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바 롯데 마린즈/역대 선수

 




1. 개요
2. 역대 선발투수 로테이션
3. 역대 마무리 투수
4. 역대 외국인 선수


1. 개요


치바 롯데 마린즈의 역대 선수 기록들에 대해 서술한 문서이다.

2. 역대 선발투수 로테이션


'''2015년'''
'''와쿠이 히데아키'''
'''오미네 유타'''
'''이대은'''
'''이시카와 아유무'''

'''천관위'''



'''세키야 료타'''
'''2016년'''
'''와쿠이 히데아키'''

'''카라카와 유키'''
'''제이슨 스탠드리지'''
'''이시카와 아유무'''
'''후타키 코타'''



'''세키야 료타'''
'''2017년'''

'''사사키 치하야'''
'''후타키 코타'''
'''카라카와 유키'''
'''와쿠이 히데아키'''

'''천관위'''



'''사카이 토모히토'''
'''2018년'''
'''이시카와 아유무'''
'''마이크 볼싱어'''

'''후타키 코타'''
'''와쿠이 히데아키'''

'''아리요시 유키'''







'''타네이치 아츠키'''
'''2019년'''
'''이시카와 아유무'''
'''마이크 볼싱어'''

'''후타키 코타'''

'''니시노 유지'''

'''타네이치 아츠키'''



'''오지마 카즈야'''
'''2020년'''
'''이시카와 아유무'''
'''타네이치 아츠키'''
'''미마 마나부'''
'''후타키 코타'''
'''오지마 카즈야'''
'''이와시타 다이키'''

3. 역대 마무리 투수


  • 마무리 투수로 3세이브 이상을 기록한 선수만 기입해 주세요.
  • 마무리 직책을 완전히 이임한 경우 취소선을 그어주세요. 또한 오래 전 기록의 경우는 집단 마무리인지 마무리 교체인지 애매한 경우가 많아서 확인이 가능하다면 틀린 기록은 수정 바랍니다.
  • 전문 마무리가 등장하기 이전[1] 기록에는 세이브가 많은 선수를 기록하고는 있지만 마구잡이 등판으로 세이브가 쌓였을 뿐 사실상 마무리가 아닌 경우도 많으니 감안 부탁드립니다.[2] 또한 1974년부터 세이브 기록이 남아있기 때문에 1974년부터 기록했습니다.
'''1974년'''
'''나리타 후미오'''
'''미츠이 마사하루'''
'''1975년'''
'''무라타 쵸지'''[3]
'''미츠이 마사하루'''
'''1976년'''
'''무라타 쵸지'''
'''미츠이 마사하루'''
'''1977년'''
'''무라타 쵸지'''
'''미츠이 마사하루'''
'''나리시게 하루오'''
'''타나카 요시오'''
'''1978년'''
'''무라타 쵸지'''
'''야기사와 소로쿠'''
'''1979년'''
'''쿠라모치 아키라'''
'''1980년'''
'''쿠라모치 아키라'''
'''1981년'''
'''쿠라모치 아키라'''
'''우메자와 요시카츠'''
'''1982년'''
'''카나이 마사요시'''
'''쿠라모치 아키라'''
'''우메자와 요시카츠'''
'''1983년'''
'''스티브 셜리'''
'''1984년'''
'''우메자와 요시카츠'''
'''니시이 테츠오'''
'''1985년'''
'''우메자와 요시카츠'''
'''장승슝'''
'''오가와 히로시'''
'''미기타 카즈히코'''
'''니시이 테츠오'''
'''사토 마사오'''[4]
'''1986년'''
'''장승슝'''[5]
'''1987년'''
'''우시지마 카즈히코'''
'''1988년'''
'''우시지마 카즈히코'''
'''1989년'''
'''이라부 히데키'''
'''히라누마 사다하루'''
'''1990년'''
'''장승슝'''
'''1991년'''
'''시라타케 요시히사'''[6]
'''1992년'''
'''카와모토 야스유키'''
'''1993년'''
'''카와모토 야스유키'''
'''1994년'''
'''나리모토 토시히데'''
'''1995년'''
'''나리모토 토시히데'''[7]
'''카와모토 야스유키'''
'''1996년'''
'''나리모토 토시히데'''[8]
'''카와모토 야스유키'''
'''1997년'''
'''카와모토 야스유키'''
'''1998년'''
[9]
'''브라이언 워렌'''
'''후지타 소이치'''
'''요시다 아츠시'''
'''1999년'''
'''브라이언 워렌'''
'''2000년'''
[10]
'''코바야시 마사히데'''
'''2001년'''
'''코바야시 마사히데'''
'''2002년'''
'''코바야시 마사히데'''
'''2003년'''
'''코바야시 마사히데'''
'''2004년'''
'''코바야시 마사히데'''
'''2005년'''
'''코바야시 마사히데'''
'''2006년'''
'''코바야시 마사히데'''
'''2007년'''
[11]
'''코바야시 마사히데'''
'''2008년'''
'''오기노 타다히로'''
'''2009년'''

