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306

 




[image]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06번
기점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유통단지회차지)
종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대곡공원)
종점행
첫차
'''[평일, 토요일]''' 05:30 / '''[공휴일]''' 05:33
기점행
첫차
05:30
막차
22:45
막차
'''[평일]''' 22:15 / '''[토요일]''' 22:13 / '''[공휴일]''' 22:03
평일배차
15분
주말배차
18분
운수사명
관음교통
인가대수
19대[1]
노선
유통단지 - 복현오거리 - 경북대북문 - 칠성시장 - 경북대병원 - 반월당역 - 영남이공대 - 서부정류장 - 본리초교 - 월성2동 행정복지센터 - 월성1동 행정복지센터 - 진월초교 - 대곡주공5단지 - 대곡고교 - 대곡2지구 - 대곡공원
'''중간 출발 정류소'''
'''대곡지구''' 방향
반월당역평일, 토요일,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공휴일, 강남약국평일, 토요일, 복현우체국
'''유통단지''' 방향
대명공연거리, 서부정류장역, 월성2동행정복지센터
'''중간 종료 정류소'''
'''대곡지구''' 방향
대곡주공5단지평일, 토요일, 월성2동행정복지센터, 대구시설공단, 대명공연거리
'''유통단지''' 방향
복현우체국, 경북대학교병원평일, 토요일

2. 개요


북구 산격2동 종합유통단지(3)에서 중구 봉산동 반월당역(0)을 거쳐 달서구 대곡동 대곡공영차고지(6)까지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 거리는 48.6km.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image]
12번 시절의 모습.(출처 : KBS 9시 뉴스)[2]
  • 구 12번 일반버스(망우공원 - 본리동 경신교통 차고지[3])가 전신이다.[4][7]
  • 1998년 5월 개편 때 번호를 106번으로, 동본리네거리[8] 대신 구.남중학교 변경하였다.
  • 1998년 9월 4일 개편 때 종점을 월성2동사무소를 거쳐 경신교통 차고지에서 대건중.고교로 연장하였다.
  • 2006년 2월 개편 때 서부정류장 - 본리네거리 간 직선화를 검토하였으나, 최종 개편 때 취소하였다.[9] 인가대수 12대를 감차하였다.
  • 2006년 5월 때 808번 금호행 차량 2대를 투입함으로써 인가대수 2대를 증차하였다.
  • 2007년 8월 개편 때 월성1동행정복지센터와 진천네거리를 거쳐, 대곡공영차고지로 종점을 연장하였다. 달서1번 대곡지구와 이마트월배점 연결 기능을 대체한다.[10] '도원네거리 - 대곡주공6단지 - 대곡중/대구교대부설초교' 구간을 왕복 순환하고, 종점으로 들어간다. 증차 없이 연장하였으므로, 배차간격은 10분에서 13분으로 대폭 늘어났다.[11]
  • 2015년 8월 1일 개편 때 망우공원 - 반월당 구간 대신 305번 유통단지 - 반월당 구간으로 변경하였다.[12][13][14] 노선 번호도 306번으로 변경하였다.[15] 106번과 305번을 섞었다. 305번처럼 경대서문 정류장은 유통단지 갈 때 한정으로 무정차한다. 운행 회사는 이전과 같이 관음교통에서 단독 운행한다.
  • 2016년 3월 18일 개편부터 경대서문앞 정류장도 정차한다.
  • 2016년 12월 막차 시간 연장으로 대곡 방향 중간종료들[16]을 추가하였다.
  • 2017년 1월 21일 개편 때 대곡지구 순환 구간을 기업은행대곡지점 - 대곡주공5단지 - 진월초등학교 구간으로 변경하였다.
  • 2018년 5월 4일 개편 때 대곡주공6단지 - 교대부설초등학교 - 대곡주공8단지 구간 대신 대곡고교 - 대곡2지구3단지 - 대곡공원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종점 정류장은 대곡주공9단지 서쪽에 신설한 대곡공원 정류장이다. 대곡주공5단지 중간종료도 추가하였다.

