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남시

 


興南市 / Hŭngnam City
흥남시
興南市 / Heungnam City
국가
북한
광복 당시 면적
130㎢
광역시도
함경남도
광복 당시 행정구역
75동
시간대
UTC+9

1. 개요
2. 역사
2.1. 일제강점기 최대의 공업도시
2.2. 전쟁 당시
3. 현재
4. 교통
5. 이북5도 기준 행정구역

[clearfix]

1. 개요


함흥시의 외항이자 공업도시로 흥남시였으나, 2005년 이후 함흥시 아래의 흥남구역으로 되어 있다. 광복 당시 면적 면적 130㎢.
지리적으로는 서쪽에는 성천강이 흐르고, 남쪽으로는 함흥만을 끼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본적이 바로 이 도시.
남북통일 후에는 함경남도 함흥시 (또는 함흥광역시) '''(흥)남구'''로 개편될 가능성이 있다.

2. 역사



2.1. 일제강점기 최대의 공업도시


[image]
흥남은 원래 함흥부 운전사(雲田社)라는 어촌이었으나, 1927년에 거대한 조선질소비료주식회사 공장이 들어서면서 급격히 발전했다. 처음에는 함흥부 운전사였다가 1914년 함흥군 운전면이 되었고, 1930년 함주군[1] 흥남면으로 개칭되었으며 이듬해인 1931년 흥남읍으로 승격되었다. 흥남이란 이름은 '함'''흥'''의 '''남'''쪽'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다가 광복 8개월 전인 1944년 12월 함주군에서 분리되어 흥남부(興南府)로 승격되었다. 일본어로는 '''교난'''이라고 읽었다.
이 흥남에 일본 노구치 그룹[2]이 600만평 대지에 거대한 공장을 차렸다. 해방 직전에는 흥남부 인구 20만명 중 무려 4만5천명이 노구치 그룹의 근로자였다고 한다. 초대 흥남읍장이 공장 사장인 노구치 시타가우였을 정도로 흥남에서 노구치 그룹은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흥남의 질소 비료 공장에 전력 공급을 위해 장진군신흥군거대한 수력발전소를 2개나 만들었을 정도. 하지만 공업단지 개발과 수력발전소 개발 와중에 무려 7천 + 4천 = 1만명이 넘는 조선인이 사망했다.
[image]
장진강 수력발전소
이 시절에 흥남은 부 승격 직전인 1944년에는 함주군에 소속된 읍임에도 14.3만의 인구로 흥남이 경성부, 평양부, 부산부, 인천부, 대구부, 청진부[3]에 이어 조선의 7대 도시에 들어갔다. 이는 '''본래 소속되었던 함흥부(11.2만)'''는 물론 원산, 신의주, '''대전''' 등을 앞질렀을 정도.[4] 덕분에 흥남읍이 소속되있던 함주군의 인구는 앞서 시 승격된 함흥을 제외하고도 약 30만에 달하여 전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군이 되었으며 그 규모는 경성, 평양, 부산의 조선 3대 중추 도시들 다음이었다.
흥남과 함흥을 아우르는 흥남 공업지대는 일본을 제외한 동북아시아 최대의 화학공업 단지가 조성되어 있었고, 아시아 최대의 질소비료공장과 수력/화력발전소 외에도 도쿄의 이화학연구소 분실(分室), 야금제련소, 제철소, 조선소, 각종 군수 공장 등 중화학산업시설이 즐비했고 그만큼 노동자 층이 상당했다. 해방 이후 흥남시로 개칭되었고, 이 때에도 주변구역을 병합해 20만의 인구를 자랑했다.

2.2. 전쟁 당시


이후 북한 쪽에 진주한 소련군의 메레츠코프도 흥남 때문에 함흥이 한반도 북부의 중심지인 줄 잘못 알고 함흥에 군정 사령부를 설치할 것을 명령했으나 치스챠코프의 설득으로 계획을 취소했을 정도. 당시의 평양은 서비스업과 상업이 발달한 소비도시였다.
그러나 1950년에 벌어진 6.25 전쟁으로 인해 미군은 7월부터 8월까지 흥남을 철저하게 공중 폭격했고, 흥남의 공업 시설은 완전하게 파괴가 된다. 1950년 12월에는 유엔군이 실시한 흥남 철수작전도 특기할 만한데, 이 작전을 통해 10만여 피난민이 남쪽으로 탈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작전 중에 그나마 남아있던 흥남 부두 역시 다 폭파되고 만다.
[image]
전쟁 당시 폐허가 된 흥남의 모습.

