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데스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image] 853 케오퍼스
[image] '''854 데인차'''
[image] '''855 포트데스'''
[image] 856 몸지브림
지역 도감 나열 순서
가라르도감
접기·펼치기
본토
[image] 334 날쌩마
[image] '''335 데인차'''
[image] '''336 포트데스'''
[image] 337 에써르
왕관설원
[image] 131 메타그로스
[image] '''132 데인차'''
[image] '''133 포트데스'''
[image] 134 리오르

'''정보 내 바로가기 '''
일러스트
기본 정보
특성
세부 정보
진화
방어 상성
종족치
도감 설명
전용기
skip
1. 정보
2. 소개
3. 포획 및 스토리
4. 대전
5. 기타
6. 국가별 명칭

[clearfix]

1. 정보



[image]
[image]
데인차
포트데스

기본 정보
이름
도감 번호
성비
타입
한국어
일본어
영어
[image] 데인차
ヤバチャ
Sinistea
전국: 854
가라르: 335본토 / 132왕관설원
없음

[image] 포트데스
ポットデス
Polteageist
전국: 855
가라르: 336본토 / 133왕관설원

특성(숨겨진 특성은 *)
깨어진갑옷
물리공격을 받으면 방어가 1랭크 하락하고 스피드가 2랭크 상승한다.
*저주받은바디
기술을 사용한 상대에게 1/3확률로 그 기술을 사슬묶기 한다.

세부정보
포켓몬
분류
신장
체중
알 그룹
포획률
854 데인차
홍차 포켓몬
0.1m
0.2kg
광물/부정형
120
855 포트데스
0.2m
0.4kg
60

진화
진화
[image]
854 데인차
이빠진포트(진품) 혹은 깨진포트(가품)를 사용

[image]
855 포트데스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2배
1배
0.5배
0배





종족치
포켓몬
HP
공격
방어
특수공격
특수방어
스피드
합계
[image] 데인차
40
45
45
74
54
50
308
[image] 포트데스
60
65
65
'''134'''
114
70
508

도감 설명
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skip을 눌러주세요.

[image] 854 데인차
소드(진품)
몸에 있는 소용돌이가 약점이다. 휘저으면 형태가 무너져서 현기증을 느끼고 만다.
소드(가품)
차게 식은 남은 홍차에 외로움을 타는 영혼이 깃들어 포켓몬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실드(진품)
삼켜버린 상대의 생기를 빨아들인다. 누군가에게 삼켜지기를 기다리지만 맛이 없어서 바로 뱉어지곤 한다.
실드(가품)
거처로 삼고 있는 찻잔은 유명한 골동품 식기다. 위작이 많이 나돌고 있다.
[image] 855 포트데스
소드(진품)
매우 독특한 맛과 향을 가졌다. 신뢰하는 트레이너에게는 살짝 맛볼 기회를 준다.
소드(가품)
앤티크한 찻주전자에 산다. 대부분 위작이지만 매우 드물게 진품이 발견되기도 한다.
실드(진품)
화가 나면 차로 된 몸을 상대의 입으로 날린다. 마신 상대는 격렬한 오한에 휩싸인다.
실드(가품)
남겨진 홍차를 발견하면 자신의 몸을 흘러 들어가게 한다. 그 홍차는 포트데스가 된다.


전용기
접기·펼치기


2. 소개


'''독특한 맛과 향이 나는 홍차'''
홍차로 만들어진 포트데스의 몸은 매우 독특한 맛과 향을 가진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신뢰하는 트레이너에게만 맛을 보게 해준다고 합니다.
단, 너무 많이 마시면 더부룩함이나 복통 등의 이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호텔과 레스토랑의 골칫거리'''
포트데스 중 다수는 호텔이나 레스토랑 안에 있는 수많은 식기들 틈에 섞여서 생활한다고 합니다.
마시다 남은 홍차에 자신의 힘을 주입해서 동료를 늘리는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골칫거리 취급을 받습니다.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공식 사이트의 포트데스 소개 페이지에서
포켓몬스터소드·실드 등장 고스트 단일 타입 신 포켓몬. 모티브는 찻주전자 + 폴터가이스트. 특이하게 찻잔/포트에 상표가 있냐 없냐[1]에 따라서 모습이 아주 미묘하게 다르고, 진화 아이템[2] 역시 다르다. 진품이 더 희귀하지만, 성능에는 차이가 없다. 참고로 진품을 구해 알을 까도 자식 세대는 무조건 가품이 태어나기 때문에 실전에서 진품을 쓰고 싶다면 민트랑 대단한 특훈이 필수다.
위 이미지에서 나오는 모습 이외에도 찻주전자 바닥이나 주둥이에서도 얼굴이 튀어나온다.

