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권

 

1. 천문학 관련 용어
1.1. 말단 충격
1.2. 태양권 덮개
1.3. 태양권 계면
1.4. 뱃머리 충격
2. 드래곤볼에 등장한 기술
3. 인터넷 방송인


1. 천문학 관련 용어


'''太陽圈'''
'''Heliosphere''' (헬리오스피어)
미항공우주국(NASA) 태양권 설명 페이지 (영어)
[image]
태양권에 대해 알기 쉽도록 그린 그림. 출처는 이곳. 가운데에 희미하게 그려진 동심원들이 바로 태양계 각 행성들의 궤도이다.
쉽게 설명하자면, 성간공간 내에서 태양의 영향력이 미치는 공간. 보이저 1호와 보이저 2호가 태양계 밖으로 진출해 나가면서 일반인들에게도 비로소 널리 알려졌다. 여길 벗어나야 비로소 태양계에서 벗어났다고 말할 수 있게 되는 셈.
주요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소개하는 순서는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순.

1.1. 말단 충격


'''Termination Shock'''
태양으로부터 대략 100AU 정도의 거리에 위치. 참고로 카이퍼 벨트는 대략 50AU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 오르트 구름까지의 넓은 영역에 해당한다.
태양으로부터 뿜어져 나온 태양풍 입자는 태양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이 입자들은 어느 정도까지는 초음속으로 날아가다가, 이곳에 다다르게 되면 성간매질의 방해로 인해 비로소 '''초음속에서 아음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발생하게 되는 충격파를 말단 충격이라 한다. 어찌 보면 소닉붐 현상을 거꾸로 뒤집은 셈.
보이저 1호는 이 지역을 2004년 12월에 통과하였다.

1.2. 태양권 덮개


'''Heliosheath''' (헬리오시스)
태양으로부터 대략 100AU 이상의 거리에 위치. 태양권 계면과 말단 충격 사이의 영역이다. 그 규모는 대략 명왕성 궤도의 2배에 달한다고 한다.
성간매질의 밀도나 태양활동의 변화에 의해 계속 모양이 변하므로, 그림처럼 잘 빠진 혜성의 모습을 띠기보다는 상당히 불규칙한 모습을 가질 것으로 짐작된다. 이 공간 내에서 태양풍 입자들은 아음속으로 날아가며, 물론 태양과 멀어질수록 역시 계속해서 속도가 떨어진다.
이 태양권 덮개라는 것이 (태양 자체가 이미 우리 은하의 속을 공전하므로) 마치 보트가 수면 위를 나아가듯이 후방으로 넓게 퍼지며 혜성의 꼬리 모양을 형성한다고 보는 견해가 많으나, 간혹 태양권을 "비눗방울 모형"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둥그스름한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여하튼 현대 과학으로는 아직 모르는 것이 많은 곳.
2006년에는 보이저 1호가, 2007년에는 보이저 2호가 이 지역에 도착하였다.

1.3. 태양권 계면


'''Heliopause''' (헬리오포즈)
태양으로부터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으나 태양권 덮개의 최외곽 부분에 위치한다. 거리를 정확히 표기하기 어려운 이유는, 태양의 진행방향 쪽의 거리는 말단 충격과 상당히 근접해 있으나, 반대편 방향의 거리는 ("꼬리" 부분이므로) 지극히 멀 것으로 추측되기 때문이다.
이 지점에서 이제 태양풍은 너무 힘이 약해진 나머지 '''더이상 성간매질을 밀어내지 못하고 멈춰 버린다'''. 즉 태양풍의 압력과 성간매질의 압력이 '''평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태양계의 자기권이 은하계의 전류와 만나는 지점이기도 하다. 사실상 여기까지를 태양권으로 상정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계를 넘어가게 되면 더이상 태양은 뚜렷한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며, 비로소 성간공간으로 진입하게 된다.
NASA2005년 발표 중에 언급된 지역이기도 하다. 또한 2012년 12월에는 보이저 1호가 태양권 계면 근처에서 '''"자기 고속도로"'''(Magnetic Highway)라 불리는 특이한 구간을 발견했다. 이 지역에서 태양계의 자기장선과 성간 자기장선이 만나게 되며, 입자들과 성간물질들을 서로 교환하게 된다고 한다. 미항공우주국 플래시 영상
2013년 6월 기준, 보이저 1호는 이미 35년째 정상 비행 중에 있지만, 정작 과학자들은 이 녀석이 지금쯤 태양권을 탈출했는지 아니면 아직 아닌지조차 추정하지 못하고 있다. 태양풍자기장을 단서로 그 여부가 판가름되는데, 태양풍은 거의 사라졌지만 태양 자기장의 영향에서 벗어났다는 징후를 찾지 못했기 때문.#