4. 특징


  • 대곡지구에서 지하철로 환승할 때 가장 빠른 시간 안에 환승할 수 있는 노선이다. 이마트월배점에서 하차한 후 진천역으로 걸어가서 환승할 수 있다. 이마트월배점 - 대곡지구 구간은 진천로를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 도시철도 사각지대 본리동과 성당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노선이다.[17] 간선이지만, 굴곡 구간에서 524번처럼 지선 기능을 대신 수행한다.
  • 월배 지역과 경북대학교를 이어 주지만, 월배 지역 거주 경대생들에게 존재감이 없다. 신월성과 본리초등학교 굴곡이 있으므로, 소요 시간도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18] 2호선 경대병원역까지 가려는 경대생들이 이 노선을 많이 이용한다.
  • 노선 역사와 승객 이용 패턴은 크게 세 부분으로 분류한다. 첫 번째는 1990년대 후반 이후부터 연장했던 '대곡지구 - 월성지구 - 본리네거리' 구간이다. 굴곡 구간이므로, 단거리 수요가 대부분이다. 학생 수요는 제법 많다. 두 번째는 구 12번 시절부터 꾸준히 운행하는 '본리네거리 - 반월당역' 구간이다. 이 노선 수요가 가장 많이 나오는 곳이며, 이 구간 내에서 서부정류장역 환승 수요와 시내를 오가는 수요가 많다. 세 번째는 구 305번이 운행했던 구간, '반월당역 - 종합유통단지' 구간이다. 구 305번 승객들이 넘어온 정도다.
  • 305번과 비교하면 경북대생 수요는 확연히 줄었다. 305번은 성서 거주 경북대생 수요가 많았으므로, 305번 역할을 이 노선이 완전히 대체하기 어렵다. 배차간격도 305번 대비 6분 늘었으므로, 수요 흡수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 월성지구에서 동성로로 가는 유이한 노선이었다. 개편 이후에 경로를 국채보상공원으로 변경함으로써, 706번과 신설 노선 급행6번이 동성로로 간다.
  • 이 노선을 간혹 706번으로 오해하는 사람들도 많다. 706번 구 번호가 306번이었기 때문이다.
  • 장기 정차는 유통단지에서 한다.
  • 기사 교대는 칠성교(NH농협은행 경북영업부)에서 실시한다.
  • 대곡2지구에 가장 먼저 진입하는 노선이다. 단점이 있다면, 이 노선 굴곡도가 더 심해졌다.[19] 기존 남도버스 종점에서 대곡2지구를 거쳐 유통단지로 간다. 게다가, 큰 도로가 아닌 왕복2차로 한실로6길을 거쳐 제일풍경채에 정차한다.[20][21]
  • 대구에서 마지막으로 맨뒷자리 제외 전부 1인시트 차량을 굴리고 있는 노선이다.
  • 관음교통이 단독 배차하므로, 대곡 방향 종료 차량 공차거리가 상당하다. 특히, 306번은 649번과 더불어 기점 출발-기점 종료, 종점 출발-종점 종료 순번이 대부분이므로, 6권역 업체가 필히 참여해야 한다.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106번
2014년
2015년
9,751명
8,747명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06번
2016년
2017년
2018년
9,161명
8,793명
7,956명

5. 연계 철도역



[1] 토요일 17대 / 공휴일 15대 운행[2] 사진 차량은 관음교통 소속 대구 5 자 3401호 1990년식 BS105. 재미있게도 지금 3401호도 306번에서 운행중이다.[3] 지금 이 자리는 달서유림노르웨이숲이 들어섰다.[4] 비슷한 좌석버스518번 전신, 312번이었다.[5] 1999년까지 이 노선 기점은 경신교통 본사였다.[6] 대경교통은 건영교통, 창성여객으로 회사 이름을 변경하다가, 2010년 현대교통에 합병되었다. 당시 우진교통과 대경교통도 본리네거리와 남대구IC 사이에 본사가 있었다. 우진교통 차고지는 본리네거리에서 성서산단으로 가는 감천네거리 방향에 있었지만, 대경교통 차고지는 그 맞은편 본동(분구되기전:남구 본동)에 있었다.[7] 1980년대 고정 배차 당시 12번 노선은 우진교통, 경신교통[5], 대경교통이 운행했다.[6][8] 12번 시절에는 현 518번처럼 서부정류장에서 동본리네거리까지 와서 우회전한 후 성당주공아파트(현 성당래미안아파트)와 본리초교를 거쳐서 본리동 종점으로 갔다.[9] 지금 이 구간은 651번이 운행한다.[10] 달서1번은 이마트월배점 구간을 지금도 경유하지만, 비둘기아파트로 멀리 돌아간다. 대곡주공8~9단지에서 진천역 쪽으로 그보다 그냥 걸어가는 게 더 빠르다.[11] 2006년 10월 때 518번을 일반버스로 형간전환함으로써 106번 수요가 감소하였다. 관음교통에서 감차할 만한 노선도 없었다. 719번은 관음교통 참여 노선 중 가장 수요가 많았다. 금호행 808번 인가대수는 대구대행 인가대수보다 적었다.[12] 518번과 중복도가 높았으므로, 2015년 개편 때 폐지할 예정이었다. 개편을 앞두고 노선 변경으로 계획으로 변경하였다.[13] 518번과 805번이 변경 전 구간을 대체한다.[14] 2015년 8월 개편 전 운행 구간이던 효목2동 일대는 909번 수요가 늘었다. 신천동 일대는 청구중고교 통학 수요로 518번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준으로 터져 나간다. 동구1(-1)번은 효목2동 주민들을 낚음으로써, 망했어요로 전락했다.[15] 1998년 개편 직후 101번과 111번 폐지로 17년만에 본리네거리~칠성시장 직통 노선이 부활하게 되었다.[16] 대구시설공단, 대명공연거리(당시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17] 이 노선이 다니는 본리네거리 근처 덕인초교나 본리파출소 정류장은 교통 오지 지역이다. 달서4(-1)번마저 노선 개편으로 현대백조아파트와 감천네거리로 돌림으로써, 306번과 성서2번만 남았다.[18] 이들은 706번이나 급행6번, 또는 1호선을 탄 뒤 버스로 환승하거나 신천역에서 내려서 스쿨버스를 탄다.[19] 306번은 본래 106번 때부터 지선 성격이 강한 간선이지만, 갈수록 지선화가 심해지고 있다.[20] 5월에 준공하는 건 제일풍경채가 아니라 서한 이다음이다.[21] 대구 시내버스 특징은 지선버스들도 간선버스처럼 큰 도로 위주로만 운행한다. 정작 여기는 신도시이지만, 버스가 손님들을 택시처럼 아주 모시러 가는 수준으로 경로를 짜놨다. 정류소 위치를 북동쪽으로 이설해도 문제 없다. 100% 운행 지연이 발생할 좁은 도로에 간선버스를 넣은 것이 문제점으로 떠올랐다.[22] 대곡방향 차량은 대명공연거리 하차 후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