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펼치기ㆍ접기]
}}}
1. 개요
'''EXPERIENCE of PRIDE'''
'''래미안(
來美安)'''은 2000년부터
삼성물산에서 짓고 있는
아파트에 붙이는 브랜드이다.
[1]영어표기는 RAEMIAN이며 한자로는
來美安이라 쓴다.
2. BI/전용 색상
초기 BI (2000~2007)
| 1차 수정 BI (2008~2014)
| 폰트 수정 BI (2015~)
|
[image]
| [image]
| [image]
|
PANTONE 3272C RAEMIAN GREEN
|
PANTONE 325C RAEMIAN LIGHT GREEN
|
PANTONE Cool Gray 11C RAEMIAN DARK GRAY
|
PANTONE 400C RAEMIAN MILD GRAY
|
PANTONE 7541C RAEMIAN LIGHT GRAY
|
3. 특징
대부분의 아파트 브랜드들이
영어나
프랑스어 등을 사용하지만, 래미안은 이름에 한자(
올來 아름다울美 편안할 安)를 사용하고 있다. 래미안 외에 아파트 브랜드에 한자를 쓰는 브랜드 중 유명한 브랜드로는
쌍용건설의
예가가 있었으나, 2019년에
더 플래티넘이라는 브랜드를 새로 런칭하면서, 유일하게 한자를 쓰는 브랜드가 되었다. 본래는 삼성 사이버아파트, 삼성 한국형아파트 라는 브랜드를 사용하다가 이들 중 일부는 래미안이라는 이름으로 교체되었다.
고급 이미지를 내세우는 브랜드 중 하나로
롯데캐슬이나
힐스테이트가 지향하는 전통적이고 고전적인 느낌의 고품격보다는 선진적인 주거문화, 미래지향적 아파트로 홍보한다는 점에서
GS건설의
자이와 비슷하다. 색도 둘 다 블루 계열로 롯데나 힐스테이트가 자주색 계열을 사용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이러한 컨셉은 래미안 갤러리에서 잘 보여주고 있으며 궁금하면 서울 송파구 장지역에서 조금 걸어가서 가든파이브 바로 옆의 래미안 갤러리를 한번 구경해 보자.
[2] 종로구 운니동 안국역과 운현궁 사이에 있었던 래미안 갤러리는 2019년에 폐관 후 철거되었다.
또, 특정 단지는 차별화를 위해 래미안 뒤에
펫네임을 많이 사용한다. 대표적인 예로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래미안 퍼스티지가 있으며, 이외에도
첼리투스,
팰리스,
리버젠 등의 펫네임을 사용하였다. 또한 특권을 의미하는 영어단어 prestige에서 따온 ~stige 작명을 잘 활용하는데, 퍼스티지,
에스티지,
블레스티지에 이어 반포주공 1단지 3주구 재건축에는
프레스티지 바이 래미안을 네이밍해 수주에 성공하였다.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 한빛마을 래미안 이스트팰리스는 프랑스 건축가인 장 미셀 빌모트(jean michel wilmotte)가 단지 외관부터 허브형 로비, 래미안애비뉴, 힐하우스 등을 직접 설계했고 저층부는 흙을 연상시키는 테라코타(구운벽돌)를 건축 마감재로 사용했다.
[3] 래미안 동천(총 2393가구) 아파트 48개동 2047가구 빌모트&아소시에(Wilmotte & Associés) 동천래미안 타운하우스
아이들의 창의성을 높여주는 예술 놀이터를 비롯해 단지 곳곳에 미술 장식품이 전시돼 단지 내 예술적인 감성이 물씬 흐르도록 설계한 부분에서 '이스트팰리스'라는 시공 명칭이 붙여졌다. 래미안 '이스트파크'와 차이점은 시공 방법은 같지만 이스트파크는 주거환경에서 쾌적성과 개방감을 목적으로 체육공원과 연계하여 특화 설계된 래미안 아파트다.
국내외에서 시공 기술력은 이미 세계적으로 상위권으로 인정받고 있는 삼성물산이 짓는 아파트라는 데에서도 큰 의의가 있지만, 래미안 시리즈는 최초로 아파트에 이름이 붙은 '''브랜드 아파트의 효시'''이다 보니 폭발적인 시너지를 일으켜 아파트 값을 상승시키는 요인에 어느 정도 기여하였으며,
삼성은 국내 최고의 대기업이라는 인식도 강하다 보니 그 점도 어느정도 래미안의 이미지를 상승시켰다고 볼수 있다. 이는 하자 발생률에서도 유의미한 차별성을 찾아볼 수 있는데, 래미안은 하자 발생이 1년에 많아봐야 3건을 넘지 않는 위엄을 보여준다.