1.4. 뱃머리 충격


'''Bow Shock'''
은하 속에서 태양도 역시 공전한다. 이에 따라 태양권도 함께 하나의 거품처럼 우주를 여행하게 되는데, 우주가 텅텅 비어있는 게 아니라 성간매질로 가득차 있으므로, 자연히 태양권은 그 진행방향 쪽에서 정면으로 성간매질과 맞부딪치게 된다.[1] 최초 NASA에서 제시한 바에 따르면 뱃머리 충격은 태양으로부터 대략 230AU 정도의 거리에 위치해 있다고 추정되었다.
말단 충격의 경우, 태양으로부터 뿜어져 나온 태양풍의 속도가 초음속에서 아음속으로 내려갈 때 충격파가 발생하면서 형성된다. 반면, 뱃머리 충격은 '''성간매질 입자'''가 (어디까지나 상대속도로) 초음속으로 날아들다가 '''아음속으로 속도가 내려가는 지점'''에서 발생한다.
그런데 2008년 발사된 외우주 연구용 인공위성인 IBEX[2]에 따르면 '''"그런 거 없다"'''가 정답. 천문학계를 충격에 빠뜨린 IBEX의 업적들 중 하나다. 이 위성의 다른 업적들로는 에너지 중성 원자(Energetic Neutral Atoms)와 관련된 각종 연구들을 한 것.
뱃머리 충격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는 '''성간물질이 생각보다 느린 속도로 태양권에 진입한다'''는 게 밝혀졌기 때문. 대략 23.2km/s 또는 83,520km/h 정도인데, 이는 이전의 수치(탐사선 율리시스#s-3의 관측치 26.3km/s 또는 94,680km/h)보다 약 11,160km/h 만큼 느린 것이다. 그 밖에도 입자들의 각도 등 여러 데이터들을 종합해 본 결과, 이런 조건이라면 뱃머리 충격(Bow Shock)이 아니라 뱃머리 파동(Bow Wave)이 될 거라는 결론이 나왔다. 초음속이 아닌 아음속에서 충격파가 발생하지 않는 것과 비슷한 이치.
관련자료 1 (영어)
관련자료 2 (영어)

2. 드래곤볼에 등장한 기술


[ 반짝이는 섬광에 주의 ]
[image]}}}
[image]
'''太陽拳'''
태양권
Solar Flare

'''신학선류 태양권!!'''

'''태양권!!!!!'''

