 결판나버리는 상황[5] 에서 크리보르가 툭 묘지로 던져지더니 내 공격이 씹한다고 생각하면 그야말로 피가 거꾸로 솟는 기분을 체험할 수 있다. 게다가 UR 등급이라[6] 얻는 것도 쉽지 않다.
그러나 이후 이벤트로 카이트로이드가 2장이 풀렸고 카이트로이드는 카드 트레이더에게서 상시로 얻을 수 있기에, 직공 대비책으로 크리보르만을 고집할 필요는 없게 되었다. 카이트로이드는 로이드 몬스터라 메가로이드 시티로 서치까지 되는 동시에 직공을 두 번까지 막을수 있어 직접공격 대비용으론 더욱 좋다. 때문에 크리보르는 굳이 직접공격이 아니더라도 발동한다는 점을 살려야 한다.
유희왕 VRAINS 17화에서 후지키 유사쿠가 사용... 했는데 듀얼용이 아니라 Sol 테크놀로지의 방화벽 프로그램 분쇄용으로 쓰였다. 대포알 처럼 쏘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장전 수는 3발. 참고로 이 때 성우는 5D's와 ZEXAL에서 칼리 나기사와 오모테우라 토쿠노스케를 맡은 카나다 아키.[7]
2.1.7. 클리어크리보
[image]
최강 점프 2016년 5월호 동봉. 일본을 제외한 타 국가에서는 무비팩에 수록되었다.
유희왕 신극장판에서 무토 유우기가 사용. 크림즌 노바 트리니티의 효과로 반사되는 효과 데미지를 막는데 사용했다. 이후 크림즌 노바 트리니티가 두 번째 직접 공격을 선언하자 묘지에서 이 카드를 제외하여 ②번 효과를 발동, 총 2번이나 유우기가 죽을 위기를 모면해 주었다. 유우기 본인은 연이은 듀얼로 인해 몸에 누적된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쓰러졌지만, 완전히 정신을 잃기 전에 아템이 강림, 효과로 수호신관 마하드를 드로우해 특수 소환하고 역전승을 거둔다.
'''수록 팩 일람'''
2.1.8. 크리보온
[image]
스트럭처 덱 무토 유우기 편에서 등장한 새로운 크리보이자, 크리보를 카드군으로 묶어주는 카드. 크리포톤에 이어 두번째로 빛속성 악마족이다.
일어판 카드명은 "크리보" + '''부활'''을 뜻하는 '''"리본(Reborn)"'''이지만, 하술할 크'''"리본(Ribbon)"'''과 발음이 같기도 하고 "크리보" 카드군에 정식으로 포함되느냐의 차이도 있기 때문에 크리보온으로 번역되었다.
1번 효과는 기적의 낙조, 2번 효과는 크리보 한정 소울 차지로 활용이 가능하다. 크리보온을 제외해서 묘지의 크리보들을 끊임없이 부활시켜 우주방어를 시전하거나, 크리보가 필드에 남았을 경우 엑시즈로 연결 할 수도 있다. 일단 레벨 1이기 때문에 묘지로 보내는 것은 일도 아니다. 전부 써버렸다 하더라도 이차원에서의 매장으로 재충전시키거나하면 원작에서의 크리보 무한증식을 몸소 체험해 볼 수 있다.
이 카드의 효과를 이용해 빛의 인도 '''백룡 태그 덱의 48연격을 버틴 사례가 있다!!''' 자세한 건 직접 보자.[8]
2.1.9. EM 크리보더
[image]
유희왕 ARC-V/코믹스에서 사카키 유우야가 사용한 크리보로 프리미엄 팩 19에서 OCG화 되었다.
다만 다른 크리보들에 비해 비교적 효과가 약한 편에 속하고,훨씬 유능한 레벨 1 몬스터들도 많기 때문에 자주 채용되진 않을 것 같아보인다. 일단 EM에도 속하기에 해당 덱에서도 위기를 타파하는 용으로 쓰일수는 있다.
참고로 코믹스 원작 버전의 효과는 "직접 공격 선언 시 패에서 특수소환할 수 있다. 전투 데미지를 0으로 하고 그 수치만큼 자신의 라이프를 회복한다."이다. 코믹스 버전에 비해 데미지를 받아야만 LP가 회복되는 소소한 너프를 받아왔다.
이로서 코믹스 한정으로 아크파이브까지의 모든 주인공이 크리보를 사용했다.
2.1.10. 앙크리보
[image]
V점프 2019년 4월 특대호에서 새롭게 추가되는 크리보. 수호신관 마나의 일러스트에 있었던 크리보로, 이마에 황금색의 앙크 장식이 새겨져 있다. 앙크가 아예 대놓고 이마에 박혀있어서인지 발매된지 3년이나 지난 시점에도 일본 내수판만 존재하는 상황이다.
1번 효과는 발동 타이밍이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 시로 한정되고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가 엔드 페이즈에 묘지로 보내지는, 즉 죽은 자의 소생 열화판. 발동 타이밍이 강제되어 있다는 점이 거슬리지만 상대 턴에 기습적으로 발동이 가능하다는 점이 기존 죽자소와의 차별점.