[4] 삼성물산이 국내에서 유일하게 설계부터 시공까지 모든 부분을 직접 관리하는 건설사이자 하자를 찾고 보수하는 부서가 따로 마련되어 있는 유일한 건설사인 데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이는 단가를 낮추기 위해 여러 하청업체와 계약하여 납품 자재 바꿔치기와 무책임한 날림 공사가 성행되는 타 건설사들과 대비된 모습을 보여준다. 시공 인부들 역시 자재를 나르는 등 단순 반복 작업에만 단기 계약 인부를 투입하고 직접적인 시공은 모두 전문 정직원들이 담당한다.
[5] 이는 삼성물산에서 노가다 알바를 해봤다는 썰을 인터넷에서 쉽게 찾을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최근 타 아파트 브랜드들과는 다르게 미세먼지에 매우 신경쓰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보행로 쿨미스트 설치,
[6] 쿨미스트로 미세먼지가 바닥으로 떨어진다고 한다.
공동 현관 입구 옆에 에어 샤워룸 설치
[7] 위에서 공기가 쏟아져 내리는데 이때 옷에 붙은 미세먼지부터 냄새까지 없애준다고 한다.
등으로 단지 내 미세먼지 유입을 최소화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국내 아파트 브랜드 중 최초로 IoT 시스템을 아파트에 완전 적용하였다. IoT 홈큐브
[8] 음성인식이 가능하며, 실내 미세먼지 농도 확인, 실내 환기 기능 온오프, 실내 무드등 온오프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큐브 위쪽에는 터치가 가능하게 되어있다. 아래쪽에는 등이있는데, 4가지 색상을 나타낸다. 다만 음성으로만 가능한 명령과 터치로 가능한 명령이 나뉘어져 있는 듯. 음성 호출 명령은 광고 영상에 의하면 "하이, 홈큐브."다.
IoT 홈패드,
[9] 인터폰 월패드와 비슷한 것으로, 다른 점은 역시나 음성인식이 가능하며 기능이 조금 더 많다. 광고 영상에 의하면 음성 호출 명령은 "하이, 래미안."이다. 외출 모드부터 귀가 모드를 음성으로 작동 가능하다. 주목할 만한 것은 외출 모드 작동 시 자기층의 엘리베이터를 스스로 호출해준다.
IoT 주방 모니터
[10] 역시나 기존 아파트의 주방 모니터와 비슷하다. 단 다른 점이 더 많은데, 음성인식이 가능하며 레시피 기능도 지원해준다. TV는 기본 옵션. 음성 호출 명령은 광고에 의하면 홈패드와 마찬가지로 "하이, 래미안."이다.
를 기본 제공한다고. 거기에 안면인식 센서
[11] 각 호수 현관문 옆에 설치되었는데, 얼굴이 각 호수 홈패드에 등록된 사람에 한해 문의 잠금을 해제해준다. 수상한 사람이 1분 이상 안면 인식 센서 앞에서 서성일 경우 경보음이 울린다.
도 추가해 얼굴을 인식하여 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다만, 위의 미세먼지 차단, IoT 시스템은 2017년 여름 이후부터 지어지는 래미안 아파트 중에서도 아직까지는 고급 단지에 해당하는 곳에만 제공되는 듯 하다.
그리고 최근에 지어진 래미안의
엘리베이터를 보면 기존의 엘리베이터와는 다른 점이 있다. 디스플레이와 엘리베이터의 버튼 색이 파란색이나 파란 빛이 감도는 흰색이며, 차임벨도 각 제작사의 것이 아닌 래미안 전용 차임벨을 적용한다. 다만 음성안내방송은 각 회사에 따른 안내방송을 사용한다. 미쓰비시엘리베이터 같은 경우도 기존의 성우 대신 차별화된 성우를 사용했다. 이후 최근에 나온 모델도 래미안 식의 성우를 사용하고 있다.
자이와 마찬가지로 래미안 자체가 고급 브랜드를 표방하고 있어서
롯데캐슬,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
푸르지오,
베르디움 등이 사용하는 고급화 하이엔드 브랜드가 없다.
[12] 롯데캐슬은 '르엘', 힐스테이트는 '디에이치', e편한세상은 '아크로', 푸르지오와 호반베르디움은 '푸르지오/호반 써밋'이라는 고급화 하이엔드 브랜드가 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에서 차세대 A.I 스마트홈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기사 기존 래미안 홈랩-스마트 라이프관을 업그레이드한 '''래미안 RAI
[13] Raemian Artificial Intelligence, 래미안 인공 지능
라이프관'''이다.
