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락

 

1. 몽골의 전통주
1.1. 편견
1.2.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2. 천원돌파 그렌라간의 등장인물
3. 대한민국의 PC 주변기기 업체 i-rocks


1. 몽골의 전통주



Айраг (현대 몽골어, 키릴문자 표기). ᠠᠶᠢᠷᠠᠭ (몽골 문자 표기).
몽골의 전통주. 다른 중앙아시아 유목문명의 영향을 받은 나라에서 대체로 '크므즈'라 불리는 술과 유사하다. 자세한 이야기는 후술.
의 색깔은 하얀색으로 언뜻 보기엔 우리나라의 막걸리와 비슷하지만 원료는 이며 증류한 시밍 아르히가 아닌 이상 대부분 도수가 더 낮다.
[image]
말젖을 이용해 만든 술이니까 마유주(馬乳酒)라고도 부른다고 하지만, 말뿐 아니라 양이나 염소, 야크, 젖소의 젖을 이용해서 충분히 만들수 있고 이런 경우도 많아서 맞지 않는 이름이다. <세계의 차>라는 책을 쓰기도 하고 여러 나라에 그 나라 고유 를 연구한 차 연구가인 일본인 오사다 사치코[1]도 "마유주가 아니라 아이락이라고 불러야 한다"고 의견을 쓴 바 있다. 그녀의 말에 의하면 마유주는 일본에서나 주로 쓰는 언어로, 말젖술이라는 뜻으로 말하면 몽골 현지인들이 "????....뭔 소리야? 그게 뭐지? 저기요. 그것도 먹는건가요?"라는 반응을 보인다고.
은 단순한 식량이 아닌 전투 자원으로 활용되었기 때문에 젖소처럼 젖을 얻어내기 위해 개량할 수 없었다. 당연히 일반 암말에게서 얻는 젖은 양이 적을 수밖에 없는데[2] 보통 손님에게 대접하기 위해 필요한 말젖의 양은 1.5~2L, 즉 12마리의 말이 필요하다고 한다. 게다가 이 젖을 짜내는 데 여름철엔 2시간마다, 가을철엔 3시간마다 이 짓을 해야 하고 특히 좋은 품질의 젖을 얻으려면 어떤 풀을 먹어야 하는가, 그리고 그에 필요한 적정온도를 얼마나 정확하게 유지해야 하는가도 중요했다고 하니, 아이락이 왜 몽골인들의 국민주가 되었는지 알 만하다.[3] 대개 몽골의 게르나 가정에 방문하게 되면 아이락 한 잔을 권유받게 되는 경우가 많으나, 처음 먹게 되는 사람의 경우 설사를 조심할 필요가 있다.
[image]
그렇게 짜내서 얻은 말젖은 위 사진의 가죽 가방 안에 넣고 나무 막대기로 규칙적으로 저어서 섞어 아이락으로 만들어낸다. 몽골인들의 말에 따르면, 처음엔 맛이 순하지만 오래 두면 신맛이 나고 와인 정도의 알코올이 생긴다고 한다.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4]에서도 마유주를 먹지만 '크므즈(kımız,kымыз)'라고 부른다. 터키 정도를 제외하면 이슬람교가 주류인 나라들임에도 몽골처럼 젖을 발효한 술 문화가 살아 남았던 이유는 사막 환경이기 때문(여기는 주로 낙타의 젖을 쓴다). 아이락 외에도 대추야자를 발효시킨 술이 있는데, 사막에서는 물을 찾기 어렵고 또 오아시스의 물에는 기생충과 병균이 많은지라 그냥 마시는게 어렵다보니 사실상 물 대용으로서 마셨기 때문이다. 이슬람 초기에 "술은 무조건 금지"라고 하다가 이런 유목민들에게 "그냥 죽으라고?"라는 비웃음을 받고서야 허용했다. 때문에 아이들이고 여자들도 이걸 마시는 경우가 많았다. 물 대신 마시는 것이니까.
한편 터키에서는 '아이란(Ayran)'이라 하여 어원은 같지만 인도라씨처럼 '''물 탄 요구르트'''로 바뀌었다. 참고로 에르도안이 터키 고유 음식은 아이란이지 라크가 아니라고 했다가 욕 무지 퍼먹었던 바 있다. 샤다라빠는 터키에 축구 보러 가서 아이란을 많이 먹어봤는데 이것도 먹다 보면 맛이 좋다고 평했다.
몽골 본국에선 말젖을, 내몽골 자치구에선 우유로 아이락을 만든다.
몽골군 전투식량에도 이 아이락이 포함되어 있다.

