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산 이씨
'''稼亭先祖遺訓'''
'''我之子孫百代至親'''
'''가정선조유훈'''
'''나의 자손들이여, 백대가 지나도 친하게 지내거라.'''
가정 이곡(稼亭 李穀)의 유훈.
'''牧隱先祖庭訓'''
'''詩藝傳家忠孝立身'''
'''목은선조정훈'''
'''학문과 인간도리를 가문에 전하고, 충과 효를 지켜 처신하거라.'''
목은 이색(牧隱 李穡)의 정훈.
1. 개요
한산 이씨(韓山 李氏)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2015년 통계청 성씨, 본관 인구조사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156,861명이 존재한다.
2. 유래
한산이씨는 다른 뿌리이면서 시조를 달리 하는 두 계통이 있다.
한산이씨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호장공계의 시조는 고려 숙종 때 호족으로서 권지호장직(權知戶長職)에 오른 이윤경(李允卿)이다. 그러나 시조라 할 중시조는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아버지인 이곡(李穀)이다.[4] 이곡은 당대의 대문장가이며, 역동 우탁(禹倬), 포은 정몽주(鄭夢周)와 더불어 경학(經學)의 대가였으며 고려 충숙왕 7년 문과에 급제하고 원나라 제과(制科)에도 급제하여 벼슬이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에 이르렀다. 그의 아들 이색이 1362년 홍건적의 난에 왕을 호종하여 공을 세워 한산부원군(韓山府院君)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한산으로 하였다.
권지공(權知公)계의 시조 이윤우(李允佑)는 고려시대에 문과에 올라 왕의 신임을 얻어 한산이씨의 다른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그러나 한산이씨 대부분을 찾지하는 호장공계의 족보에는 권지공의 내용이 없다. 권지공계는 여러대를 독자로 자손을 이어 왔으므로 아는 사람이 드물고 현달한 사람도 없다.[5]
3. 계파및 분파
3.1. 계파
3.2. 분파
4. 항렬
한산이씨의 항렬은 가장 큰 가지인 가정 이곡와 목은 이색의 자로 이어지는 계파의 문양공, 인재공, 양경공 3가지로 나뉘어진다.
4.1. 대종회
4.2. 문양공파
4.3. 인재공파
4.4. 양경공파
5. 인물
5.1. 고려 후기~조선 전기
- 가정(稼亭) 이곡(李穀): 고려 후기의 학자. 한산 이씨의 중시조 목은 이색의 아버지이다.
- 이순효(李純孝): 고려후기 전라도순문사를 역임한 관리. 1254년 전라도순문사로 재임하던 중 죽었다.
- 인재(麟齋) 이종학(李種學): 고려후기의 문신. 우대언, 첨서밀직사사, 동지공거 등을 역임한 관리.
- 목은(牧隱) 이색(李穡): 고려후기 대사성, 정당문학, 판삼사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문신, 학자.
- 한재(漢齋) 이맹균(李孟畇): 조선전기 예조참판, 경기도관찰사, 공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 양경(良景) 이종선(李種善): 조선전기 함길도관찰사, 판한성부사, 중추원사 등을 역임한 문신.
- 백옥헌(白玉軒) 이개(李塏): 조선전기 집의, 집현전 부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
5.2. 조선 중기
-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 조선 중기 문신, 학자(토정비결).
- 종남수옹(終南睡翁) 이산해(李山海): 조선 중기의 문신, 영의정.
- 석루(石樓) 이경전(李慶全): 조선 중기의 형조판서.
- 후곡(後谷) 이구(李久): 조선 중기의 학자. 선조 ~ 광해군 재임 동안 한림선조유묵(翰林先祖遺墨)을 편찬하였다. 조선 왕족 이구와는 연관이 없다.
- 충훈부경력(忠勳府經歷) 이덕수(李德洙): 조선 중기 대사간, 강원감사, 이조참의 등을 역임한 문신. 한산이씨족보의 초간본을 편집및 간행하기도 하였다.
5.3. 조선 후기
- 삼산(三山) 이병상(李秉常): 조선 후기의 문신, 이조참판.
- 장음(長陰) 이사관(李思觀): 조선 후기의 문신, 호조판서, 좌의정.
-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조선 후기의 문신, 이조판서, 별칭 소퇴계.
5.4. 근현대 인물[9]
5.4.1. 23세/17세손
5.4.2. 24세/18세손
- 수경(粹卿) 이승순(李承純): 대한제국시절 장례원경, 궁내부특진관, 시종원경 등을 역임한 관료.
- 이승위(李承緯): 조선 말기의 연암부사.