3. 현재


1960년부터 승격된 함흥직할시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하지만 1970년 다시 함흥시가 함경남도에 편입되었다.[5] 1988년 기준으로 인구는 약 8만 명이 거주하였다. 2001년 8월 잠시 산업도시로서 흥남구역, 해안구역, 흥덕구역사포구역의 일부가 흥남시로 독립되었지만 2005년 도로 함흥에 합병.
2008년 북한 인구조사 자료에 따르면 흥남구역 기준 인구가 약 99,994명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흥남시 땅마저 재편입되면서 함흥시에 빼앗겼기 때문. 흥남시 시절(2001년~2005년)의 인구는 '''약 36만 명'''[6]이었다고 한다. 함흥시가 40만 정도. 2017년 현재 구 흥남시 지역은 흥남구역, 사포구역, 해안구역, 성천강구역 등으로 완전 개박살났다.(...) 그나마 룡성구역이 평양 룡성구역과 이름 겹친다는 이유로 없어져서(2013) 이정도지 룡성구역까지 있던 시절에는 완전 헬게이트.
2001년 북한 로동신문함흥역-마전역 사이에 해수욕 전용열차 가 개통되었다며 "우리나라 계절에서 무더운 삼복기가 오면 해마다 공업도시 함흥시와 흥남시 안의 근로자들은 휴식일을 리용하여 마전해수욕장을 즐겨 찾는다"고 자랑하기도 하였지만 실제 즐길수 있는 사람은 얼마 안 될듯.[7]
지금도 대표적인 비료, 나일론 공업 지역으로 흥남비료연합기업소가 있다. 이 비료는 북한의 삼대 주체공업 물품(청진, 김책의 "주체철", 순천함흥의 "주체섬유(비날론)") 중 하나인 "주체비료"로 선전된다. 평남 안주시 남흥지구의 남흥청년화학기업소 역시 "주체비료" 공업 지역으로 언급되는 북한의 대표적인 석유화학공장.
궁서리에는 함흥차사의 배경이 되었던 함흥본궁이 있다. 진흥왕 순수비마운령비(북한 국보 제48호)가 함흥본궁에 보존되어 있다. 황초령비는 함흥역사박물관에 있다.

4. 교통


철도시설로 평라선 창흥역(舊 본궁역), '''흥남역''', 서호역, 마전역(평라선), 창흥선 련흥역, 서호선 비날론역, 운중역, 룡성역(서호선), 하덕역이 있다.

