꽈배기굴

 



1. 개요


지하철통행방향을 바꾸기 위해 설치한 입체 교차 터널을 말한다. 전 세계적으로 매우 드문 시설이지만, 이런 기묘한 시설이 한국에는 몇개가 존재한다.
한국의 철도는 일제의 영향으로 좌측 통행으로 건설되고, 광복 후에도 한국철도공사(구 철도청)가 관할하는 일반 철도는 일제 강점기 시대에 하던 대로 좌측 통행으로 건설되었다. 그런데 서울시는 지하철을 건설하면서 제정한 도시철도법에 '지하철은 우측 통행을 해야 한다'는 조항을 집어넣었다. '''이는 철도의 통행 방향을 좌측 통행으로 규정한 철도건설법과 정면충돌한다.''' 이에 따라 기존 철도와의 직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좌측 통행으로 건설된 1호선을 제외한 모든 서울시(+ 다른 시)의 지하철 노선은 우측 통행으로 건설되었다.
철도가 아닌 도로에도 꽈배기굴이 생길 수 있다. 인접 국가와 통행 방향이 서로 다른 곳에서 국경을 넘나드는 지점에서 그 도로를 통행방향에 맞도록 교차시킨다.

2. 사례



2.1. 동묘앞역 - 신설동역 구간


1기 지하철 계획에 따르면 현재의 1호선 종로 구간은 1호선과 5호선이 방향별 복복선으로 건설되고, 당시에는 동묘앞역이 없었으며 5호선이 동대문역에서 분기하여 현재의 성수지선 구간을 따라 신답, 용답을 지나 천호 방면으로 이어지게 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1호선과 5호선이 입체교차하게 될 동대문 - 동대문구청 구간이 미리 건설된 것이다. 또한 도심 구간에는 5호선 공사를 위한 토목 공사 또한 미리 진행되었다. 링크 참조. 당시 기획안에는 1~4호선[1]은 좌측통행 그리고 5호선만 우측통행으로 기획했었다. 이것을 봤을 때 이미 도시철도를 우측통행으로 건설하려는 계획이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박정희 저격 미수 사건으로 인해 1기 지하철 계획을 수립해 진행하던 양택식 서울시장이 사임하면서 1기 지하철 계획은 전면 수정되었고 현재 해당 구간은 1호선 동묘앞역 시종착 열차가 차량기지를 드나들 때나 간선철도를 통해 서울에 온 2호선 열차들을 2호선에 끌고 들어갈때 쓰는 연결선로로 사용되고 있다. 다만 승객을 태우고 해당 구간을 지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인지도는 떨어지는 편. 그래도, 신설동역 유령 승강장에 관련해서는 그나마 인지도가 있는 편이다.

2.2. 수도권 전철 4호선 과천선 구간



이 문서의 메인.

2.3. 서울 지하철 9호선, 인천공항철도 김포공항역


9호선과 인천공항철도는 직결운행을 할 예정인데[2], 이쪽도 4호선처럼 9호선이 직류+우측통행, 공항철도가 교류+좌측통행으로 다르다. 당연히 꽈배기굴이 생길 수밖에 없지만, 이걸 감안하고 김포공항에 열차가 들어서면서 저절로 통행방향이 바뀌도록 건설하였기 때문에 4호선만큼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되었다.

2.4. 홍콩 MTR 튄마선 토콰완역


튄마선은 기존 홍콩 지하철 체계의 일부로 운행하던 두 노선인 마온산선서철선을 직결하면서 생길 예정인 노선이다.[3] 서철선의 경우에는 다른 홍콩의 철도 노선과 동일하게 전구간 좌측통행을 실시하고 있으나, 마온산선의 경우 타이와이역에서 만나는 동철선과의 평면환승을 위해 어거지로 우측통행을 만들어놓은 구조가 되었고, 이 구조가 사람들에게 상당히 익숙해진 것도 있고 연장 및 직결구간 시운전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간은 그대로 우측통행으로 두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그 결과, 직결을 대비하여 꽈배기굴을 지어서 통행방향을 바꾸기로 하는데, 토콰완역을 사실상 꽈배기굴의 일부로 지어버리면서 이 역은 복층 단선 승강장으로 건설되었다. 대신, 이용객들의 편의를 위해 대합실에서 맨 아래층 승강장으로 바로 내려가는 직통 에스컬레이터도 별도로 설치하면서 불편은 크게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결과적으로, 이 역 이남인 호만틴역부터 튄문역까지는 좌측통행을, 이 역 이북인 송웡토이역부터 우카이샤역까지는 우측통행을 실시할 예정이며, 홍콩 MTR의 또 다른 노선인 쿤통선[4]과 더불어 유이하게 한 노선에 좌측통행 구간과 우측통행 구간이 같이 존재하는 노선이 되었다.