- 이수영(李秀瑩): 조선 말기 의금부도사, 안동 서산영당(현,서산서원)훈장,1855년 사도세자(장헌세자) 추존 만인소 등재
5.4.3. 25세/19세손
- 해관(海齧) 이관직(李觀稙): 일제강점기 신민회회원, 신흥학교 교두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 설정(雪汀) 이태직(李台稙): 대한제국 시절 주차일본조선공사관 참서관, 대리공사 등을 역임한 외교관.
- 남운(南雲) 이홍직(李弘稙): 해방 이후 한국고문화논고, 국사대사전, 한국고대사의 연구 등을 저술한 학자. 역사학자.
5.4.4. 26세/20세손
- 수당(修堂) 이남규(李南珪): 대한제국 시절 중추원의관, 궁내부특진관 등을 역임한 관료.
- 춘당(春塘) 이용규(李容珪): 대한제국 시절 민종식 의병부대의 참모사로 홍주성 공방전에 참전한 의병.
- 아주(鴉州) 이우규(李祐珪): 대한제국 시절 잠상촬요를 저술한 유학자이자 실학자.
- 이재규(李在珪): 해방 이후 한국내에 유포된 결핵균의 독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최신결핵요법 등을 저술한 학자. 의학자.
- 이원승: 희극인 겸 사업가. 본명은 이성규(李星珪)다.
- 효암(曉庵) 이일규(李一珪): 법조인, 전 대법원장.
- 이긍규(李肯珪)) : 전 언론인, 전 국회의원.
5.4.5. 27세/21세손
- 이관구(李寬求): 해방 이후 편집인협회 초대회장, 경향신문사 부사장, 한국신문연구소 제3대 소장 등을 역임한 언론인. 경제학자.
- 이돈구(관료)
- 명천(鳴川) 이문구: 소설가, 시인.
- 이인구: 기업인, 정치인.
- 이준구(교수):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 이헌구: 평론가.
- 이훈구(李勳求): 해방 이후 단국대 학장, 성균관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한 교육자. 민주사회당의 위원장, 초대대한민국 참의원 의원이기도 하였다.
- 만당(晩堂) 이혜구(李惠求): 국악학자.
5.4.6. 28세/22세손
- 이원복: 만화가, 교수.
- 이원복: 정치인.
- 이인복: 판사출신 대법관.
- 이태복: 노동운동가 출신 정치인(前 보건복지부 장관).
- 이흔복: 시인.
- 이진아: 서울예술대학교 출신의 싱어송라이터. 개명 전 이만복.
- 이창복: 정치인
5.4.7. 29세/23세손
5.4.8. 30세/24세손
5.4.9. 32세/26세
5.4.10. 계보불명
6. 기타
서천 문헌서원 한산이씨 족보가 문화재로 등록되어 있다. 청주시에서 목은 이색을 모신 청주 주성강당 또한 1997년 충청북도 문화재 자료 17호로 등록된 바 있다.
이씨를 성으로 두는 가문 중 인구수가 적은 축에 속한다. 특히나 권지공계의 경우 정말로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보니 이렇다 할 인물이 없고, 집성촌 또한 찾아내기가 매우 힘들다. 당장 집성촌 표를 보듯이 권지공계 한산이씨의 집성촌은 평양과 연길시인 것만 알려져 있고 세부적인 동이나 리, 가도가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이는 평양시가 미수복 지역인데다 연길시는 중국 지역이니 알아내기 힘든 점도 한 몫 한다.
성남시에서 한산 이씨의 묘역을 찾아갈 수 있다. 6.25 전쟁 당시 묘역에서 전투가 벌어졌던 모양인지 비석과 석상 등에서 탄흔과 총알이 박혀서 약간씩 부숴진 모습을 볼 수 있다.
한산지방의 호족으로 활동지가 백제의 마지막 항전지이자, 부흥운동이 일어났던 충청도 한산군이다. 1300년전 백제무왕은 한산소곡주를 좋아했다는 썰이 있다.
[1] 후술하겠지만 한산 이씨는 시조가 둘이다.[2] 남한에 존재하는 유일한 권지공계 집성촌이다.[3]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인물까지 아우른다.[4] 이 문장 때문인지 위키 백과에선 이색을 중시조로 취급하지 않는다.[5] 목은 이색의 후손이 주축을 이루는 한산이씨 대종회 측은 권지공계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물론 시조의 관계에도 부인하고 있다.[6] 오타나 도중에 누락된 것이 아니다. 실제 한산 이씨 분파 도표에서도 이렇게 표기되어 있다.[7] 벼 이름 기.[8] 큰물 량[누락] 한산이씨 뿌리정보 사이트의 항렬표에서도 누락된 채로 나와있다.[9]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인물까지 아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