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콜레오네
[image]
[image]
1. 개요
[image]
'''Michael Corleone'''
1920년 ~ 1997년
'돈(Don)' 비토 콜레오네의 셋째 아들. 영화판 배우는 알 파치노.[1]
대부 1, 2, 3을 거치는 대부 시리즈의 중심 인물이자 주인공. 본래 패밀리 일에 관심이 없었지만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서 살인을 저지른 뒤 본격적으로 가족을 위기에서 구해내고 본좌급 조직으로 부상하게 만드는 데[2] 지대한 공헌을 했다.
많은 경우에는 대부 하면 아무래도 상징적인 이미지 덕분에 말론 브란도가 연기한 비토 콜레오네가 주인공인 것으로 인식되지만, 사실 마이클 콜레오네야말로 시리즈를 통틀어 특유의 예리함과 냉혹함으로 패밀리를 본격적으로 발전시키고, 이야기 자체가 마이클을 기점 혹은 중심으로 흘러가기 때문에 진주인공에 가깝다. 그렇기에 비토 못잖게 두터운 팬층을 확보하고 있다.
한국판 성우는 배한성(KBS/MBC)[3] /박조호(SBS).
2. 작중 행적
젊었을 때는 반골 성향과 정의감이 강해서 패밀리의 일을 무척 싫어했고, 아버지 비토 콜레오네의 의견을 종종 거역했다. 심지어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정부의 징집을 피해 비토 콜레오네가 손을 써서 패밀리들을 전부 면제로 돌렸는데(당시 미국은 징병제를 실시했다.), 이에 속이 뒤틀린 마이클이 스스로 해병대 장교로 지원, 참전해버리기도 했다. 될성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더니, 태평양 전쟁에서 공훈을 세워 대위로 승진하고 무공훈장, 명예전상장까지 받는다. 게다가 코니 콜레오네의 결혼식에 아일랜드계 미국인 여자친구를 데려오는 등 아버지의 속을 노골적으로 긁으려했다.[4]
하지만 정작 아버지가 총격을 당한 뒤에는 자신이 선두에 나서서 가족을 지켜야겠다고 다짐한다. 1부에서의 병원 씬을 보면 이러한 심경의 변화를 알 수 있다.[5]
어릴 적부터 영특하여 세 아들 중 유일하게 대학에 가는 등[6] 비토와 가족들에게 많은 기대와 관심을 받았다. 난폭하고 저돌적인 맏아들 소니 콜레오네와 어린 시절 열병을 앓은 탓인지 지적으로 모자라고 우유부단한 둘째 아들 프레도 콜레오네와는 달리, 냉철함과 사려깊음, 결단력 등 아버지 비토 콜레오네의 장점들을 물려받은 아들이지만 단 하나, 아버지와 같은 가족에 대한 따스함과 유유함을 물려받지 못했기에 지나치게 냉정한 것이 훗날 마이클 인생 내내 발목을 잡게 된다. 비토는 마이클에게 음지의 가업을 물려주기보다는 마이클이 학자나 정치인같은 양지의 좋은 직업을 가지길 바랐지만 결국 마이클이 뒤를 이어 패밀리의 보스가 된다.
리더로서의 우수함은 앞서 언급했듯이 젋은 나이에 전쟁 영웅이 되어 귀환할 정도라는 점에서 더 이상의 설명을 필요 없게 한다. 다만 넓은 배포와 따뜻한 가족애를 가진 비토에 비하면 마이클은 냉혈하고 비정하며 바늘 한 점 들어갈 구멍도 없는데 이 점이 마이클의 비극에 일조한다.[7]
다만 마이클의 비극을 꼭 그의 성격의 문제로만 치부하기는 어려운 것이, 정을 기조로 조직을 운영했던 비토의 시대[8][9] 와 달리, 마이클 시대의 마피아 사업은 정치와 각종 이권 문제가 더욱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이러한 구조 속에서 마이클의 비정함은 가족과 조직을 살리는 열쇠가 되었지만, 그 대가로 본인은 고립될 수밖에 없었던 것. 이것은 마이클 콜레오네라는 개인의 개성도 무시할 수는 없지만, 현대 미국 사회의 구조 그 자체에서 발생하는 비극으로 볼 수도 있다.