4. 지역별 단지 현황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신길 삼성아파트[14]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
| 384세대
| 1984년 4월
|
목동 신시가지 1단지
|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 1,882세대
| 1985년 11월
|
일원 삼성사원아파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 80세대
| 1986년 11월
|
광장 삼성1차아파트
|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
| 165세대
| 1987년 12월
|
상일 삼성빌라
|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 132세대
| 1988년 7월
|
광장 삼성2차아파트
|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
| 195세대
| 1989년 2월
|
오금 삼성아파트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동
| 215세대
| 1989년 5월
|
래미안 창동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
| 1,688세대
| 1992년 8월
|
염창 삼성한아름아파트
| 서울특별시 강서구 염창동
| 140세대
| 1993년 7월
|
일원 푸른마을 아파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 930세대
| 1994년 1월
|
염창 삼성하나로아파트
| 서울특별시 강서구 염창동
| 178세대
| 1994년 2월
|
도곡 삼성아파트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 231세대
| 1994년 12월
|
당산 삼성아파트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동
| 348세대
| 1995년 5월
|
염창 한마음 삼성아파트
| 서울특별시 강서구 염창동
| 330세대
| 1995년 7월
|
보라매 삼성아파트
|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
| 710세대
| 1996년 4월
|
목동 삼성아파트
|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
| 420세대
| 1996년 9월
|
마장 삼성아파트
| 서울특별시 성동구 마장동
| 430세대
| 1996년 12월
|
마포 삼성아파트[15]
| 서울특별시 마포구 도화동
| 982세대
| 1997년 5월
|
석관 삼성아파트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
| 114세대
| 1997년 6월
|
염창 관음삼성아파트
| 서울특별시 강서구 염창동
| 350세대
| 1997년 8월
|
당산 2차 삼성아파트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동
| 392세대
| 1997년 9월
|
한강 삼성아파트
| 서울특별시 마포구 토정동
| 456세대
| 1997년 10월
|
래미안 수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 680세대
| 1997년 11월
|
마곡 삼성아파트
|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
| 170세대
| 1998년 1월
|
양평 삼성래미안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2가
| 388세대
| 1998년 7월
|
창전 삼성아파트
| 서울특별시 마포구 창전동
| 951세대
| 1998년 11월
|
번동 삼성아파트
| 서울특별시 강북구 번동
| 228세대
| 1998년 12월
|
돈암 삼성아파트
|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 2,014세대
| 1999년 4월
|
옥수 삼성아파트
| 서울특별시 성동구 옥수동
| 1,444세대
| 1999년 4월
|
자양 삼성아파트
|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동
| 375세대
| 1999년 4월
|
상일 삼성그린빌라
|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 48세대
| 1999년 6월
|
성내 삼성아파트
| 서울특별시 강동구 성내동
| 1,220세대
| 1999년 9월
|
공덕 삼성아파트
|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
| 651세대
| 1999년 10월
|
신당 삼성아파트
|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 994세대
| 1999년 12월
|
서초가든스위트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 141세대
| 2000년 6월
|
래미안 대치삼성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1동
| 960세대
| 2000년 7월
|
신공덕 삼성래미안1차
|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공덕동
| 833세대
| 2000년 8월
|
신공덕 삼성래미안2차
|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공덕동
| 458세대
| 2000년 10월
|
홍제 삼성래미안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
| 474세대
| 2000년 10월
|
신길 삼성래미안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
| 826세대
| 2000년 11월
|
DMC 래미안 클라시스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남가좌동
| 1,114세대
| 2000년 12월
|
리버힐삼성
| 서울특별시 용산구 산천동
| 1,102세대
| 2001년 1월
|
관악드림타운[16]
|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
| 3,544세대
| 2001년 5월
|
중림 삼성사이버빌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중림동
| 712세대
| 2001년 7월
|
도원 삼성래미안
| 서울특별시 용산구 도원동
| 1,458세대
| 2001년 8월
|
금호 삼성래미안
| 서울특별시 성동구 금호동1가
| 582세대
| 2001년 10월
|
목동 삼성래미안2차[17]
|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
| 353세대
| 2001년 11월
|
이문 1차 삼성래미안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
| 379세대
| 2001년 11월
|
도곡 삼성래미안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 732세대
| 2001년 12월
|
삼성래미안공덕2차
