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모아자동차
[image]
본 회사 소속 차량은 전부 차 앞면에 붙어있던 CNG 스티커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회사 자체 스티커를 붙이고 다닌다.
[image]
홈페이지
1. 개요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공영차고지[1] 에 본사를, 강서구 강서공영차고지에 영업소를 둔 주간선업체이다. 본사는 마포구 상암동 월드컵파크 7단지 건너편 인근에 있으며, 천연가스 충전소도 있다. 이 충전소는 상암동에서 회차하는 노선들과 덕은동에 있는 신촌교통 차량들이 충전을 위해 방문하기도 한다. 2004년 서울특별시의 주간선 노선을 운행할 4개의 주간선업체 컨소시엄 입찰 당시 '''중부운수 컨소시엄'''이라는 명칭으로 은평권역 주간선업체 컨소시엄을 구성한 것이 시초이며, 후에 우선 협상자로 선정[2] 됨에 따라 지금의 사명인 '다모아자동차'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중부운수, 선진운수, 김포교통, 공항버스, 도원교통에서 출자했다. 한때 대주주는 중부운수이며 중부운수 회장이 다모아자동차 대표이사를 겸했다. 그러다가 중부운수 이경동 회장이 중부운수를 매각하면서 지금은 개인주주자격으로 남아있다.
예전엔 차고지를 은평구 수색동과 강서구 방화동(공항버스 차고지, 김포교통 차고지)에 두었으며, 2008년 이후 각각 공영 차고지가 신설된 상암동 및 개화동으로 이전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당시 161번의 단축 등으로 논란이 있었으나, 현재는 어느 정도 조용한 편이다.
현대자동차의 버스만 100% 운용한다. 초기에는 선진운수에서 컨소시엄으로 넘어온 BS106 차량을 270번에 투입했었으나 이후 전량 대차했다. 다른 주간선업체와 마찬가지로 이베코 굴절버스도 있었으나 일부는 매각했으며, 일부는 예비차로 남아 있다가 모두 대차되었다.
다모아자동차의 슬로건은 "안전하고, 친절하며, 질서있고, 깨끗하게", "사랑받는 간선버스"이다. 실제로 다모아 기사님들이 다른 노선에 비해 과속이 덜하고, 차 내부가 상대적으로 깨끗하며, 친절도도 좋은 편이다.[3] 2016년 여름부터 차 앞면에 붙어있던 CNG스티커를 제거하고 그자리에 회사 자체 스티커를 모든 차량이 붙이고 다닌다. 측면 CNG스티커는 놔두고, 뒤출입문 바깥쪽 위 공간에 '''다모아자동차 XXX'''(노선번호)라고 붙인다. 신차도 예외없이 모두 부착한다.[4]
주간선업체 중 유일하게 2017년형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고상형이 존재한다. 당시 보조금 부족으로 인한 현상으로 06년식 NSAC 저상 대차분이다.[5]
2020년 1월 부로 서울 은평구에 소재한 시내버스 업체 보광교통과, 중랑구에 소재한 시내버스 업체 보광운수를 인수하였다. 이후로는 두 회사 차량에도 다모아자동차 회사 로고가 부착되었다. 단 보광은 노란색 번호가 HY울릉도B체가 아닌 DIN체다. 다모아는 HY울릉도B체.