대머리는 기본 패시브로 가지고 있다카더라.
사용자: 천진반, 손오공, 크리링, , 미래 트랭크스
천진반이 작중에서 처음으로 사용했으며, 학선인류의 기술인 것으로 보인다.
양 손을 이마에 가져간 후 엄지손가락을 접고 정면에서 손등이 보이도록[3] 포즈를 취한 뒤, 강렬한 을 발사하는 기술로서 물리적인 파괴력은 전혀 없으나 그 빛으로 상대방의 시야를 한동안 가리는 보조계의 기술이다. 기에 의한 상대방의 움직임을 느끼지 못하는 상대에게는 상당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대방이 기를 느끼는 능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의 전사들은 기를 제로 상태로도 컨트롤 가능하기에 도주용으로는 특히 효과가 탁월하다. 기술의 효율이 상대의 전투력이 아닌 '''시력'''에 달려있기 때문에 '''전투력의 차이에 영향을 적게 받는다'''는 점도 특기할 만하다.[4] 게다가 설령 기를 느낄 수 있다 하더라도 순간적으로 강한 빛을 내서 상대에게 눈뽕을 선사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기습적으로 사용하면 최소한 잠깐 동안 스턴시키는 효과는 기대할 수 있다.
무엇보다 최대의 장점(이자 단점)은 '''사용하기 굉장히 쉬운 기술'''이라는 것. 천진반 외에는 전문적으로 배운 묘사가 있는 캐릭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손오공, 크리링, 셀 등 태양권을 본 적이 있는 캐릭터들은 잘만 사용할 정도로 난이도가 낮은 기술이다.
22회 천하제일무술대회에서 천진반이 무천도사와의 대결에서 첫 사용을 했으며, 태양권에 이은 기습으로 다운을 뺏어낸 바 있다. 의외로 방어법은 간단한데, 바로 선글라스를 끼는 것.(...) 항상 선글라스를 끼고있는 아나운서는 다른 사람들이 태양권에 잠깐 시야를 잃은 상태에서도 선글라스 덕분에 꿋꿋이 중계를 이어갈 수 있었다. 그리고 다시 손오공에게 시전했을 때에는 무천도사의 선글라스를 빌려서 피할 수 있었다[5].
23회 천하제일 무술대회에서는 손오공이 사신권을 쓰고 있는 천진반에게 사용했다. 오공의 대사로는 눈이 너무 좋은 천진반은 눈에 많이 의지하기 때문에 더 효과가 좋았다고. 천진반이 처음 쓴 기술이지만 오히려 천진반의 약점이기도 하다.
손오공베지터와의 대결에서 시간을 벌기 위해 사용한 바 있으며, 크리링 또한 나메크성에서 도도리아프리저에게서 도망치기 위해 각각 사용한 적이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상대가 당황하는 사이에 공격기를 넣으면 매우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거 같은데 정작 공격기로 사용한 적은 이 기술이 맨 처음 등장했을 때(천진반 vs 잭키 춘) 단 한번 밖에 없다. 다만 이 한번에 한해서는 기습적으로 이 기술을 쓴 결과 잭키 춘을 상당히 곤경에 처할 정도로 격차를 벌리는 게 가능했다.
도 신과 융합한 피콜로에게서 도망치기 위해 사용한 적이 있다. 그 뒤로도 셀이 18호를 흡수할 때, 태양권을 쓰고 흡수해버렸다. 완전 기계인 16호가 어째서인지 태양권에 당했다. 먼 훗날 드래곤볼 파이터즈에서도 사용하는데 문제는 스토리 모드에서 '''수 틀리자 도망가는데 썼다는거다.''' 그것도 2번이나. 차라리 순간이동이나 기탄을 이용한 연막이였으면 모를까, 하필 태양권을 써서 셀을 개그캐로 만드는데 큰 축을 담당했다.
여담으로 드래곤볼에서 나오는 몇몇 특수능력들과 콤보로 쓰면 이론상으로는 그야말로 무시무시한 효과를 볼수 있는 기술이다. 가장 많이 언급되는 콤보는 태양권과 기원참 콤보인데, 이 두 기술을 둘 다 마스터한 유일한 캐릭터인 크리링은 왠지 이 콤보를 한번도 쓴적이 없다(...)[6]. 그 외로 콤보로 맞추면 그야말로 무적일듯한 기술들은 바디 체인지, 마봉파아크마이트 광선, 초콜릿이 되어라! 등이 있다. 뭐 그래도 라데츠전 정도라면 마관광살포 시간벌이용으로 썼으면 나쁘진 않았던 기술일 것이다. 다만 태양권의 시력 저하 지속시간이 숨기에는 충분하지만, 10초밖에 안걸린다는 원기옥 차지타임이 끝날 때쯤 베지터의 시력이 회복된 걸 보면, 한번 쓰는 정도로는 택도 없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중 자주 사용되지는 않는 편인데 이것은 어디까지나 태양권이 기습으로 썼을때만 효과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상술했듯 썬글라스를 쓰거나 눈을 감는것으로 무효화가 가능하니, 상대가 바보가 아니고서야 연속 사용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상대의 허를 찌르는 기습에서만 그 효과를 발휘하는 기술.
손오공도 썼던 기술임에도[7][8], 천진반과 크리링의 태양권이 인상에 강하게 남은 것인지, 머리로 태양빛을 반사시키는 듯한 동작과 기술명 때문에 그런 것인지 '''대머리 전용기'''란 인식이 존재한다.
드래곤볼 슈퍼에서 미래 트랭크스도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오공과 베지터가 궁지에 몰리자 태양권을 사용해서 오공 블랙과 자마스를 따돌린다. 참고로 오반에게 사용법을 배웠다고 한다.[9] 힘의 대회를 앞두고 미스틱으로서의 감을 되찾기 위해 손오반이 크리링에게 트레이닝을 받을 때 크리링이 새로 만든 100배 태양권을 선보였는데, 이건 태양을 등지고 일반 태양권보다 훨씬 증폭된 태양권으로 상대의 시야를 완전히 가려버리는 기술. 이 상태에서 기를 완전히 숨긴 크리링을 오반은 바로 근처에 올 때까지 알아차리질 못했을 정도.
콜라보레이션 게임 패미컴 점프 영웅열전에서는 손오공의 기술로 등장하는데, 빛을 발하는 기술이라 그런지 후반 보스인 에시디시에게 태양권을 쓰면 '''즉사한다'''(...). 죠죠의 기묘한 모험 설정상, 에시디시를 비롯한 기둥 속 사내들은 태양광(정확히는 그에 포함된 자외선)에 약하기 때문.
이것에서 유래되어 가끔 텍스트나 채팅방 등에서 하얀 바탕에도 불구하고 글자 색이 너무 밝은 색으로 설정돼서 읽기가 힘들 때 "태양권"이라고 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이렇게. 도로상에서 마주오는 자동차가 HID 전조등[10]을 달고 있거나 하이빔을 쏠 때도 "태양권을 맞았다"고 한다.
갓 오브 워 3에서 헬리오스크레토스에게 마지막 발악으로 태양권을 썼다. 하지만 이때 헬리오스는 중상을 입고 도망칠 수 없는 상태였기 때문에 빛을 뚫고 다가온 크레토스에게 머리를 밟히고 결국 크레토스에게 산채로 머리를 뽑혀 손전등 및 섬광탄 역할을 맡는 무기가 됐다.
Warhammer 40,000: Dawn of War 2와 같은게임처럼 모델링 스킨에 광택효과가 있는 색(골드, 실버 같은 색)으로 전체를 칠하면 건물에서부터 유닛 하나하나까지 모두 반짝이는 눈부신 효과를 주게된다 이를 이용해 상대방에게 태양권을 시전하는 플레이를 하나 문제는 자기유닛이라 자기가 더많이 봐서 자신이 더 눈부시다는 단점이 있다.
2009년 추석특집 무한도전 TV취권에서 이 태양권을 쓰기도 했다. 일단 대머리를 까서 빛을 발생시키고, 그 빛을 손으로 날리는 식인데 성룡(박명수)에겐 아무런 대미지를 주지 못했고, 되려 성룡의 당수를 맞고 KO.
스타크래프트 2에서는 지게로봇 투하, 마패, '/춤'과 더불어 승리를 확신한 선수의 세레머니이기도 하다. 한 곳에 스캔을 집중해 마구 뿌려대면 정말 눈앞이 밝아지면서 태양권과 같은 모습이 연출된다. 임요환도 썼다. 그리고 무난하게 gg를 받아냈다. 스타2 태양권의 예 그리고 임진록에서 또 사용. 덤으로 Star Crafts에도 등장했다.1:11부터
여의도 텔레토비 리턴즈에서 안쳤어도 사용했다.