'''브라이언 시코스키'''
'''2010년'''
'''코바야시 히로유키'''
'''2011년'''
'''야부타 야스히코'''
'''2012년'''
[12]
'''야부타 야스히코'''
'''2013년'''
'''마스다 나오야'''
'''2014년'''
'''니시노 유지'''
'''2015년'''

'''우치 타츠야'''[13]
'''2016년'''

'''마스다 나오야'''[14]
'''2017년'''
[15]
'''우치 타츠야'''
'''2018년'''
[16]
'''우치 타츠야'''
'''2019년'''
'''마스다 나오야'''
'''2020년'''
'''마스다 나오야'''

4. 역대 외국인 선수


  • USA : 미국
  • DOM : 도미니카 공화국
  • VEN : 베네수엘라
  • KOR : 한국
  • PRI : 푸에르토리코
  • CUB : 쿠바
  • TWN : 대만
  • MEX : 멕시코
  • BRA : 브라질
  • PAN : 파나마
[17]
2003
브라이언 시코스키(Brian Patrick Sikorski)
USA
투수

호세 페르난데스(1974)[18](José Mayobanex Fernández Rojas)
DOM
3루수

나탄 민치(Nathan Derek Minchey)
USA
투수

데릭 메이(Derrick Brant May)
USA
외야수

릭 쇼트(Richard Ryan "Rick"Short)
USA
3루수[19]

로버트 로즈[20](Robert Richard "Bobby"Rose)
USA
2루수, 3루수
개막 전 방출[21]
2004
베니 아그바야니(Benjamin Peter "Benny"Agbayani)
USA
외야수, 지명타자

이승엽(李承燁)
KOR
1루수, 좌익수[22], 지명타자

댄 세라피니[23](Daniel Joseph Serafini)
USA
투수

나탄 민치(Nathan Derek Minchey)
USA
투수

맷 프랑코(Matthew Neil Franco)
USA
1루수, 3루수, 외야수

2005
베니 아그바야니(Benjamin Peter "Benny"Agbayani)
USA
외야수, 지명타자

이승엽(李承燁)
KOR
1루수, 좌익수[24], 지명타자

댄 세라피니[25](Daniel Joseph Serafini)
USA
투수

발렌티노 파스쿠치(Valentino Martin Pascucci)
USA
외야수

맷 프랑코(Matthew Neil Franco)
USA
1루수, 3루수, 외야수

2006
베니 아그바야니(Benjamin Peter "Benny"Agbayani)
USA
외야수, 지명타자

맷 왓슨[26](Matthew Kyle Watson
USA
외야수

발렌티노 파스쿠치(Valentino Martin Pascucci)
USA
외야수

맷 프랑코(Matthew Neil Franco)
USA
1루수, 3루수, 외야수

케빈 반(Kevin Patrick Beirne)
USA
투수

저스틴 밀러[27](Justin Mark Miller)
USA
투수
시즌 중 영입
2007
베니 아그바야니(Benjamin Peter "Benny"Agbayani)
USA
외야수, 지명타자