3. 꽈배기굴이 될 뻔한 구간


수도권 전철 3호선한국철도공사 담당 구간을 좌측통행에 교류로 건설하려 했으나, 감사원으로부터 예산 낭비라는 지적을 받고 결국 전 구간이 우측 통행에 직류로 건설하였다. 4호선과는 달리 이 쪽은 기존 철도와 직결될 일이 '''전혀''' 없는[5] 광역철도 노선이기 때문에 굳이 저런 뻘짓을 해 가며 별개의 체계를 구축할 이유도 명분도 필요도 없다. 그 대신 3호선의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서울교통공사 측에 관리를 위탁하고 있고, 차량기지도 서울교통공사의 기지를 공유하고 있다. 만약 꽈배기굴이 생겼다면 삼송역지축역 사이에 있을 것이다. ~ 교통평론가인 한우진이 분당선 강남구청역과 3호선 압구정역 사이의 직결운행 방안을 제안하여 서울시 정책 시민공모에서 장려상을 받았다. 관련링크 하지만 두 노선의 통행 방향과 전력 공급 방식이 다르고, 행선지가 복잡해진다는 문제 때문에 실현은 되지 않았다.
대구 1호선의 하양연장구간도 당초에는 안심역 동쪽 숙천동 인근에서 선로를 꼬아 대구선직결하려했으나, 이 쪽은 일반열차와 전동차 폭부터가 다르기 때문에 과천선의 꽈배기굴을 능가하는 '''괴작'''이 나오게 되므로 결국 무산되었다. 대신 개량 전 대구선의 부지를 활용해 별도의 선로를 건설하는것으로 결정되었다.
한일해저터널에서도 도로용 터널을 팔 경우와 중국 본토와 홍콩을 연결하는 도로를 계획할 때도 이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한국과 중국 대륙은 우측 통행이고, 일본홍콩은 좌측 통행이기 때문. 한일해저터널의 경우에는 자동차가 다니기에는 터널이 너무 길기 때문에 가능성은 낮지만, 중국 대륙과 홍콩 간 도로(터널이든 아니든 상관없이)는 길이가 짧기 때문에 연결할 경우에는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크다.
중국 - 홍콩 간 도로의 경우 그냥 꽈배기 고가차도로 합의를 봤다. 중국(선전) - 홍콩 간 국경에서 좌우측 통행이 바뀐다.
수색차량사업소 인근에 계획되었던 수색조차장에서 육군기지 방면과 신의주 방면 연결선로가 입체교차할 예정이었으나, 수색조차장 건설이 무산되면서 열차가 다니지 않고 있다.

3.1. 그 외


터널도 아니고 통행방식을 바꾸는 것도 아니지만, 노량진~대방역 사이에서 하행 기준 경부2선의 우측에 있는 경부1선이, 고가로 올라간 경부2선의 밑을 통과해 좌측으로 자리를 옮긴다. 이 모양이 꽈배기 모양.
마찬가지로 터널은 아니지만 도로 통행방향을 기준으로 우측통행인 라오스와 좌측통행인 태국 간 국경선에도 보면 X자 꽈배기로 교차되어 있는 곳이 있다. 태국에서 다리를 건너 라오스 쪽 도로로 연결되는 램프에서 X자 교차가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라오스와 태국의 국경선 지도)[6]
프랑스 페르피냥에서 스페인 피게레스 사이에 있는 고속철도 노선도 X자로 교차해서 운행한다.지도
네덜란드-벨기에 간 고속철도에서도 로테르담 시내 인근 지상-지하 연결구간에서 통행방향을 바꾼다.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베이터우역은 차량기지와 시종착열차 문제로 이중 꽈배기로 고가로 교차된다.
런던 지하철빅토리아 선워렌가 역에서 킹스 크로스 세인트 판크라스 역 구간에서 통행방향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바꾸기 위해 해당구간 양 끝단에 꽈배기굴이 설치되어 있다. 덕분에 유스턴 역에서 노던 선과 남북방향별 평면환승이 가능하다. 노던 선도 보로 역뱅크 역 구간은 우측통행 하는데, 과거 남쪽에서 올라와 킹 윌리엄가 역에서 종착하던 것을 북쪽으로 더 연장하며 기존 구조물을 피하다보니 꽈배기굴 형태가 되었다.
워싱턴 메트로로즐린 역펜타곤 역은 운행 방향이 다른 노선들이 분기하는 역인데, 평면교차를 막기 위해 지하에 꽈배기굴을 만들고 상하행 선로가 겹쳐지는 자리에 역을 건설했다.
국내 자동차 도로에도 이러한 꽈배기굴이 존재한다. 지도 사고 다발지역이었던 양산시 어실로(1051번 지방도)를 개선하면서 하행을 좌측에, 상행을 우측에 배치했다.

4. 관련 문서



[1] 당시 2~4호선은 우리가 생각하는 지금의 노선이 아니였기에 선형이 달랐다. 더욱 자세한 사항은 1기 지하철 계획을 참조.[2] 한 노선에 여러 개의 회사 열차가 다니는 일본 철도를 생각해보자. 굳이 멀리 가지 않아도 이미 1호선3호선, 4호선은 두 개(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의 운영사가 운영하고 있다.[3] 현재 전 구간의 공사는 완료되어 있으나 두 노선의 직결지점인 홍함역의 부실공사로 인해 안전점검 및 부실시공된 부분을 일부 재시공하면서 개통이 지연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두 노선의 직결 문단 확인.[4] 이쪽은 종점 거의 직전인 야우마테이역, 호만틴역, 그리고 종점인 왐포아역만 이렇고, 거기다 출퇴근시간대에는 열차가 반 가까이 호만틴역에서 시종착하니, 크게 의미가 있지는 않다.[5] 경의선이랑 서울교외선대곡역에서 교차하긴 하지만 직결되지 않고, 대곡소사선대곡역에서 교차만 하지 직결할 계획은 없다. 4호선의 경우는 한국철도공사 구간인 안산선 전 구간과 과천선금정역 ~ 인덕원역 구간이 한때 1호선과 직결운행을 한 적이 있으며, 수인선과 선로를 공유한다.[6] 이 다리는 '태국-라오스 친선 다리(Thai-Laos Friendship Bridge)'라는 이름으로, 라오스로 건너가는 철도 선로가 도로에 노면전차 선로처럼 파여 있다. 열차가 노면 전차처럼 다리를 건너는 보기 드문 모습을 볼 수 있는 곳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