5. 이북5도 기준 행정구역



  • 아래 행정동과 법정동은 《이북5도 명예읍·면·동장 위촉에 관한 규정》 제8조 별표2에 규정되어 있다.
  • 1914년
    • 운전면(동운전면+서운전면) 신설
    • 동명면을 서호면(西湖面)으로 개칭
  • 1930년
    • 운전면 폐지, 흥남면·운남면 신설
      • 흥남면 편입지역: 구룡리·동흥리·복흥리·신상리·운성리·유정리·응봉리·천기리·하덕리·호남리·후농리
      • 운남면 편입지역: 궁서리·덕리·상수리·송상리·수동리·수변리·신성리·용성리·용암리·용연리·용흥리·운남리·운상리·운중리·운하리·운호리·운흥리·중수리·차인리·창동리·흥남리·흥덕리
    • 서호면의 12개 리가 흥남면에 편입
      • 흥남면 편입지역: 농양리·능서리·능전리·대후리·동도리·서도리·서호리·서흥리·신경리·신상리·신성리·운동리
  • 1931년
    • 흥남면을 읍으로 승격
  • 1939년
    • 남주동면 폐지
      • 운남면 편입지역: 구탄리·당북리·당흥리·대흥리·동흥리·보고리·상보리·신보리·신흥리·연봉리·영대리·운곡리·인흥리·자흥리·중리·중보리·초흥리·축전리·풍동리·호남리·호상리
  • 1943년
    • 서호면 폐지
      • 흥남읍 편입지역: 마전리·작도리·중흥리·풍서리·흥경리·흥상리
      • 퇴조면 편입지역: 길흥리·상송리·서중리·신중리·신흥리·여호리·원상리
  • 1944년
    • 함주군 흥남읍이 흥남부로 승격, 능경리(능전리+동경리+신경리)·대농리(농양리+대후리) 신설
    • 삼평면의 11개 리가 흥남부에 편입
      • 삼평면 편입지역: 대흥리·동변리·동오리·상부리·송오리·송정리·송흥리·수서리·완풍리·풍부리·흥덕리
  • 운남면(雲南面)은 광복 이후에도 함주군에 존재했었고 1952년 군면리 대폐합 때 소멸되었지만, 어째서인지 이북5도 체계에서는 일찌감치 흥남시에 편입되어 사라진 것으로 되어 있다.
[image]
행정동
법정동·리
'''구룡동'''
구룡리(九龍里)·운성리(雲城里)·운중리(雲中里)
'''내호동'''
동흥리(東興里)·송상리(松上里)·신상리(新上里)·유정리(柳亭里)·하덕리(荷德里)·후농리(厚農里)
'''마전동'''
능경리(陵慶里)·능서리(陵西里)·대농리(大農里)·동도리(東島里)·동상리(東上里)·마전리(麻田里)·신성리(新城里)·운동리(雲洞里)·중흥리(中興里)
'''본궁동'''
구탄리(舊灘里)·궁서리(宮西里)·상수리(上水里)·수동리(水東里)·수변리(洙邊里)·신흥리(新興里)·영대리(營垈里)·용성리(龍城里)·용연리(龍淵里)·인흥리(仁興里)·중수리(中洙里)·창인리(昌引里)·축전리(杻田里)·호북리(湖北里)·호상리(湖上里)
'''서호동'''
서호리(西湖里)·작도리(鵲島里)·풍서리(豊西里)·흥경리(興慶里)·흥상리(興上里)
'''서흥남동'''
대흥리(大興里)·동변리(東邊里)·동오리(東吾里)·상부리(上富里)·송오리(松塢里)·송정리(松亭里)·송흥리(松興里)·수서리(水西里)·완풍리(完豊里)·용암리(龍巖里)·운전리(雲田里)·풍부리(豊富里)·흥덕리(興德里)
'''용흥동'''
용흥리(龍興里)·운상리(雲上里)·운호리(雲湖里)·운흥리(雲興里)·흥남리(興南里)·흥덕리(興德里)
'''천기동'''
덕리(德里)·복흥리(復興里)·부흥리·송호리(松湖里)·응봉리(鷹峰里)·천기리(天機里)·호남리(湖南里)

[1] 같은 해에 함흥군 함흥면이 함흥부로 승격되면서, 함흥군의 잔여 지역은 함주군으로 개칭되었다.[2] 종전후 미나마타병의 원흉이 된 기업중 '칫소'가 이 그룹에서 나왔다. 현재는 미니미타병 배상을 전담하는 '칫소'와 그 외 사업을 이관받은 'JNC'로 나뉜 상태[3] 1940년에는 대구보다 인구가 많았으나 소폭 감소했었다.[4]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는 인구 5만 명 이상의 시가지(읍)을 부로 승격시켰는데, 1940년 당시 전국 20개 부 가운데 6개 부만이 흥남보다 인구가 많았다. 그나마도 1940년대를 거치며 증가한 것이고 1940년에는 흥남(12.8만)과 원산(8.6만) 함흥(7.7만)의 격차가 엄청났다.[5] 이때 영구 분리된 동네가 퇴조군(현 락원군)이다.[6] 이 정도면 원산은 물론 '''개성도 쌈싸먹는다.'''[7] 원칙적으로 북한은 사회주의 국가이기 때문에 노동자들의 복지나 노동권은 '''법적으로는''' 잘 되어있는 편이다. 북한이 벤치마킹한 소련도 1가정 1별장 무상분배를 지향했고 백퍼센트는 아니지만 실제로 별장 보급률이 세계적으로 대단히 높다. 동독 같은 다른 공산권도 비슷한 정책을 했다. 물론 북한은 땅이 소련만큼 넓지 않으므로 그렇게까진 못하지만, 대부분의 노동자들은 직장 근처에 집단으로 지어진 주택단지에서 생활하며 주말에 국영 백화점에서 쇼핑을 하고 여가를 즐긴다고 한다. 따라서 마전 해수욕장도 여름 휴가철에 노동자들이 신청을 하면 이용은 할 수 있을것이다....만, 한정된 시설에 얼마나 많은 노동자들이 모일지를 생각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