훌리오 줄레타(Julio Ernesto Zuleta Tapia)
PAN
1루수, 지명타자

호세 오티즈(José Daniel Ortiz Flores)
DOM
1루수, 2루수

맷 왓슨[28](Matthew Kyle Watson
USA
외야수

우스요우[29](吳偲佑)
TWN
투수

2008
베니 아그바야니(Benjamin Peter "Benny"Agbayani)
USA
외야수, 지명타자

브라이언 시코스키(Brian Patrick Sikorski)
USA
투수

훌리오 줄레타(Julio Ernesto Zuleta Tapia)
PAN
1루수, 지명타자

윈스턴 아브레이유(Winston Leonardo Abreu Soler)
DOM
투수

호세 오티즈(José Daniel Ortiz Flores)
DOM
1루수, 2루수

우스요우[30](吳偲佑)
TWN
투수

2009
후안 카를로스 무니즈(Juan Carlos Muniz Armenteros)
BRA[31]
외야수
육성선수 입단[32]
브라이언 시코스키(Brian Patrick Sikorski)
USA
투수

체이스 람빈(Chase Morrow Lambin)
USA
유격수, 2루수[33]

게리 번햄 주니어(Gary Robert Burnham Jr.)
USA
1루수

베니 아그바야니(Benjamin Peter "Benny"Agbayani)
USA
외야수, 지명타자

2010
김태균(金泰均)
KOR
1루수

빌 머피(William RW Murphy)
USA
투수

브라이언 코리(Bryan Scott Corey)
USA
투수

후안 카를로스 무니즈(Juan Carlos Muniz Armenteros
BRA[34]
외야수

헤이든 펜(Hayden Andrew Penn)
USA
투수
시즌 중 영입
린옌펑(林彦峰)
TWN
투수
육성선수[35]
2011
카를로스 로사(Carlos Rosa Mayi)
DOM
투수

헤이든 펜(Hayden Andrew Penn)
USA
투수

밥 맥크로리(Robert Glenn "Bob"McCrory)
USA
투수
시즌 중 방출[36]
빌 머피(William RW Murphy)
USA
투수

김태균(金泰均)
KOR
1루수
시즌 중 방출[37]
호세 카스티요(José Rondon Castillo)
VEN
1루수
시즌 중 영입[38][39]
차이센푸(蔡森夫)
TWN
1루수
육성선수[40]
린옌펑(林彦峰)
TWN
투수
육성선수[41]
2012
세스 그레이싱어(Seth Adam Greisinger)
USA
투수

조시 화이트셀(Joshua S. Whitesell)
USA
1루수

카를로스 로사(Carlos Rosa Mayi)
DOM
투수

헤이든 펜(Hayden Andrew Penn)
USA
투수

윌 레데즈마(Wilfredo Jose "Wil"Ledezma Acosta)
VEN
투수
시즌 중 영입
덕 매티스(Douglas Alan Mathis)
USA
투수
시즌 중 영입
차이센푸(蔡森夫)
TWN
1루수
육성선수[42]
2013
세스 그레이싱어(Seth Adam Greisinger)
USA
투수

조시 화이트셀(Joshua S. Whitesell)
USA
1루수

카를로스 로사(Carlos Rosa Mayi)
DOM
투수

디키 곤잘레스(Dicky Angel González Vallenilla)
PRI
투수

윌 레데즈마(Wilfredo Jose "Wil"Ledezma Acosta)
VEN
투수

크레이그 브라젤(Craig Walter Brazell)
USA
1루수, 지명타자
시즌중 영입
2014
세스 그레이싱어(Seth Adam Greisinger)
USA
투수