1.1. 편견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가 선정한 세계 10대 혐오 음식들 중 1위를 차지했다.[5]
그러나 본래의 아이락은 깨끗한 몽골 고원의 풀만 먹고 자란 말의 젖으로 만든 술이기 때문에 혐오할 만한 악취가 나는 것도, 사연이 있는 것도 아니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서방세계의 편협적인 시각이 담긴 선정이 아니냐는 의견이 있다. 젖 짜다가 가죽 부대에 넣고 치대서 만드는 음료가 요거트치즈, 버터보다 혐오 음식일 건 또 뭐란 말인가? 애초에 서방세계의 대표음식 중 하나인 치즈도 아이락처럼 똑같이 동물의 젖을 이용해서 만드는 물건이고, 치즈 중에는 이탈리아카수 마르주처럼 아예 구더기를 레시피의 일부로 포함시켜버리는 것들도 있는데 이런 것들을 제치고 아이락이 1위를 차지한 것은 객관적으로도 문제가 있다고 볼 수밖에는 없다.

1.2.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그뿐 아니라 어디에서 알았는지 말젖으로 만든 술까지 목록에 들어 있었다. 뇨히라에는 북방 지역을 경유해 동쪽 끝에 있는 초원과 황야의 나라에서도 사람과 물자가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 아마 그들에게서 들은 것이리라.
>
>늑대와 향신료 17권 종막 中
그 외에도 크래프트 로렌스가 양치기 노인 하스킨즈에게 양의 젖을 발효시킨 술을 대접받는 장면도 있다.
  • 눈물을 마시는 새에서는 주인공 일행이 시구리아트 유료도로에서 이 술을 대접받는다. 작중에서는 아르히라고 명시하지만 묘사를 보면 아르히와 아이락의 특징이 섞여있다. [6] 맛이 부드럽고 마시기 쉽다는 점은 아이락, 맑고 은근한 빛깔에 확 치밀어오르는 술기운은 아르히에 가깝다. 작중에서는 말 젖이나 산양의 젖으로 만든다는 것 까지 언급된다. 다만 그 레콘도 만취할 정도인 것을 보면 도수는 무지하게 높은 듯.
  • 얼음과 불의 노래의 기마민족 도트라키들이 나오는 파트를 보면 마유주를 많이 마신다. 말로 살고 말로 죽는 민족이니 당연히 즐겨 마실 것이다.
  • 영민 0명으로 시작하는 변경 영주님에서도 언급된다. 히로인인 이루나가 즐거운 일이 있으니 술을 마시자 할 때 주인공이 자신이 살던 땅의 독한 술을 생각해서 반발했지만 마셔보니 도수가 낮은 음료수 수준이라 오해를 풀게 된다.
  • 칭기즈 칸의 일대기를 다루는 매체에서는 젤메를 언급할때 꼭 마유주가 언급된다. 칭기즈칸이 부상으로 사경을 헤멜때 적진 한복판으로 매복해 들어가 마유주를 훔쳐왔기 때문. 적에게 잡히면 어쩔뻔 했냐는 질책에 항복하는 척 하다가 훔쳐올 생각이었다고 답변해 그 용기와 지혜에 감복한 칭기즈 칸이 노예라는 출신도 아랑곳없이 그를 각별히 신임했다고 한다.
  • 대항해시대 3에서 중앙아시아 지역 도시를 방문할때 마유주가 술집에서 마실수 있는 술로 나온다.
  • 고스트 오브 쓰시마에서 등장은 안하지만 살짝 언습된다. 주인공 사카이 진이 자신의 유모였던 유리코와 대화 하면서 몽골군은 우유로 만든 술을 마신다고 언급하자 유리코는 그딴건 술도 아니라며 깐다(...)
[1] 남편이 한국인으로 한국 국적도 있어서 한국에서도 지낸다.[2] 우리나라에서도 타락죽을 만들려고 ― 물론 젖소가 아닌 순수 한우(韓牛) ―의 젖을 짜내야 했는데, 그 양이 너무 적어서 왕의 보양식으로만 쓰였다.[3] 그렇다고 모든 몽골인들이 만드는 건 아니고, 오랜 시간과 정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부 가정에서만 만든다고 한다.[4]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5] 여담으로 2위는 아이슬란드하우카르틀이, 6위와 7위는 제비집 요리와 송화단이 뽑혔다.[6] 현실에서는 아이락은 발효주, 아르히는 증류주로 꽤 차이가 있다.


2. 천원돌파 그렌라간의 등장인물




3. 대한민국의 PC 주변기기 업체 i-rocks


제조사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