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한의 친할머니
'''네 이놈들... 내가 네놈들의 더러운 속을 모를 줄 아느냐! 우리 두한이를 이곳에 끌고 온 이유가 뭐냐? 그 아이가 김좌진 장군의 아들이라 그런 것이 아니냐. 내 말이 틀렸느냐!
그래! 내가 그 장군의 어미 되는 사람이다. 어디 나에게도 고문을 해 보거라! 어서!'''
1. 개요
야인시대의 등장인물. 모티브는 말 그대로 실제 김두한의 친할머니이자 김좌진의 어머니이며 김형규의 아내인 한산 이씨 이윤직(李潤稙)의 딸[1] 이중규(李重珪)이다.[2][3] 본관은 한산.
작중에서 본명은 언급되지 않고 자막상으로 '김두한의 친할머니'라고만 나온다. 배우는 정영숙[4] . 친일파를 매우 싫어하며, 미와 경부가 김좌진 집안을 감시하러 왔을때도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썩 꺼지라고 호통치는 '''여장부''' 캐릭터. 과연 김좌진의 어머니 답다고 할 수 있겠다.[5]
주로 김두한의 어머니(이하 어머니로 표기)와 같이 나오기에, 어머니와 작중 행적이 거의 같다.
2. 작중 행적
2.1. 1부
2.1.1. 김두한 유년기
김두한이 만주로 가서 김좌진을 만날 때 독립군 기지 산채에서 김두한을 반기는 모습으로 첫 등장. 김좌진이 망명갈 때 온 가족이 같이 따라간 것으로 보인다. 1920년대 후반 즈음해서 만주의 사정이 어려워지자 어머니와 함께 조선에 돌아왔는데, 예전에 고문당해 죽은 김두한의 생모 박계숙과 같은 상황이 일어날 것을 우려한 '''인촌 김성수'''가 '''조선총독부''' 경무국장에게 부탁해 안전을 보장받아[6] 무사했다.[7] 그리고 주변의 도움으로 삼청동에 정착했다. 이 때 김두한은 수표교 거지였는데 할머니가 귀국하기 직전에 다행히 원노인이 찾아내 자신의 집에서 키우면서 김두한이 '''거지'''로 돌아다니는 것을 보지는 않았다. 어머니는 김두한이 밖에서 자라는 것을 염려한 나머지 삼청동으로 데려와 기르자고 했지만 지금 형편에는 무리라며 원노인은 믿을만하니 걱정말라한다.[8]
2.1.2. 김두한 청년기
김두한이 청년이 된 뒤, 원노인[9] 과 관련한 독립운동 사건으로 김두한이 종로경찰서에 잡혀가자 걱정을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김두한이 이제 어엿한 독립군 대접을 받고 있다고 하면서 김두한을 대견해한다. 또한 종로경찰서로 찾아가 김두한을 당장 풀어주라고 미와 경부에게 항의하러 갔지만 경찰들에게 끌려나갔다. 고등계 사무실 한복판에서 미와에게 호통치는 패기가 일품.
김두한이 풀려난 후 어떻게든 만주로 가서 독립운동을 하겠다고 하자 어머니와 함께 그동안 모은 돈을 주면서 김두한이 아버지처럼 훌륭한 사람이 되기를 응원한다. 그러나 이 돈은 쌍칼 패거리의 털보에게 사기당해 뜯겼고 이 돈을 다시 찾는 과정에서 김두한은 주먹패가 되고 만다. 그러나 이 과정을 알 리 없었고 김두한이 만주에 가서 독립운동을 열심히 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다.
몇 달 후, 김좌진의 제사 음식을 준비하러 종로에 나왔을 때, 군중들이 김두한에 대해 수근거리는 소리[10] 를 들은 어머니를 이상하게 여겼다. 아무것도 아니라는 말에 그냥 넘어갔지만 내심 찜찜해한다. 그러다가 김좌진의 기일에 집에 감시하러 온 오무라 형사에게 김두한이 종로의 주먹패가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그럴 리 없다고 넘겼지만[12][13] , 내심 걱정되어 어머니와 종로로 간다. 그리고 우미관 앞에서 껄렁껄렁 걷는 주먹패 오야붕 김두한을 보고, 너무나 큰 충격을 받은 뒤 집으로 다시 돌아간다. 상당히 크게 멘붕했는지 제대로 걷지도 못하고 어머니의 부축을 받아 간신히 걸을 정도.[14]
얼마 후 김두한이 아버지의 기일로 본가에 제사를 지내러 오지만, 할머니는 오히려 "난 너같은 '''깡패''' 손자를 둔 적이 없느니라"하면서 냉대한다. 어머니와 최동열 기자의 설득[15] 으로 겨우 마음을 풀어 제사를 지내게 했지만 제사 내내 돌아앉아서 김두한의 얼굴은 한번도 보지 않았다.[16]
이후로는 별 다른 접점이나 등장이 없다. 김좌진의 부하가 경성에 잠입한 냄새를 맡은 일본제국 경찰들이 찾아와 조사를 하려 했으나 물증이 없어 돌아간 일화, 그리고 일가 친척들이 김두한에게 창씨개명을 권유했다 실패하고[17] 삼청동을 찾아와 할머니에게 김두한을 설득해달라고 하자 도리어 호되게 혼나고 돌아간 장면 등이 있었다. 저 때 김두한과 할머니를 설득하는 말이 아주 가관이다. 친일파라면 이를 가는 할머니에게 "창씨개명은 일본의 은혜를 받는 것이다." 라는 소리를 지껄인 것. 당연히 좋은 소리가 나올 리가(...). 저들이 간 뒤 할머니는 "두한이가 참 잘못했다"면서 "저런 자들은 다리 몽둥이를 부러뜨렸어야 했다"며 분을 푼다. 이때 옆에 있던 어머니는 흐뭇하게 미소지었다. 비록 주먹패로 실망을 끼친 김두한이었지만 기백을 보여준 것에 대한 대견함, 이전까지 김두한 얘기만 나오면 매정한 태도를 보인 할머니가 이후 처음으로 김두한을 감싸는 모습 때문이었다.