|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
| 683세대
| 2002년 5월
|
이촌 삼성리버스위트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
| 244세대
| 2002년 5월
|
쌍문 삼성래미안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 407세대
| 2002년 7월
|
강변 삼성래미안3차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동
| 801세대
| 2002년 11월
|
타워팰리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 2,590세대
| 2002년~2004년
|
길음뉴타운 1단지 래미안
| 서울특별시 성북구 길음동
| 1125세대
| 2003년 1월
|
동작 삼성 래미안
|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 896세대
| 2003년 2월
|
장안 래미안 1차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안동
| 558세대
| 2003년 4월
|
서초 래미안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 1,129세대
| 2003년 5월
|
신공덕삼성래미안3차
|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공덕동
| 366세대
| 2003년 5월
|
종암 삼성래미안
|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동
| 1,168세대
| 2003년 6월
|
당산 삼성래미안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동5가
| 1,391세대
| 2003년 12월
|
이문 2차 삼성래미안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
| 648세대
| 2004년 4월
|
구로 삼성래미안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
| 1,244세대
| 2004년 5월
|
삼성래미안공덕3차
|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
| 616세대
| 2004년 8월
|
문정 삼성래미안
| 서울특별시 송파구 문정동
| 1,696세대
| 2004년 9월
|
상도 래미안 3차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
| 1,656세대
| 2004년 12월
|
방배 래미안 타워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 344세대
| 2005년 1월
|
래미안 방배 에버뉴[18]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 96세대
| 2005년 10월
|
역삼래미안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 1,050세대
| 2005년 10월
|
남가좌래미안2차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남가좌동
| 503세대
| 2005년 10월
|
삼성래미안공덕4차
|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
| 597세대
| 2005년 11월
|
래미안삼성1차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 133세대
| 2006년 5월
|
길음뉴타운 5단지 래미안
| 서울특별시 성북구 길음동
| 560세대
| 2006년 6월
|
래미안 월곡
| 서울특별시 성북구 하월곡동
| 1,372세대
| 2006년 7월
|
개나리 래미안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 438세대
| 2006년 8월
|
잠실 레이크팰리스[19]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
| 2,678세대
| 2006년 12월
|
래미안 삼성 2차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 275세대
| 2007년 3월
|
장안 래미안 2차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안동
| 1786세대
| 2007년 6월
|
길음뉴타운 6단지 래미안
| 서울특별시 성북구 길음동
| 977세대
| 2007년 7월
|
래미안 펜타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 288세대
| 2007년 11월
|
래미안 파크팰리스
|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2동
| 919세대
| 2007년 11월
|
잠실 리센츠[20] 잠실주공2단지 재건축/대림산업, 대우건설, 우방건설과 공동 시공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
| 5,563세대
| 2008년 7월
|
잠실 파크리오[21] 잠실시영 재건축/대림산업, 두산산업개발, 쌍용건설, 코오롱건설, 현대건설과 공동 시공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
| 6,864세대
| 2008년 8월
|
잠실엘스[22] 잠실주공1단지 재건축/대림산업, 현대건설, 현대산업개발과 공동 시공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
| 5,678세대
| 2008년 9월
|
래미안 신사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 63세대
| 2008년 10월
|
래미안 엘파인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답십리동
| 472세대
| 2008년 12월
|
래미안 서초 스위트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 392세대
| 2009년 1월
|
석관 래미안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
| 580세대
| 2009년 6월
|
래미안 퍼스티지[23]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 2,444세대
| 2009년 7월
|
래미안 세레니티
|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동
| 955세대
| 2009년 10월
|
래미안 그레이튼2단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 476세대
| 2009년 12월
|
래미안 허브리츠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두동
| 1,054세대
| 2010년 2월
|
래미안트리베라1차
|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동
| 1,247세대
| 2010년 5월
|
래미안트리베라2차
|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동
| 1,330세대
