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노선망

 


1. 개요
2. 국내선
3. 국제선
3.1. 동북아
3.2. 동남아시아
3.3. 중앙아시아/러시아


1. 개요


상당수 항공편이 김해국제공항에서 출발/도착한다. 회사 이름답게 부산지역을 메인으로 신경쓰는 항공사다.

2. 국내선


'''국내선'''
'''운항노선'''
'''운항횟수'''
부산

서울(김포)
14~15회/일
제주
10~14회/일
서울(김포)

제주
4~6회/일
울산
1~2회/일
울산

제주
3회/일
  • 부산 - 서울(김포): 그 유명한 3060 관광,[1] 모든 항공편에 아시아나항공코드셰어가 걸려 있다.
※ 운항 중지 노선

3. 국제선


김해국제공항을 허브로 삼은 항공사답게 '''상당수 국제선 항공편이 김해국제공항에서 출발한다.'''[2]
※ 2020년 2월 정기노선 기준. 전세기는 서술하지 않는다.

3.1. 동북아


'''도시'''
'''공항'''
'''운항횟수'''
'''부산(김해) 착발 노선'''
[image]
도쿄
나리타 국제공항
2회/일[3]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
2회/일
후쿠오카
후쿠오카 공항
4회/일
삿포로
신치토세 공항
3회/주
나고야
센트레아 나고야 중부국제공항
4회/주
[image]
칭다오
칭다오 류팅 국제공항
1회/일
시안
시안 셴양 국제공항
2회/주
옌지
연길 조양천 공항
6회/주
장자제
장자제 허화 국제공항
4회/주
싼야
싼야 펑황 국제공항
4회/주
하이커우
하이커우 메이란 국제공항
2회/주
[image]
홍콩
홍콩 국제공항
1회/일
[image]
마카오
마카오 국제공항
1회/일
[image]
타이베이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2회/일
가오슝
가오슝 국제공항
1회/일
'''서울(인천) 착발 노선'''
[image]
도쿄
나리타 국제공항
1회/일
나고야
센트레아 나고야 중부국제공항
1회/일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
1회/일
[image]
닝보
닝보 리쉬 국제공항
3회/주
청두
청두 솽류 국제공항
3회/주
선전
선전 바오안 국제공항
6회/주

3.2. 동남아시아


'''도시'''
'''공항'''
'''운항횟수'''
'''부산(김해) 착발 노선'''
[image]
세부
막탄 세부 국제공항
1회/일
칼리보
칼리보 국제공항
4회/주
[image]
씨엠립
씨엠레아프 국제공항
4회/주
[image]
비엔티안
왓따이 국제공항
6회/주
[image]
다낭
다낭 국제공항
2회/일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
1회/일
호치민
떤선녓 국제공항
1회/일
나트랑
깜라인 국제공항
1회/일
[image]
코타키나발루
코타키나발루 국제공항


3.3. 중앙아시아/러시아


'''도시'''
'''공항'''
'''운항횟수'''
'''부산(김해) 착발 노선'''
[image]
울란바토르
칭기즈 칸 국제공항
2회/주
[image]
블라디보스토크
블라디보스토크 국제공항
3회/주

[1] 김포국제공항에서 매시 30분에 출발, 김해국제공항에서 매시 정각에 출발.부산 12시 출발편과 서울 13시 30분 출발편은 없음. 동시간대 부산~제주 노선으로 운영.[2] 제주항공이 제주 착발 국제선이 2개밖에 없는 것 빼고는 모두 인천국제공항 착발이라는 점과 대비된다. 2016년에 대구국제공항, 2019년에 인천국제공항발 노선을 운항하기 시작한 것은 김해국제공항 슬롯이 포화 상태이기 때문이다. 2020년 기준 에어부산은 대구공항에서 모두 철수한 상태이다.[3] 델타 항공이 2012년 5월 27일 부로 부산 - 도쿄 노선을 단항, 델타 이후 들어온 에어아시아 재팬까지 철수하면서 더블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