알 파치노의 강렬한 눈빛 연기와 지적이면서 우수와 수심에 가득찬 풍모는 실로 마피아들에게 일종의 교과서적인 보스 스타일을 만들어줬다.
1부에서는 아버지의 복수를 완성하고 아버지의 도움을 받아 점차 보스로 성장해가는 과정을 담았다. 치밀하게 짜여진 각본대로 뉴욕 5대 패밀리 중 4대 패밀리 두목들 및 조직 내 배신자들을 제거하고[10] 패권을 잡는다. 원작 소설에서는 이 모든 게 사실은 아버지의 계획이었다고 나오지만 영화상으로는 모든 것이 마이클의 결정으로 묘사된다.
[image]
'''대부 1의 마지막 장면. 마이클은 패밀리의 진정한 대부가 되었다.''' 대부 연대기상으로 보면, 이때 그의 나이 불과 35세의 일이다.
누이가 낳은 아기의 대부가 되기 위하여 세례식에 참석하는 장면과 교차되는 숙청 장면은 1부의 클라이막스라고 할 수 있다. 세례식 직후 큰형을 죽게 만들었던 매제 카를로를 집에 불러놓고 살살 꼬셔서 전부 불게 만든 다음 죽여버림으로써 그날 세례받은 대자(代子)를 하루아침에 아비 없는 자식으로 만들어버리기까지 한다.[11] 영화 초반의 수학 교수를 꿈꾸던 젊은 대학생 마이클의 모습과, 영화 마지막 장면에서 가신들로부터 충성서약을 받는 '돈 콜레오네'의 눈빛을 비교하면 그 변화무쌍함이 전율스러울 정도.
[image]
'''하지만 가족을 지키려고 할 수록, 그는 혼자가 되어갔다.'''
2부의 마이클 콜레오네는 이미 완성된 상태. 비교적 따뜻한 인간 관계를 바탕으로 사업을 확장시켰던 아버지와는 달리 주변인들로부터 점차 고립되어가면서 냉정하게 위기를 헤쳐가는 마이클의 분투를 그리고 있다.
마이클 콜레오네는 동업을 하려 했던 유대계 갱인 하이먼 로스로부터 배신을 당하고[12] , 쿠바에서 벌였던 큰 사업이 쿠바 혁명으로 인해 완전히 망하고, 프랭키 펜탄젤리의 배신으로 마피아 보스임이 드러나 의회 청문회에 불려다니는 등의 고비를 겪으면서 점점 더 비정해져갔다.
그 과정에서 마이클에게 실망해 둘째 아들을 낙태한 아내와는 이혼을 해버렸고, 자신을 암살 위기에 처하게 만들었던 둘째 형 프레도를 끝내 용서해주지 않고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자마자 기다렸다는 듯이 부하를 시켜 프레도를 죽였다.
하물며 적들에게는 더할 나위가 없었다. 이미 쫄딱 망해버린데다 어차피 죽을 병에 걸려서 굳이 암살할 필요도 없는 하이먼 로스의 목숨을 기어이 빼앗았고, 하이먼 로스를 암살하는 과정에서 왼팔격인 로코는 죽게 되며 암살에 반대했던 톰 하겐을 노골적으로 냉대하는 등, 마이클은 끝내 자기 주변 모든 사람들과 다 틀어져버린다.