루이스 크루즈(Luis Alfonso Cruz Bojorque)
MEX
2루수

카를로스 로사(Carlos Rosa Mayi)
DOM
투수

크레이그 브라젤(Craig Walter Brazell)
USA
1루수, 지명타자

채드 허프만(Chad Daniel Huffman)
USA
외야수

알프레도 데스파이네(Alfredo Despaigne Rodriguez)
CUB
좌익수, 지명타자
시즌 중 영입
2015
알프레도 데스파이네(Alfredo Despaigne Rodriguez)
CUB
좌익수, 지명타자

루이스 크루즈(Luis Alfonso Cruz Bojorque)
MEX
2루수

카를로스 로사(Carlos Rosa Mayi)
DOM
투수

이대은(李帶溵)
KOR
투수

천관위(陳冠宇)
TWN
투수

채드 허프만(Chad Daniel Huffman)
USA
외야수
방출 후 재계약[43]
차승 백(Chaseung Baek/白蹉承[44])
USA[45]
투수
시즌중 영입
2016
알프레도 데스파이네(Alfredo Despaigne Rodriguez)
CUB
좌익수, 지명타자

제이슨 스탠드리지(Jason Wayne Standridge)
USA
투수

야마이코 나바로(Yamaico Navarro Pérez)
DOM
2루수

이대은(李帶溵)
KOR[46]
투수

천관위(陳冠宇)
TWN
투수

2017
지미 파레디스(Jimmy Santiago Paredes Terrero)
DOM
1루수

맷 더피(Matthew Edward Duffy)
USA
3루수

제이슨 스탠드리지(Jason Wayne Standridge)
USA
투수

천관위(陳冠宇)
TWN
투수

윌리 모 페냐(Wily Modesto Peña Gutierrez)
DOM
지명타자
시즌중 영입
로엘 산토스(Roel Santos Martinez)
CUB
외야수
시즌중 영입
2018
마이크 볼싱어(Michael P. Bolsinger)
USA
투수

에드가 올모스(Edgar Olmos)
USA
투수

태너 셰퍼스(Tanner Ross Scheppers)
USA
투수

맷 도밍게스(Matthew Scott Dominguez)
USA
3루수

천관위(陳冠宇)
TWN
투수

프란시스코 페게로(Francisco Peguero Báez)
DOM
외야수
시즌중 방출[47][48]
2019
마이크 볼싱어(Michael P. Bolsinger)
USA
투수

조시 레이빈(Joshua Joseph Ravin)
USA
투수

브랜든 만(Brandon Michael Mann)
USA
투수

천관위(陳冠宇)
TWN
투수

브랜든 레어드(Brandon J. Laird)
USA
3루수

케니스 바르가스(Kennys Vargas)
PRI
지명타자

레오니스 마틴(Leonys Martín Tápanes)
CUB
외야수
시즌중 영입
2020
프랭크 허먼(Frank Joseph Herrmann)
USA
투수

제이 잭슨(Randy "Jay" Jackson Jr.)
USA
투수

천관위(陳冠宇)
TWN
투수

브랜든 레어드(Brandon J. Laird)
USA
3루수

레오니스 마틴(Leonys Martín Tápanes)
CUB
외야수

호세 플로레스(Jose Antonio Flores)
VEN
투수
육성선수 입단[49]
호세 아코스타(Jose Leonel Acosta Almonte)
DOM
투수
육성선수 입단