| 2010년 5월
|
래미안 그레이튼1단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 464세대
| 2010년 6월
|
길음뉴타운 8단지 래미안
| 서울특별시 성북구 길음동
| 1,497세대
| 2010년 6월
|
북한산 래미안
|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동
| 647세대
| 2010년 8월
|
길음뉴타운 9단지 래미안
| 서울특별시 성북구 길음동
| 1,012세대
| 2010년 9월
|
반포 리체[24] 삼호가든 1, 2차 재건축/대림산업과 공동 시공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 1,162세대
| 2010년 10월
|
삼성래미안공덕5차
|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
| 794세대
| 2011년 2월
|
래미안 신당 하이베르
|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 784세대
| 2011년 10월
|
래미안 트윈파크
| 서울특별시 동작구 본동
| 523세대
| 2011년 11월
|
래미안 송파 파인탑
|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동
| 794세대
| 2012년 1월
|
래미안 하이리버
| 서울특별시 성동구 금호동
| 1,057세대
| 2012년 5월
|
DMC 래미안 e편한세상[25]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북가좌동
| 3,293세대
| 2012년 10월
|
래미안 옥수 리버젠
| 서울특별시 성동구 옥수동
| 1,821세대
| 2012년 12월
|
래미안 도곡 카운티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 397세대
| 2013년 2월
|
전농 래미안 크레시티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
| 2,397세대
| 2013년 4월
|
청담래미안로이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 177세대
| 2014년 1월
|
대치 래미안 하이스턴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 354세대
| 2014년 2월
|
래미안 포레
|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동
| 1,070세대
| 2014년 3월
|
래미안 강남 힐즈
|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동
| 1,020세대
| 2014년 6월
|
왕십리 텐즈힐 2단지[26] HDC현대산업개발, 대림산업, GS건설과 공동 시공
| 서울특별시 성동구 하왕십리동
| 1,148세대
| 2014년 6월
|
래미안 마포 리버웰
| 서울특별시 마포구 용강동
| 563세대
| 2014년 7월
|
래미안 위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답십리동
| 2,652세대
| 2014년 8월
|
마포 래미안 푸르지오[27]
| 서울특별시 마포구 아현동
| 3,885세대
| 2014년 9월
|
래미안 밤섬 리베뉴1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수동
| 429세대
| 2014년 10월
|
래미안 밤섬 리베뉴2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수동
| 530세대
| 2014년 10월
|
래미안 첼리투스[28]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
| 460세대
| 2015년 8월
|
래미안 대치팰리스[29]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 1,608세대
| 2015년 9월
|
래미안 프레비뉴[30] 시사매거진 2580에서 고가 추가부담금 문제로 재건축 조합과 마찰 문제가 다루어진 그 아파트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
| 949세대
| 2015년 12월
|
래미안 웰스트림
|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수동
| 773세대
| 2016년 2월
|
래미안 신반포 팰리스
|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동
| 843세대
| 2016년 6월
|
래미안 서초 에스티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 421세대
| 2016년 12월
|
고덕 래미안 힐스테이트[31]
|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
| 3,658세대
| 2016년 12월
|
래미안 에스티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
| 1,722세대
| 2017년 4월
|
래미안 용산 더 센트럴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동
| 782실[32]
| 2017년 5월
|
래미안 강동팰리스
|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동
| 999세대
| 2017년 7월
|
래미안 프리미어팰리스
|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동
| 264세대
| 2017년 10월
|
래미안 서초 에스티지S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 593세대
| 2018년 1월
|
래미안 이수역 로이파크
|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 668세대
| 2018년 4월
|
래미안 답십리 미드카운티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답십리동
| 1,009세대
| 2018년 5월
|
반포 래미안 아이파크[33] 서초한양 재건축/HDC현대산업개발과 공동 시공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 829세대
| 2018년 8월
|
래미안 파크스위트
|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
| 854세대
| 2018년 9월
|
래미안 루체하임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 850세대
| 2018년 11월
|
래미안 베라힐즈
| 서울특별시 은평구 녹번동
| 1,305세대
| 2018년 12월
|
헬리오시티[34] 가락시영 재건축/현대건설, HDC현대산업개발과 공동 시공
|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동
| 9,510세대
| 2018년 12월
|
래미안 길음 센터피스[35] 래미안 길음 센터피스까지 완성됨으로써 길음뉴타운 1단지 래미안, 길음뉴타운 5단지 래미안, 길음뉴타운 6단지 래미안, 길음뉴타운 8단지 래미안, 길음뉴타운 9단지 래미안과 함께 길음뉴타운에 래미안 타운을 형성하였다.