하지만 2부에서 프레도를 죽인 것은 마이클의 마음속에 어마어마한 족쇄로 남아 있었다. 그 죄책감은 3부까지 계속되면서 마이클의 노쇠와 함께 드러난다.[13] 바티칸에 거대한 자금을 인입하여 합법적인 사업[14] 으로 전환하려 하지만, 정적들의 방해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한 형을 죽인 죄책감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서 두려운 존재가 된 것에 대한 회의와 외로움, 후에 교황 요한 바오로 1세가 되는 주교와의 만남과 고해성사, 자신의 건강, 그리고 가족 중에 유일하게 자신을 사랑하는 딸 등의 복합적인 이유로 조직에서 완전히 손을 씻으려 빈센트 만치니(죽은 맏형 소니 콜레오네의 사생아)를 후계자로 정한 뒤 정적들의 암살을 준비하고 일선에서 물러난다.
이후 가족들과 함께 아들의 오페라 데뷔 무대를 보러 가면서 다시 아내 케이와 아들의 관계도 모처럼 좋아졌고, 또 우연찮게 그가 바티칸 은행의 비위를 고발하기 위해 만난 주교가 새 교황이 되어 그의 이모빌리아레 주식 인수를 승인하여 합법적인 사업을 할 수 있게 되는 등 말년에 가서야 그의 인생이 모처럼 뜻대로 풀리는 듯했다.
그러나 거기까지였다. 마이클과 친분이 있던 교황 요한 바오로 1세가 독살되었고 돈 알토벨로가 보낸 암살자는 아들의 오페라 무대를 모두 보고 가족, 조직원들과 함께 극장 밖을 나오는 마이클을 향해 총을 쏘았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마이클은 다치지 않았다. 대신 그 암살자가 쏜 총알은 마이클과 유일하게 관계가 좋았던 딸 메리가 맞고 말았다.
사랑하는 딸이 자기 품 안에서 숨을 거두는 모습을 본 늙은 마이클 콜레오네는 넋을 놓아버린 듯 절규하였고[15] 결국 말년까지 조용한 곳에서 은둔하며 살다가[16] 딸 메리, 전 부인 아폴로니아와 케이 아담스와 함께 했던 과거를 회상하며 홀로 황량한 저택의 마당의 의자에 앉아있다가 고꾸라지며 쓸쓸한 죽음을 맞는다.[17] [18][19]
여담으로 그가 죽은 시칠리아의 저택은 그의 아버지 비토가 고향으로 돌아왔을 때 가족과 식사를 한 곳이자[20] 마이클이 아폴로니아와 결혼한 곳이다.
[image]
소설 '''대부, 돌아오다'''[21] 에서 영화의 1부와 2부 사이의 일들을 다루었는데, 마이클의 캐릭터가 더욱 완성되었다. 마피아의 쿠바 침투 및 케네디 대통령과의 관계, 그리고 마피아의 피델 카스트로 암살 개입사건[22] 등을 다루었기에 마리오 푸조의 작품이 아님에도 볼만하다.
3. 명대사
'''"It's not personal Sonny, it's strictly business."'''
'''"개인적인 감정이 아니야, 소니 형. 이건 온전히 사업이야."'''
마이클이 매클러스키 서장과 솔로초를 죽여버리겠다고 하자 소니 콜레오네가 마피아 일은 개인적인 감정이 섞여서는 안 된다며 핀잔하자 한 말.[23]
'''"Fredo, you are my older brother, and i love you. But don't ever take side with anyone against the family again. Ever."'''
'''"프레도 형, 형은 내 친형이고, 나는 형을 사랑해. 하지만 두 번 다시 다른 사람과 손 잡고 패밀리에 적대하지 마. 절대로."'''
모 그린의 편을 들며 마이클에게 따지는 프레도에게 일갈하며.
'''"Don't tell me you are innocent, because it insults my intelligence, and it makes me very angry."'''
'''"결백하다고 말하지는 마. 그건 내 지성에 대한 모욕이고, 날 매우 화나게 하니까."'''
'''"Enough!"'''
'''"그만!"'''
아내 케이가 카를로 살인 관련해서 계속 물어보자 일에 대해서 그만 물어보라고 하는 장면. 그러나 계속 물어보자 이번만 알려주겠다고 하는데, 안죽였다고 거짓말친다(...)
'''"Senator, we are both part of the same hypocrisy. But never think it applies to my family."'''