1부 후반부에 김두한을 혼인시키기 위해 어머니와 함께 혼처를 알아보았고 결국 김두한은 어른들이 정한 여성과 혼인한다.[18] 이때는 결국 김두한을 인정한 듯 서로 이야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참고로 이 분이 '''김을동'''의 어머니이자 '''송일국'''의 외할머니+'''삼둥이'''의 진외증조모 '''이재희'''다.[19]
2.2. 2부
해방 이후에도 등장한다. [20] 노환으로 병을 얻어 병상에 누워있는 모습만 나온다. 51회에서 해군 무관부 기습 작전 전에 김두한이 본가에 들르는데, 나랏일을 하는 손자를 자랑스럽게 여기며, 집안일은 신경쓰지 말라고 충고한다. [21]
56회에서 임동호 의사가 친할머니를 치료해준다. 후반부에서는 문병 온 최동열에게 김두한을 아들처럼 잘 보살펴주라는 말을 전한다. 그리고 "두한이한테... 내 말을 전하거라.. 당당하게 부끄럼없이 살아야한다고.. 지 아범처럼.. 지 아범처럼.. 지 아범처럼.."이란 말을 남기고 숨을 거둔다. 정작 김두한은 이 때 아편입수하겠다시고 정부 기관인 전매청 창고를 폭탄 테러하고 경비들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인간말종 짓을 하고 있었다(...)
사실 할머니가 죽은 시점이 실제와 다르다. 원래는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인 1949년 10월 21일(음력 8월 30일)에 사망했으나[22] 드라마에서는 김두한이 막 우익청년활동을 시작하는 1946년 초에 사망한 것으로 처리했다. 아무래도 1부에서 이어진 캐릭터들 중에서, 앞으로의 스토리와 큰 연관없는 인물들의 원활한 퇴장을 위해 일찍 하차시킨 듯 하다.
3. 명대사
'''네 이놈들... 내가 네놈들의 더러운 속을 모를 줄 아느냐! 우리 두한이를 이곳에 끌고 온 이유가 뭐냐? 그 아이가 김좌진 장군의 아들이라 그런 것이 아니냐. 내 말이 틀렸느냐!
그래! 내가 그 장군의 어미 되는 사람이다. 어디 나에게도 고문을 해 보거라! 어서!'''
'''네 이놈! 이 손 놓지 못할까! 놔라! 놔! 더러운 놈들아!'''
'''저 아이가 누구냐? 난 네놈 같은 무뢰배 손자를 둔 적이 없느니라. 범의 새끼가 되라고 풀어 놓은 것이 늑대 새끼가 되어 돌아왔구나. 애미는 뭘 하고 있는 게냐? 저놈을 내쫓고 문을 걸어잠그거라!!'''
'''네 아비는 천하가 다 존경하는 독립군 장군이셨다. 그 큰 이름을 더럽히고 내 집에 발을 들였단 말이더냐? 썩 나가거라, 이놈! 어서!!'''
4. 야인시대 합성물에서
'''뭐, 이 새끼야!'''
'''너도! 씨X놈아! 김좌진 장군의 아들이 주먹질이나 하고 다니냐?'''
'''두한이 요새끼가 죽고 싶냐? 더 나불대면 중상을 입는단다.'''
두한이 생일에서 부모를 탄핵(..)하려는 김두한을 질책하며[25]
똑같이 할머니 기믹인 심영의 어머니에 비하면 합성물에서의 등장빈도는 적은 편이다. 그러나 주로 빨래를 두들기는 장면을 빨리감기로 돌려 폭풍난타로 상대방을 두들겨패거나 위협하는 역할로 나온다. 합성물 세계관에서는 거의 내레이션 다음 가는 상위권 강자.[26]'''어멈아... 그만해라... 그 우리 손주가 왜 모를까 그 사람이 어디 놀러 다닐 사람이더냐? (오씨 : 아유 어머니 괜찮으세요? 약방에 좀 다녀올까요?) 나이가 들면... 다 그런 거란다 신경 쓰지 마라 두한이가... 참으로 가엽다는 생각을 했다 얼마나 힘이 들겠느냐?'''
사회인의 낙원 6에서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힘든 사회생활에 지쳐하는 김두한을 위로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