| 서울특별시 성북구 길음동
| 2,352세대
| 2019년 2월
|
래미안 아트리치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
| 1,091세대
| 2019년 2월
|
래미안 블레스티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 1,957세대
| 2019년 2월
|
래미안 솔베뉴[36]
| 서울특별시 강동구 명일동
| 1,900세대
| 2019년 7월
|
래미안 신반포 리오센트
|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동
| 475세대
| 2019년 6월
|
래미안 장위 포레카운티
| 서울특별시 성북구 장위동
| 939세대
| 2019년 6월
|
래미안 장위 퍼스트하이
| 서울특별시 성북구 장위동
| 1,562세대
| 2019년 9월
|
래미안 루센티아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남가좌동
| 997세대
| 2020년 2월
|
래미안 개포포레스트[37]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 2,296세대
| 2020년 7월
|
래미안 리더스원[38]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 1,317세대
| 2020년 9월
|
래미안 목동아델리체
|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
| 1,497세대
| 2021년 1월
|
래미안 라클래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 679세대
| 2021년 5월 (예정)
|
래미안 엘리니티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두동
| 1,048세대
| 2022년 8월 (예정)
|
래미안 원베일리[39]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 2,990세대
| 2023년 3월 (예정)
|
래미안 원펜타스[40]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 641세대
| 2023년 11월 (예정)
|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41] 진주아파트 재건축/HDC현대산업개발과 공동 시공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
| 2,636세대
| 2024년 6월 (예정)
|
프레스티지 바이 래미안[42]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 2,091세대
| 미정 (준공후 후분양)
|
이문1구역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
| 2,904세대
| 2024년 6월 (예정)
|
양평13구역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
| 618세대
| 미정
|
북아현2구역[43]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북아현동
| 2,232세대
| 미정
|
래미안 그레이튼 2차 장기전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 464세대
| 미정
|
래미안 레벤투스[44]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 308세대
| 미정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지산동 삼성아파트
| 광주광역시 동구 지산동
| 314세대
| 1992년 7월
|
용봉동 삼성아파트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 544세대
| 1993년 12월
|
첨단 삼성아파트
|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
| 150세대
| 1996년 7월
|
운남동 삼성아파트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남동
| 1,956세대
| 1996년 9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오류동 삼성아파트
| 대전광역시 중구 오류동
| 2,526세대
| 1989년 10월
|
한빛아파트[58]
| 대전광역시 유성구 어은동
| 3,144세대
| 1992년 12월
|
한울아파트
|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성동
| 814세대
| 1992년 12월
|
한마루아파트[59]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
| 1,400세대
| 1992년 12월
|
삼성 푸른아파트
| 대전광역시 유성구 전민동
| 672세대
| 1993년 5월
|
엑스포아파트[60]
| 대전광역시 유성구 전민동
| 3,958세대
| 1994년 5월
|
삼성 푸른아파트
| 대전광역시 중구 문화동
| 480세대
| 1994년 11월
|
문화주공 1단지[LH]
| 대전광역시 중구 문화동
| 960세대
| 1995년 1월
|
송강 그린아파트[61]
| 대전광역시 유성구 송강동
| 1,830세대
| 1996년 11월
|
가장동 삼성래미안[62]
| 대전광역시 서구 가장동
| 2,398세대
| 2002년 7월
|
도안마을 5단지 트리풀시티[63] 대전도시공사 시행/계룡건설산업, 금성백조주택, 금성건설, 인보건설, 새로운종합건설, 두일종합건설, 파크종합건설과 공동시공
| 대전광역시 유성구 상대동
| 1,220세대
| 2014년 7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달동 삼성아파트
| 울산광역시 남구 달동
| 692세대
| 1997년 2월
|
다운 삼성아파트
| 울산광역시 중구 다운동
| 282세대
| 1997년 12월
|
약사 삼성래미안아파트
| 울산광역시 중구 약사동
| 1,598세대
| 2004년 7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첫마을 7단지 래미안
|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
| 1,328세대
| 2012년 6월
|
여담이지만
일산신도시에 래미안 브랜드가
하나도 없다.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백마마을 1단지 삼성아파트
| 고양시 일산동구 마두동
| 772세대
| 1993년 1월
|
중산마을 8단지 대우삼성아파트[64]
| 고양시 일산동구 중산동
| 720세대
| 1995년 3월
|
은빛마을 5단지[65] 삼익주택, 엘지건설, 신성건설, (주)미도파 건설사업부문과 공동 시공
| 고양시 덕양구 화정동
| 2,032세대
| 1995년 11월
|
고양 삼성아파트
| 고양시 덕양구 고양동
| 282세대
| 1998년 11월
|
래미안 휴레스트[66]
| 고양시 덕양구 성사동
| 1,651세대
| 2009년 11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철산 래미안자이[70]
| 광명시 철산동
| 2,072세대
| 2009년 11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아름마을 인창 삼성래미안
| 구리시 인창동
| 816세대
| 2000년 10월
|
토평 삼성아파트
| 구리시 토평동
| 402세대
| 2001년 6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산본 삼성아파트
| 군포시 산본동
| 370세대
| 1987년 6월
|
산본 장미아파트
| 군포시 산본동
| 822세대
| 1993년 7월
|
래미안 하이어스[71]
| 군포시 산본동
| 2,644세대
| 2010년 9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초당마을 래미안 한강
| 김포시 장기동
| 579세대
| 2012년 2월
|
풍경마을 래미안 한강2차
| 김포시 운양동
| 1,711세대
| 2014년 6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그린타운 삼성우성아파트[72]
| 부천시 중동(부천)
| 592세대
| 1993년 2월
|
미리내마을 은하수타운
| 부천시 중동
| 1,540세대
| 1993년 2월
|
다정한마을 래미안
| 부천시 상동
| 718세대
| 2002년 9월
|
부천 중동 래미안
| 부천시 중동
| 616세대
| 2015년 10월
|
부천 래미안 어반비스타
| 부천시 송내동
| 523세대
| 2021년 8월 (예정)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서현 삼성 한신아파트[73]
|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 1,781세대
| 1991년 9월
|
탑마을 주공 8단지[74]
|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 701세대
| 1993년 5월
|
이매 삼성아파트
|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
| 1,162세대
| 1994년 4월
|
아데나팰리스
|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 203세대
| 2003년 4월
|
정자동 삼성 로얄팰리스
|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 566세대
| 2003년 2월
|
정자동 삼성 미켈란쉐르빌
|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 803세대
| 2003년 9월
|
래미안 금광[75] 제주도를 컨셉으로 한 단지 조경으로 2008년 세계조경상 수상
|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
| 1,098세대
| 2006년 11월
|
래미안 위례
|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
| 410세대
| 2015년 11월
|
위례 자연앤 래미안 e편한세상[76] 공공분양, 대림산업은 공동시행사로서 지분만 보유하고 시공에 참여하지 않아 사실상 삼성물산(래미안) 단독시공.