2. 운행 노선
- 270 : 상암공영차고지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가좌역 - 연남동 - 신촌역 - 이대역 - 아현역 - 충정로역 - 서대문역 - 광화문역 - 종로 - 동대문역 - 신설동역 - 제기동역 - 청량리역 - 중랑교 - 중랑역 - 상봉역 - 망우역 - 양원역입구[6][7]
- 470 : 상암공영차고지 - (MBC, 디지털미디어시티[8] )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가좌역 - 구 성산회관 - 연세대학교 - 이대후문 - 서대문역 - 광화문 - 종로2가 - 남산1호터널 - 순천향병원 - 한남대교 - 신사역 - 논현역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역 - 내곡동(안골마을, 내곡2단지)[9]
- 601 : 개화역, 강서공영차고지 - 김포국제공항[10]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강서구청사거리 - 등촌역 - 염창역 - 성산대교 - 마포구청역 - 구 성산회관 - 연세대학교 - 이대후문 → 경복궁역 → 안국역 → 혜화역 → 종로3~1가 → 서대문역 → 독립문공원 → 이대후문
- 710 : 상암공영차고지 - MBC, 디지털미디어시티 - 월드컵경기장역 - 마포구청역 - 연세대학교 - 이대후문 - 경복궁역 - 안국역 - 창덕궁 - (혜화역[11] ) - 한성대입구역 - 성신여대입구역 - 길음역 - 미아사거리역 - 미아역 - 수유역, 강북구청
- N26 : 개화역, 강서공영차고지 - 공항시장역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강서구청사거리 - 등촌역 - 염창역 - 당산역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역 - 이대역 - 아현역 - 충정로역 - 서대문역 - 종로 - 신설동역 - 제기동역 - 청량리역 - 중랑교 - 중랑역 - 상봉역 - 망우역 - 중랑공영차고지, 신내역(메트로버스와 공동배차)
3. 폐선된 노선
- 161 : 방화동 - 도봉산역(2008년 12월 19일 방화동 - 마포구청 단축 및 상암동 연장과 710번으로 변경)
- 700 : 상암동 - 동대문역사문화공원(2005년 8월 1일 폐선)
- 6600 : 개화동 - 경인아라뱃길(2011년 11월 7일 폐선, 김포교통, 공항버스, 오케이버스와 공동 배차)
- 8620 : 한강시민공원 - 장충체육관(2011년 11월 7일 폐선, 중부운수, 공항버스와 공동 배차)
- 8663 : 가양역 - 여의도(2016년 10월 31일 폐선)
4. 면허 체계
- 서울 70 사 65##호, 7812호[12]
- 서울 74 사 13##~14##호, 18##호, 23##~25##호, 30##호, 41##호, 46##호, 54##호, 57##호, 62##호, 65##호, 72##호, 76##호, 80##호, 95##~97##호
- 서울 75 사 11##~13##호, 16##호, 26##호
5. 보유차량
5.1. 현재 보유차량
5.1.1. 현대자동차
5.2. 과거 보유차량
5.2.1. 현대자동차
5.2.2. 자일상용차
5.2.3. 이베코
- 이베코 Irisbus Cityclass 천연가스버스
6. 지분구조
[1] 그러나 상암동공영차고지에 입주해 있는 업체는 다모아뿐이라는 것. 물론 전체 면적이 타 공영차고지에 비해 좁은 편.[2] 당시 은평권역 2순위 입찰자는 '우리운수 컨소시엄'이었으며, 상진운수의 주도로 신촌교통, 서부운수, SM버스가 출자한 회사였다. 우리운수 컨소시엄은 은평 권역과 강동 권역에서 전부 2순위 입찰자가 되면서 결국 주간선 업체로 선정되지 못했다.[3] 서울 시내버스 중에서는 다모아자동차 이외에도 과거 대주주였던 중부운수 그리고 신촌교통, 김포교통, 태진운수, 현대교통, 북부운수, 도원교통, 경성여객이 차량 관리를 잘 하며 한남여객운수, 한성운수, 선진운수, 제일여객, 서부운수, 영인운수, 상진운수 등의 회사들은 차량 관리를 정말 안 한다.[4] 다모아자동차 외에는 도원교통, 경성여객, 신인운수가 이렇게 적용한다. 단 이 회사들은 노선 번호만 부착한다.[5] 한국brt의 경우도 2017년 후반에 고상버스 출고를 시도했으나 주문 취소한 이력이 있다. 당시 360번의 BS110CN 대차분으로 출고될 예정이었으나 2017년 후반 주간선 업체 한정으로 저상 보조금이 확보되어 저상으로 그대로 대차되었다. 다모아는 스펀지 시트지만 이 취소분들은 투톤 로우백 시트가 적용되어 있다.[6] 경성여객 서울 버스 271번과 동교동삼거리 - 중랑교 구간이 겹치고 종점인 상암공영차고지에서도 만난다. [7] 상암공영차고지가 개장하기 전에는 은평공영차고지에서 출발했으며, 중랑공영차고지까지 운행했었다.[8] 내곡동 방향만 경유[9] 상암공영차고지가 개장하기 전에는 은평공영차고지에서 출발했다.[10] 양 방향 차량이 정차하기 때문에 BMS나 전면 행선판 확인 필수[11] 수유역 방향만 경유[12] 74사 7561호에서 전환되었다.[13] 선진운수 출신이며 2005년경에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대차하였고 해당 차량들은 군포교통 등으로 매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