[1] 대충 1980년대 이전.[2] 당장 이 시기 시즌에는 세이브가 기록이 돼있다고 해도 1시즌 팀 전체 세이브가 10~15개인 해도 많다.[3] 선발 위주로 뛰고 마무리로는 종종 보직파괴로 등판했는데도(39경기 17선발 191.2이닝을 기록했다. 9승 12패 13세이브 ERA 2.21.) 이 해 최우수 평균자책과 세이브왕을 기록했다.[4] 나무위키에 항목이 만들어진 짱구 캐릭터 사토 마사오가 아니다.[5] 원래 대만인이었으나 후에 일본으로 귀화한 케이스로 롯데에서는 소 카츠오라는 일본식 독법으로 등록됐다. 5년 연속 10승 달성에 마무리로도 2년 정도 뛰었던 누적기록이 그렇게 대단하지는 않지만 대만 출신 선수로 일본에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던 당시 대만 최고의 투수 중 한 명이었다. 거기다가 이 선수는 대학까지 대만에서 나와서 용병 자격으로 뛰어야 했는데도.(당시 일본프로야구는 지금처럼 용병쿼터가 넓지 않았다. 1군에서 가용할 수 있는 용병이 팀당 2명 수준에 2군 무제한 영입 따위는 물론 없었다.)[6] 롯데 오리온즈 최후의 마무리투수.[7] 메인 마무리는 나리모토였지만 셋업이었던 카와모토도 종종 세이브 요건에 올라와서 10세이브를 거뒀다. 사실상 더블 스토퍼.[8] 메인 마무리는 나리모토였지만 셋업이었던 카와모토도 종종 세이브 요건에 올라와서 10세이브를 거뒀다. 사실상 더블 스토퍼. [9] 당초 마무리였으나 9세이브에 그치고 시즌 중 마무리를 넘겼다.[10] 1998년 대만프로야구에서 준수한 불펜용병으로 뛰다가 시즌 중에 롯데에 입단하여 1999년부터 마무리 용병으로 뛰었으나 2000년 시즌 중 부진해서 마무리를 코바야시에게 넘겼다. 시즌 후 퇴단하고 한화 이글스에서 마무리 용병으로 영입했으나 부진해서 중도퇴출당했다.[11] 원래 마무리 코바야시가 부진하여 중간에 임시 마무리를 맡았다가 다시 코바야시에게 넘겨주었다.[12] 원래 마무리 야부타가 부진하여 중간에 임시 마무리를 맡았다가 다시 야부타에게 넘겨주었다.[13] 니시노가 시즌 후반에 이탈하면서 후반에 한 달 정도 마무리를 맡았다.[14] 니시노 유지가 시즌 중반에 이탈하면서 후반기 마무리를 맡았다.[15] 시즌 중 부진으로 우치 타츠야애게 마무리를 넘겼다.[16] 시즌 중 부진으로 우치 타츠야가 잠깐 2군에 갔을 때 대체 마무리로 뛰었다가 우치가 복귀하자 다시 마무리를 넘겼다.[17] 리두쉬안 같이 국적은 외국이지만 드래프트로 입단하여 일본인 쿼터에 해당하는 선수는 제외.[18] SK 와이번스에 있던 그 호세 페르난데스 맞다.[19] 이름인 쇼트가 일본어로 유격수를 뜻하는 말이다 보니 이 선수가 롯데에서 뛸 때 올스타전 유격수 부문에서 엄청난 표를 받았다고 한다(...). 일본프로야구는 올스타전 투표를 할 때 모든 선수를 포지션 상관없이 투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일이 가능했던 것.(단 투수를 타자로 투표하거나 타자를 투수로 투표하는 것은 금지.)[20] 요코하마에서 8년을 뛴 장수 외국인 용병. 2년의 공백기를 갖고 롯데에 복귀했으나 흑역사가 되었다.[21] 스프링캠프 도중 야구에 대한 열정이 사라졌다면서 방출을 요구했다.[22] 롯데 시절에 이승엽은 후쿠우라 카즈야에게 밀려 좌익수를 자주 봤다.[23] 2002년 한화 이글스에 영입되어 한국에 입국까지 하였으나 부적격 선수임이 밝혀져서 퇴출되었다. 