3. 포획 및 스토리


스토리 진행 가능 작품
SwSh
포지션
서브 화력형 특공
장점
높은 특공과 자력으로 배우는 랭업기로 스윕가능
단점
낮은 출현율,[3] 넓지는 않은 기술폭
추천 도구
저주의부적, 기합의띠
보좌 가능한 스타팅 포켓몬
에이스번
추천 기술배치
섀도볼/기가드레인/사이코키네시스/나쁜음모[4]
참고
진품 마크를 확인하고 싶다면 다이맥스떨어뜨리기를 쓰는 것을 추천한다.
데인차가 루미너스메이즈숲에 서식하며 10%확률로 출현하지만, 워낙 출현 포켓몬이 많아 실제 체감 출현율은 그다지 높지는 않은 편. 게다가 10% 출현율도 '가품'의 경우이며, '진품'의 경우 1% 확률이기 때문에 진품으로 키우고 싶다면 시간 소모는 작정하고 파야한다. 진화에 필요한 도구인 '이빠진포트'나 '깨진포트'는 루미너스메이즈숲 이전에 있는 래터럴마을 득템가게에서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진화 자체는 빠르다.

4. 대전


단일 고스트 타입으로, '유령'의 형체 비슷한 고스트 타입이면서도 물리적인 공격을 받아 활성화되는 '깨어진갑옷'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깨진 찻주전자인 만큼 물리내구가 낮게 책정되었고[5][6], 기본 스피드도 어중간하니 깨어진갑옷을 이용해서 스피드를 올리려면 기합의띠는 필수일 듯하다. 다행히 특수방어는 114나 되어 특수내구는 좋다.
전용기인 "다과회"는 전투에 나와있는 모든 포켓몬이 소지하는 나무열매를 먹게 하는[7] 기술이다. 상대의 특성이 긴장감이어도 강제로 먹일 수 있다. 랭업열매를 들고 있는 포켓몬과 조합해 스탯을 일찍 올리거나,[8] 곡예나 애크러뱃의 효과를 발동시키거나, 상대가 체력회복 혹은 반감 나무열매를 소지하고 있을 시 낭비하게 할 수 있는 재밌는 기술이다. 물론 상대가 나무열매를 들고 있으리라는 보장은 없으니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자신의 포켓몬들이 나무열매를 들고 있어야 한다.
기술레코드로 사이코키네시스, 사이코쇼크, 악의파동, 어시스트파워, 바톤터치를 익히며 기술머신으로는 도깨비불병상첨병을, 자력으로 섀도볼, 나쁜음모, 기가드레인, 힘흡수, 껍질깨기를 배운다. 스피드 종족값이 파르셀과 동일한 70이며 껍질깨기를 쓸 수 있다는 점에서 특수형 파르셀같은 느낌으로 쓸 수 있다. 스킬링크를 가진 파르셀과 달리 기합의띠, 옹골참, 탈 등을 돌파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나 깨어진갑옷 특성으로 모든 상대를 확실하게 스피드로 능가하고 다이사이코로 선공기조차 봉쇄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게다가 고스트 타입인 덕분에 쓸 수 있는 포켓몬들이 대부분 채용하는 신속/마하펀치를 기본적으로 씹는다. 거기다 랭업몬들의 천적인 천진 픽시/누오도 어시스트파워의 위력증가만 믿고 강제로 뚫어버릴 수 있다.
껍질깨기와 깨어진갑옷으로 랭크업을 잔뜩 한 뒤 130족을 뛰어넘는 특수공격으로 날리는 기술들[9]은 매우 위협적인 결정력을 보여줄 수도 있다. 아쉬운 점이라면 공격 기술폭이 풀, 에스퍼, 고스트[10]로 매우 한정되어 있어서 삼삼드래, 절각참같은 포켓몬을 상대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것. 껍질깨기 후 공격 대신 바톤터치 연계를 생각해 볼 수도 있지만, 현재로서는 바톤을 넘겨받을 어시스트파워/기어오르기의 사용자가 마땅히 없다는 것이 흠. 어흥염이 해금되면 껍질깨기-바톤터치-기어오르기 연계가 가능할 수도 있다.
껍질깨기형도 강력하지만, 포트데스의 기본 내구가 좋고 약점도 적어 내구형으로 갈 수도 있다. 일단 특수내구는 보정만 하면 탄탄하고, 물리내구는 도깨비불이나 힘흡수, 리플렉터로 보완할 수 있다.[11] 나머지 기술칸은 기가드레인, 사이코키네시스, 어시스트파워,[12] 섀도볼, 병상첨병, 나쁜음모로 채울 수 있다. 내구를 살리는 형태라서 특성은 깨어진갑옷이 아니라 저주받은바디를 쓰는 것이 좋다.
다과회, 힘흡수, 도깨비불, 빛의장막, 리플렉터, 아로마미스트, 아로마테라피, 추억의선물, 저주, 봉인, 사이드체인지, 바톤터치, 트릭 등 서포팅 기술도 많이 배워 더블배틀 서포터 역할도 잘 할 수 있다.
천적은 따라큐. 랭업을 아무리 하든 탈에 공격이 한턴 막히며 선공기 야습으로 껍질을 깬 포트데스을 손쉽게 막을수있다.