|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
| 1,540세대
| 2016년 7월
|
무지개마을 10단지 삼성건영아파트
|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 498세대
| 1996년 2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정왕 삼성아파트
| 시흥시 정왕동
| 320세대
| 1996년 4월
|
연성 래미안
| 시흥시 장곡동
| 574세대
| 1999년 4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수지 삼성아파트 4차
|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
| 1,137세대
| 1994년 12월
|
수지 삼성아파트 1차
|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
| 576세대
| 1995년 1월
|
수지 삼성아파트 2차
|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
| 420세대
| 1995년 12월
|
진산마을 래미안 6차
|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
| 343세대
| 2002년 02월
|
진산마을 래미안 7차
|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
| 501세대
| 2002년 11월
|
삼거마을 구성 래미안 1차
|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
| 1282세대
| 2002년 12월
|
진산마을 래미안 5차
|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
| 1,828세대
| 2003년 09월
|
장미마을 언남 래미안 2차
| 용인시 기흥구 언남동
| 1,219세대
| 2003년 12월
|
한빛마을 래미안 이스트팰리스 1단지
|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
| 460세대
| 2010년 5월
|
한빛마을 래미안 이스트팰리스 2단지
| 428세대
|
한빛마을 래미안 이스트팰리스 3단지
| 885세대
|
한빛마을 래미안 이스트팰리스 4단지
| 620세대
|
래미안 수지 이스트파크
|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
| 845세대
| 2015년 10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포일 삼성래미안
| 의왕시 포일동
| 70세대
| 2000년 5월
|
내손 삼성래미안
| 의왕시 내손동
| 586세대
| 2001년 4월
|
래미안 에버하임
| 696세대
| 2009년 4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래미안진흥아파트[84]
| 의정부시 신곡동
| 832세대
| 2002년 11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통복 삼성아파트
| 평택시 통복동
| 624세대
| 1993년 5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행림마을 LD·삼성 래미안 1차
| 화성시 기산동
| 621세대
| 2004년 1월
|
행림마을 LD·삼성 래미안 2차
| 화성시 반월동
| 264세대
| 2004년 4월
|
동탄시범다은마을 삼성래미안
| 화성시 반송동
| 514세대
| 2007년 2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천곡 삼성아파트
| 동해시 천곡동
| 333세대
| 1991년 7월
|
발한 삼성아파트
| 동해시 발한동
| 190세대
| 1996년 12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우보 삼성아파트
| 원주시 일산동
| 385세대
| 1993년 1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우두 삼성아파트
| 춘천시 우두동
| 228세대
| 1994년 5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감곡 삼성푸른아파트
| 음성군 감곡면
| 110세대
| 1994년 7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내덕 롯데삼성아파트[85]
| 청주시 청원구 내덕동
| 252세대
| 1986년 11월
|
신봉 삼성아파트
| 청주시 흥덕구 신봉동
| 570세대
| 1992년 11월
|
율량 삼성아파트
| 청주시 청원구 율량동
| 798세대
| 1996년 5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금릉동 푸른아파트
| 충주시 금릉동
| 470세대
| 1993년 1월
|
연수동 푸른아파트
| 충주시 연수동
| 480세대
| 1994년 1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동문 삼성아파트
| 서산시 동문동
| 620세대
| 1991년 4월
|
죽성 삼성아파트
| 서산시 죽성동
| 948세대
| 1998년 8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탕정 삼성트라팰리스
| 아산시 탕정면
| 3,953세대
| 2009년 2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태안 삼성아파트
| 태안군 태안읍
| 296세대