2번 효과는 전투 / 효과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진 턴의 엔드 페이즈에 덱 / 묘지에서 죽은 자의 소생을 서치하는 효과. 상대에 의해 파괴될 필요가 없으니 직접 상대 몬스터에 들이받아도 OK. 다만 공격력이 300이라서 뼈아픈 데미지를 감수해야한다. 이쪽에서 효과로 파괴시키는게 가장 무난하다.
이름의 유래는 당연하게도 앙크+크리보.
2.2. 엑스트라 덱 몬스터
2.2.1. 링크 몬스터
2.2.1.1. 링크리보
3. "크리보" 카드군 외의 카드
3.1. 크리본
항목 참조.
3.2. 크리볼트
항목 참조.
3.3. 크리포톤
항목 참조.
3.4. 크리밴디트
항목 참조.
3.5. 크리터
항목 참조.
3.6. 다락방 귀신
[image]
크리보와 딱히 연관성은 없지만 일러스트를 보면 크리보의 색변경 버전. 크리보보다 능력치가 높다. 일반 몬스터인 점, 어둠속성인점, 낮은 스탯등 다루기 쉬운 타입의 카드지만, 정작 써먹을 곳이 없다.
크리보와 똑같이 생겼지만 인지도 차이가 엄청나기에 일명 '언럭키 크리보'라고 불린다.
3.7. 링그리보
항목 참조.
3.8. 크리봇
항목 참조.
4. 관련 카드
4.1. 증식
항목 참조.
4.2. 크리보를 부르는 피리
항목 참조.
4.3. 기뢰화
항목 참조
4.4. 진화하는 날개
날개 크리보를 날개 크리보 LV10으로 진화시키기 위한 카드. 날개 크리보 항목 참조.
4.5. 마력의 광대 크러시
날개 크리보 전용 카드. 자세한 내용은 날개 크리보 항목을, 왜 이런 이상한 이름이 되었는지는 마력의 광대 항목을 참조.
4.6. 제너레이션 넥스트
5. OCG화 되지 않은 카드
5.1. 무지개빛 축복
[image]
어둠의 유우기가 오오시타 코노스케와의 듀얼에서 덱 마스터로 지정한 크리보를 대상으로 발동한 카드. 크리보가 무지개 다리를 놓고 질풍의 암흑 기사 가이아가 이 무지개 다리를 건너면서 몬스터를 넘어 코노스케에게 다이렉트 어택을 먹이면서 유우기가 승리한다.
5.2. 트윈클 파이브스타
[image]
라펠과의 듀얼에서 1, 2차전 모두 사용한 카드. 효과 발동을 위해 릴리스된 몬스터는 바포메트와 잭스 나이트.
5.3. 크리바
[image]
참고로 크리바비론 소환 효과는 상대 턴에도 가능하다.
5.4. 크리비
[image]
5.5. 크리부
[image]
5.6. 크리베
[image]
5.7. 크리바빌론
[image]
5.8. EM 클래식크리보
5.9. EM 바로크리보
[1] '날개 크리보'는 현자의 돌 - 사바티엘의 OCG화로 카드군화되어 있던 상태였다. 해당 문서 참고.[2] 비슷한 이름의 크리볼트는 끝에 장음표기가 없어서(クリボルト) 상관없다.[3] 앞의 두개는 매직 재머, 블랙 파라딘, 봉인 마법의 화살과 같은 카드들로 견제가 가능하다.[4] 있어봐야 몬스터 효과를 막는 천벌이나 신의 섭리같은 '''카운터 함정''' 뿐이지만 그거 때문에 듀얼 링크스의 20장 덱에 넣기에는 패 한장 or 몬스터 카드 한장을 버리는지라 부담이 크다.[5] LP 4천에 몬스터/마함칸 3장인 듀얼 링크스의 스피드 룰에서는 한 턴에 흐름 자체가 확 바뀌어버리는 것이 다반사.[6] 다시 말해 카드 '''600장'''이 들어있는 메인 박스에서 '''단 1장''' 나온다는 것.[7] 43화 이후로 다른 크리보 몬스터도 맡게 된다.[8] 첫 번째와 두 번째 공격은 필드 위에 있던 다우너드 매지션과 새크리보로 막고 3~18번째 공격을 크리보온의 효과로 버틴 후 이차원에서의 매장으로 크리보온 3장을 묘지로 되돌려 19~33번째 공격도 막아낸다. 이후 성급한 귀환으로 크리보온을 소환하면서 34번째 공격을 막은 후 또다시 크리보온의 효과를 발동시켜 35~39번째 공격까지 버티고,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로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를 특수 소환하여 차원유폭의 코스트로 한다. 차원유폭의 효과로 소환된 크리보온 2장으로 40번째와 41번째 공격을 버티고 효과로 48번째 공격까지 버텨내며 필드에 크리보와 새크리보를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