그 당시에는 직전 시즌과 2년 전 시즌에 메이저리그 확장 로스터에 등록이 되어 있는 선수는 용병으로 데려오면 안 되는데 세라피니는 2년 전에 메이저리그 확장 로스터에 들어 있었기 때문.[24] 롯데 시절에 이승엽은 후쿠우라 카즈야에게 밀려 좌익수를 자주 봤다.[25] 2002년 한화 이글스에 영입되어 한국에 입국까지 하였으나 부적격 선수임이 밝혀져서 퇴출되었다. 그 당시에는 직전 시즌과 2년 전 시즌에 메이저리그 확장 로스터에 등록이 되어 있는 선수는 용병으로 데려오면 안 되는데 세라피니는 2년 전에 메이저리그 확장 로스터에 들어 있었기 때문.[26] 일본을 떠난 후 두산에서 뛰게 된다. 근데 거기선 더 못해서 광속퇴출.[27] 2013년 35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28] 일본을 떠난 후 두산에서 뛰게 된다. 근데 거기선 더 못해서 광속퇴출.[29] 대만 복귀 반 시즌만에 승부조작으로 제명당해 흑역사화.[30] 대만 복귀 반 시즌만에 승부조작으로 제명당해 흑역사화.[31] 쿠바에서 귀화.[32] 입단 한 달만에 지배 등록이 되긴 했다.[33] 사실 투포수 빼고 다 가능한 만능 유틸이었다. 주 포지션이 저 두 개. [34] 쿠바에서 귀화.[35] 퇴단할 때까지 지배 등록되지 않았다.[36] 부상으로 인해 한 경기도 뛰지 못하고 5월에 방출당했다.[37] 사실 계약기간이 남아 있었는데 본인이 공인구 교체로 인한 부진과 도호쿠 대지진으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으로 인해 팀에 방출을 요구했다.[38] 사실상 시즌 중 중도퇴단한 김태균의 대체 용병이다. 일본프로야구는 용병이 무제한이라 대체 영입이라는 표현은 없다.[39] 이후 2018년 12월 6일 베네수엘라 윈터리그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 중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같은 차에 타고 있던 LA 에인절스에서 뛰었던 루이스 발부에나도 사망. 해당 차를 운전했던 카를로스 리베로(2017년 야쿠르트에서 뛰었다.)는 중상을 입었지만 목숨은 건졌다.[40] 퇴단할 때까지 지배 등록되지 않았다.[41] 퇴단할 때까지 지배 등록되지 않았다.[42] 퇴단할 때까지 지배 등록되지 않았다.[43] 2014년 시즌이 끝나고 기대이하의 퍼포먼스로 자유계약으로 풀렸으나 2015 시즌 전에 다시 롯데와 협상을 하여 재입단했다. 시즌 중 입단도 아니기에 사실상 재계약이라고 봐야겠지만...[44] 한국 국적 시절 이름.[45] 한국에서 미국으로 귀화했다.[46] 일본프로야구 최후의 한국인 용병투수. 최후의 용병타자는 하재훈이며 외국인 취급을 받지 않는 김무영까지 총 3명의 한국인이 2016년 일본프로야구에서 뛰었다. 그 후로 일본프로야구에 입단한 한국인은 없다.[47] 본인이 계약해지를 요구하여 7월 초에 웨이버 공시. 시즌 내내 1군 콜업 없이 2군에서만 뛰어서 불만이 있었던 것 같다.[48] 이 선수는 2019년 멕시칸리그에서 타율 .380에 31홈런 OPS 1.078로 터졌다. 물론 멕시칸리그가 공인구 교체 이후 미친듯이 홈런이 급증해서 펠릭스 피에보다 OPS가 낮았지만(...) 그래도 일본에서 나름대로 성공했던 자펫 아마도르, 루이스 크루즈보다도 OPS가 높았으니 한번도 안 긁어본 것은 아쉬운 선수.[49] 다만 3월에 지배 등록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