5. 기타


  • 루미너스메이즈숲의 요리사와 7번도로(9번도로 쪽에서 들어올때)의 신사가 각각 진품 데인차와 포트데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스토리를 진행하다보면 저절로 진품이 도감에 찍혀있다.
  • 거북손데스, 모래성이당 등과 더불어 기괴한 번역 센스로 주목을 받기도 했다.[13]
  • 데스니칸[14], 킬가르도[15], 타타륜[16], 데스판[17], 모래성이당[18]처럼 영혼이 물건과 일체화되어 탄생한 포켓몬이다.
  • 마치 진저브레드맨처럼 생긴, 확실히 얼굴과 팔다리를 가진 모습임에도 불구하고 성별 구분이 없다[19]. 보통 무성이라 하면 기계생명체이거나, 무생물처럼 생겼거나, 유전자 조작으로 탄생했거나 하는 경우가 많음을 생각하면 꽤 의외다.
  • 데인차는 0.1m로 가장 작은 포켓몬 중 하나이다.
  • 포트데스의 영칭은 심령현상인 폴터가이스트에서 ter부분을 tea로 초월번역했다. 이후 갑옷의 외딴섬에서 진짜로 폴터가이스트 기술이 등장했고 그에 걸맞게 포트데스도 습득한다. 하지만 65의 공격 때문에 활용할 수는 없다.

6. 국가별 명칭


언어
이름
유래
한국어
데인차
데인저(Danger) + 차
일본어
ヤバチャ
ヤバイ(위험한) + 차
영어
Sinistea
Sinister(사악한) + Tea(차)
중국어(번체)


중국어(간체)

언어
이름
유래
한국어
포트데스
포트 + Death(죽음)
일본어
ポットデス
폿토데스
'''ポット'''(포트) + '''ポルター'''ガイスト(폴터 가이스트) + です
영어
Polteageist
폴티가이스트
'''Pol'''ter'''geist''' + '''tea'''
중국어(번체)


중국어(간체)


[1] 찻잔 바닥에 있는데, 본작에서는 포켓몬을 밑에서 보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도감에서 공격 모션을 취하는 중이나 거다이맥스할 때 멈춰야 볼 수 있다.[2] 무늬가 없는 쪽은 깨진포트(가품), 무늬가 있는 쪽은 이빠진포트(진품).[3] 가품만 해도 10%밖에 되지 않는데, 진품을 잡을려면 1%라는 출현율을 뚫어야 한다.[4] 스토리에서는 방어 랭크를 깎지 않는 나쁜음모가 더 쓸만하다.[5] 이 때문에 한번 깨어진갑옷이 발동되면 다음 턴부터는 무조건 선공 스윕을 해야한다.[6] 그래도 물리내구를 어느 정도 보정한 후, 도깨비불+힘흡수를 사용하면 그럭저럭 버틸 만하다.[7] 포트데스가 빼앗아 먹는 것이 아니고, 각각의 포켓몬에게 효과가 따로 적용된다.[8] 특히 애프룡과 단지래플은 숙성 특성으로 2랭크를 올릴 수 있다.[9] 특히 어시스트파워랑 궁합이 매우 좋은데, 랭크 다운은 어시스트파워의 위력을 낮추지 않기에 껍질깨기 한 번에 깨어진갑옷이 한 번 발동된 어시스트파워는 '''180''', 특수기에 맞아서 껍질깨기만 반영되어도 '''140'''이라는 위력이 나온다. 비자속임을 감안해도 매우 위협적이다.[10] 악의파동은 섀도볼과 견제폭이 겹치는데다가 비자속이니 넣을 이유가 없다.[11] 도깨비불은 상대가 교체해도 효과가 남는데다 병상첨병이랑 연계 가능하고, 힘흡수는 회복도 겸하지만 상대가 교체하면 물리공격은 원래대로 돌아온다. 그리고 리플렉터는 턴제한이 있지만 상대가 교체하든 말든 효과는 꾸준히 남아 있다. 셋 다 장단점이 있으니 선택은 플레이어의 몫.[12] 단, 어시스트파워를 넣을 생각이면 '''나쁜음모를 채용하고 2번 쓴다'''는 전제 하에만 넣어야 한다. 안 그러면 사이코키네시스에 밀리기 때문.[13] 포켓몬스터 갤러리에서는 한 유저가 "차우령"이라는 번역을 제시하여 많은 추천을 받았다.[14] 관과 일체[15] 요검과 일체[16] 타륜&닻과 일체[17] 점토 그림판과 일체[18] 모래산과 일체[19] 위에서 나열한 다른 사물 빙의형 포켓몬들과는 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