3. 인터넷 방송인




[1] 따라서 다른 방향에서는 뱃머리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다.[2] 이건 진짜로 외우주까지 나간 건 아니고, 지구 궤도 위를 돌면서 외우주를 관찰하는 위성이다.[3] 위 스샷에서 크리링이 두 손가락씩만 편 것이 예외적인 경우이다. 인조인간 셀도 양 손을 모두 편 상태로 사용했다.[4] 이를 보여주는 예가 크리링도도리아에게 썼을 때. 드래곤볼 GT에서도 파워가 떨어질 대로 떨어진 초사이어인 4 손오공이 거대원숭이 베이비를 상대로 유용하게 써먹었다.[5] 훗날 손오반도 그레이트 사이어맨의 신분으로 출전할 때 선글라스를 끼긴 했지만 손오공의 경우는 단순한 의상 차원이 아닌 상대의 기술 회피, 즉 도구의 도움을 받았고 그것도 남의 것을 빌려서 썼으니 엄격한 잣대를 들이댈 경우 문제가 될 수도 있다.[6] 드래곤볼 Z 요약시리즈에서는 크리링이 이 콤보를 쓰지 않았다는 점을 아예 개그요소로 쓸 정도다.[7] 오공이 쓸때는 왠지 '''천진반의 기술을 빌린다'''는 점이 매우 부각된다. "설마 내 태양권을 쓸 줄이야.", "천진반의 기술을 빌려야지!"라며 베지터에게 쓰는 등. 드래곤볼 슈퍼에서도 카리프라를 상대로 쓸 때 천진반한테 빌려서 미안하다고 한다.[8] 심지어 신과 융합한 피콜로조차 "태양권은 천진반의 특기가 아니었나?!" 하고 놀란다. 그런데 원작 기준으로 천진반이 태양권을 쓰는 장면을 피콜로가 본 적은 없다. 천진반을 훈련시킨 신님이 피콜로와 융합하면서 자연스럽게 알게 됐거나 아니면 계왕님한테 같이 훈련받던 시절에 봤거나 아니면 천하제일무도회에서 손오공이 천진반한테 기술 좀 빌려쓴다고 말한 걸 기억하는걸지도...[9] 사실 본편에서 오반이 따로 태양권을 배우거나 직접 사용한 적은 없지만 나메크성에서 크리링이 태양권을 쓰는것을 본 적이 있고 누차 언급했듯이 태양권은 몇번 본 것만으로도 따라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습득하기가 매우 쉬운 기술이기 때문에 손오반 정도의 실력자라면 따로 배우지 않더라도 사용법을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10] <마린블루스>에서 이것을 꼬집어, "한국의 트랜스포머 중에는 '''특기가 태양권인 양카군'''이 있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