| 1996년 9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경주 삼성아파트 1단지
| 경주시 동천동
| 180세대
| 1994년 2월
|
경주 삼성아파트 2단지
| 경주시 동천동
| 150세대
| 1994년 4월
|
현곡 삼성강변타운
| 경주시 현곡면
| 563세대
| 1996년 9월
|
위덕 삼성타운
| 경주시 강동면
| 960세대
| 1999년 8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송정 삼성장미아파트
| 구미시 송정동
| 298세대
| 1990년 8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옥동 1차 삼성아파트
| 안동시 옥동
| 508세대
| 1998년 3월
|
옥동 2차 삼성아파트
| 안동시 옥동
| 210세대
| 1999년 5월
|
태화동 3차 삼성아파트
| 안동시 태화동
| 161세대
| 1999년 5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왜관 삼성아파트
| 칠곡군 왜관읍
| 400세대
| 1997년 2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삼성푸른아파트
| 포항시 북구 득량동
| 420세대
| 1995년 4월
|
용흥 삼성푸른아파트
| 포항시 남구 용흥동
| 260세대
| 1996년 6월
|
효자 그린2단지
| 포항시 남구 지곡동
| 2,130세대
| 1998년 3월
|
포항 이동 삼성아파트
| 포항시 북구 득량동
| 758세대
| 2002년 2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거제 삼성명가타운
| 거제시 상동동
| 296세대
| 2000년 11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내동 삼성아파트
| 김해시 내동
| 862세대
| 1996년 5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정동 삼성아파트
| 사천시 정동면
| 314세대
| 1994년 7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양산 삼성명가타운
| 양산시 평산동
| 918세대
| 2002년 11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호탄동 삼성아파트
| 진주시 호탄동
| 200세대
| 1996년 9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산호동 삼성타운
| 창원시 마산합포구 산호동
| 448세대
| 1996년 1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금광 삼성아파트
| 군산시 금광동
| 424세대
| 1989년 1월
|
조촌 삼성아파트
| 군산시 조촌동
| 306세대
| 1992년 1월
|
문화 삼성아파트
| 군산시 문화동
| 716세대
| 1992년 8월
|
나운 삼성아파트
| 군산시 나운동
| 670세대
| 1998년 5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동산동 삼성아파트
| 익산시 동산동
| 270세대
| 1991년 11월
|
부송동 삼성아파트
| 익산시 부송동
| 555세대
| 1994년 12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용당 삼성아파트
| 순천시 용당동
| 762세대
| 1993년 1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죽림동 삼성아파트
| 나주시 죽림동
| 340세대
| 1995년 12월
|
<rowcolor=#fff> '''단지명'''
| '''소재지'''
| '''규모'''
| '''입주'''
|
산정 삼성아파트
| 목포시 산정동
| 300세대
| 1987년 7월
|
상동 삼성아파트
| 목포시 상동
| 680세대
| 1995년 9월
|
5. 여담
- 이름이 패러디될 때에는 데미안으로 자주 된다.[86]
자그마치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이 드립이 나온 적이 있다. 2010년대 초반에 쓰였던 천재교육 교과서(노미숙 외 저)에 해당 내용이 있었다. 마왕이 되는 중2야에서도 해당 패러디가 나왔다.
- 2019년 4월 21일, 엠엘비파크 한국야구게시판에서 어느 삼성팬이 경기 전까지 부진하며 방출 위기였던 덱 맥과이어가 오늘 노히트노런을 하면 래미안 아파트를 쏘고, 완봉승을 하면 갤럭시 S10을 쏜다고 했는데, 맥과이어가 진짜로 노히트노런을 달성했다! 게시글 공약 첫 댓글들은 당연히 그럴 일이 없을 거라 믿으며 농담으로 '줄 서봅니다'라는 댓글이 많았고, 경기 중반까지 맥과이어가 노히트 행진을 이어가자 댓글들이 폭발하기 시작했으며, 결국 노히트노런을 달성한 이후로 댓글이 대폭발하여 4월 21일 오후 11시 기준으로 댓글 3,400개가 달리며 엠엘비파크 역사상 가장 많은 댓글이 달린 게시글이 되었다. 이 게시글로 공약을 한 작성자는 그 이후 농담으로 했는데 정말 미안하다며 래미안은 현실적으로 못주겠지만 이벤트로 여러 사람들에게 나눔을 하려고 한다는 글을 작성했고, 닉네임도 래미안좌로 변경하며 웃어넘기는 선에서 끝났다. 덕분에 한게 유저들은 내집 장만의 꿈부터 시작해서 래미안을 가지고 씹고 뜯고 맛보고 즐겼고 한게는 반나절 간 훈훈해졌다. 이후 4월 27일, 래미안좌는 맥과이어가 노히트노런을 달성한 날인 2019년 4월 21일에 맞춰 19만421원을 맥과이어의 명의로 강원도 산불피해 성금을 기부했다.
6. 관련 문서
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