'''"의원 양반, 우리는 둘 다 위선자요. 하지만 내 패밀리(가족)도 그렇다고는 생각하지 마시오."'''
자신에게 위선자라고 모욕하자 마이클이 상원의원 기어리에게.
'''"My offer is this : Nothing."'''
'''''내 제안은 이거요: 아무것도 없다.'''''
기어리가 무리한 부탁을 요구하자 마이클이.
'''"He taught me, Keep your friends close, but your enemies closer."'''
'''"아버지께서 저에게 가르치시길, 친구를 가까이 두어라, 하지만 적은 더 가까이 두어라."'''
2편에서 프랭크 펜탄젤리와 대화하며
'''"I know it was you, Fredo. You broke my heart. You broke my heart!"'''
'''"형이었다는 거 알아. 형은 내 가슴을 찢어놨어... 내 가슴을 찢어놨다고!"'''
'''"You are nothing to me now. You're not a brother, you're not a friend. I don't want to know you or what you do. I don't want to see you at the hotels. I don't want you near my house. When you see our mother, i want to know a day in advance, so i won't be there. You understand?"'''
'''"당신은 더 이상 내게 아무것도 아니야. 당신은 내 형도, 친구도 아니야. 당신이 누구인지, 뭘 하는지 알고 싶지 않아. 당신이 호텔에 있는 것을 보고 싶지도, 내 집 근처에 있는 것도 원치 않아. 우리 어머니를 뵐 때는 하루 전에 알아야겠어. 그래야 그곳에 안 갈 테니까. 알겠어?"'''
프레도를 사업상으로는 물론 인간적으로도 내치면서.
'''"You won't take my children, you won'1 take my children!!!"'''
'''"내 자식은 못 데려가, 내 자식은 못 데려간다고!!!"'''
2편에서 아내 케이가 이혼하자고 이야기하는데, 마이클 본인은 독실한 기독교인인지라 이혼은 거부했다. 그러나 케이가 기독교 계열에서 고해성사로도 용서받을 수 없는[25]
낙태를 한 것을 알자 엄청나게 분노하며 뺨을 후려치고 집에서 쫓아내며 이 대사를 친다.
'''"If anything in this life is certain, if history has taught us anything, it says you can kill anyone."'''
'''"인생에서 단 한 가지 분명한 것이 있다면, 역사가 우리에게 가르쳐 준 단 한 가지가 있다면, 그건 누구나 죽일 수 있다는 겁니다."'''
톰 헤이건이 하이먼 로스를 죽이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말한 이후.
'''''I killed my mother's son. I killed my father's son."'''
'''"제 어머니의 아들을 죽였습니다. 제 아버지의 아들을 죽였습니다."'''
마이클이 람베르토 추기경에게 고해성사하던 중 오열하며 죄를 고백할때.
등이 있다.'''"no marr..no..oh god..oh! god no..oh god! no please..............ahhhhhhhhhhhhhhhhhhhhhhhh...........'''"
'''"메리... 안 돼...! 아아아아아아!'''"
딸 메리가 총에 맞아 쓰러지자 경악을 금지 못하며.[26]
4. 여담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가 처음 알 파치노를 봤을 때 너무 마음에 든 나머지 대뜸 "대부님" 이라 말하며 손등에 입을 맞췄다고 한다.[27]
그러나 파라마운트 픽처스에서는 키 작은 무명 연극 배우가 아닌 보다 키고 크고 핸섬한 배우를 원했다. 그래서 수많은 배우를 테스트했지만 코폴라 감독의 의지로 결국 알 파치노와 촬영에 들어갔다. 하지만 제작사가 알 파치노를 탐탁치 않게 생각했기에, 알 파치노는 촬영 기간 내내 잘릴까봐 바늘방석에 앉은 것처럼 불안했다고 한다. 촬영장에서는 언젠가 알 파치노가 교체될 것이라는 분위기가 있었고 알 파치노 본인도 그걸 잘 알고 있었기에 그런 불편한 분위기 속에서 초반에 촬영했다고 한다. 심지어 알 파치노의 기용을 강력하고 주장하여 관철시켰던 코폴라 감독조차 촬영에 들어가자 알 파치노의 연기에 만족하지 못했다고 한다. 알 파치노는 초반의 마이클은 아웃사이더 같은 분위기로 연기하려 했는데, 그런 연기가 오히려 제작사와 감독의 의구심을 키웠다. 제작사에서 알 파치노의 경질쪽으로 가닥을 잡고 심지어 코폴라 감독 본인도 알 파치노에 대해 확신을 못하던 상황에서 코폴라 감독은 현명하게도 솔로조와 맥클러스키 경찰서장을 저격하는 레스토랑 씬을 앞당겨 촬영했다. 이 장면의 풋티지를 보고 나서 제작사는 알 파치노의 진가를 인정했다고 한다. 대부가 개봉되고 난 뒤, 알 파치노는 일약 톱스타로 등극, 급기야 로버트 드 니로와 함께 이 시대 최고의 배우로 인정받게 된다. 그리고 대부 2를 촬영할 때의 몸값은 이미 천문학적인 액수였다고. 다만 당시 스튜디오에 1만 5000달러 빚이 있다보니 돈은 많이 받지 못했다.
영화상에서는 마이클 콜레오네가 버질 솔로조와 맥클러스키 경찰서장을 저격하기 위해서, 피터 클레멘자에게 리볼버 사격연습을 받는다. 그런데 피터 클레멘자는 총기사격 교육 및 훈련을 받은 적 없이 총을 쏘는 마피아라, 군 장교로 권총사격을 정식으로 훈련받고 누구보다도 많이 쐈을 마이클 콜레오네가 그런 사람에게 교육을 받다니 어이가 없어 보이지만... 클레멘자가 가르치는 것은, 조준이나 격발 같은 정식 사격술이 아니라 문자 그대로 권총 '''암살'''에 필요한 기술이다. 소설로 보면 확실히 나오는데, 클레멘자가 마이클에게 거듭 강조하는 것이 '''권총을 현장에 두고 걸어 나오라'''는 것.[28] 물론 권총에는 지문이 남지 않도록 특수 처리가 되어 있었다. 이후 마이클의 패밀리는 이 권총과 가짜 범인을 엮어서 마이클을 결백하게 만드는 데 성공한다.[29]
참고로 군장교로써 받은 교육과, 참전했을 때의 경험이 훗날 범죄조직 경영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소설에서는 전쟁터에서만 보아온 PTSD를, 첫 번째 살인 후에 자신이 느낀 걸 깨닫고 놀라기도 한다.
권총 살인 후 시칠리아에 피신해 있을 때, 현지의 조직원들에게서는 마이클의 이탈리아식 이름인 '미켈레 콜레오네'로 불렸다. 마찬가지로 3부의 빈센트 콜레오네의 부하 암살자들은 그를 '빈센초 콜레오네'라고 부른다. 비토의 장남인 '산티노', 차남 '프레데리코'가 애칭으로 미국식 이름('소니', '프레도')에 가깝게 불렸던 것을 생각해보면, 본명 자체가 미국식인 마이클을 비토가 어떤 존재로 여겼는지 짐작할 수 있다.
극 중 영어 화자는 마이클 콜리온이라고 부르고, 이탈리아어 화자는 미켈레 콜레오네라고 부르는데, 한국에서도 이도 저도 아닌 마이클 콜레오네라고 통용된다.
일본 최고 스타인 기무라 타쿠야 주연 드라마 화려한 일족 1회에서 마이클을 모티브로 한 듯 한 장면이 '''굉장히 많이''' 나온다. 특히 은행장인 아버지에게 자금대출을 받기 위해 준비하는 씬이 대표적이다. 정장에 조끼를 입은 스타일은 물론 혼자 고민하는 모습들은 대부를 본 사람들이라면 한 번에 알 수 있다. 다행히 김탁구의 연기력과 드라마 연출이 훌륭했기에 성공적인 오마쥬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