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물고기

 

1. 개요
2. 상세
3. 민물고기에 해당하는 물고기


1. 개요


淡水魚 / Freshwater fish
민물, 즉 강이나 호수 등에 사는 물고기를 일컫는 분류. 강과 바다가 접하는 부근(기수역: 汽水域)에 사는 물고기들도 민물고기로 분류한다. 개체나 종에 따른 차이가 크지만,[1] 일반적으로 바다에 사는 물고기보다 체구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 민물에서 산다는 특성상 바다물고기에 비해 반려용으로 사육되기 쉽다.

2. 상세


식재료라는 측면에서 보면 바다물고기에 비해 기생충 감염의 위험이 커서 찜, 구이, 탕 등 익혀 먹는 조리법이 권장된다. 전통적으로 민물고기를 회로 떠서 즐기는 사람들이 꾸준히 있어 왔지만, 제 아무리 의학이 발달한 현대라도 이는 '''굉장히 위험한 행위이다.'''[2] 맑은 물에 산다고 해서 기생충이 안 붙는 것도 '''전혀''' 아니다. 오히려 적지 않은 기생충들이 수질에 민감해서(...) 4급수 이하 똥물보다 1급수에 사는 기생충이 더 많다.(중간 숙주인 패류와 갑각류가 3급수 이하에서는 대부분 못 산다.)
국내 민물고기의 전문가로는 2002년 작고한 서울대 명예교수 최기철 박사가 있었다.
바닷고기에 비해 마트에서 파는건 심하게 극소수인데다 식당에서 겨우 찾아내 먹을 수 있을정도로 취급이 상당히 안습하다. 그나마 마트에서 파는건 미꾸라지나 연어, 송어 정도. 그마저도 연어는 바닷물과 민물을 드나드니만큼 완벽한 민물고기는 아니고 송어도 연어과의 바다를 넘나드는 고가인데 주로 민물에서 양식해 민물고기 취급인 거고 마트에서 파는 곳은 극히 드물다.
민물고기는 흙냄새가 나서 싫어하는 사람도 꽤 있다.#, # 강바닥에 살거나 수질이 좋지 않은 곳에서 사는 민물고기에서 흙냄새가 특히 심하다.[3] 흙냄새 외에도 가시 때문이 싫어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 특히 잉어과 민물고기들은 잔가시가 더럽게 많고 억세기로 유명해서[4] 먹는 사람만 먹고 안 먹는 사람들에겐 더욱 꺼려진다.
충청북도 등 내륙지역에는 민물고기를 활용한 요리가 발달해 있다. 기술이 발달하지 못했던 과거에는 내륙지방에서 해산물을 먹기가 매우 힘들었기 때문이다. 특히 송어회는 옛날보다야 인기가 많이 죽었지만 아직도 청주 사람이라면 한 번은 먹어 봤다고 할 정도다.
중국이나 동남아에선 민물고기 요리를 오히려 즐기는 편이다. 찜, 구이, 심지어 튀김[5]까지 만들어 먹으며, 한국에선 잔가시 많다고 꺼려지는 잉어과를 고급어종으로 취급하기까지 한다.[6] 수호지 같은 옛날 소설에도 잉어를 회로 먹는 얘기가 나올 정도. 반면 가시가 별로 없는 물고기를 덩어리 형태로 가공해서 구워먹는 서양 쪽에선 한국이나 일본 쪽보다 배스, 블루길 등 몇몇을 제외한 민물고기가 훨씬 더 인기 없다.[7] 문제는 그쪽 사람들이 안 먹고 아시아~동남아 쪽에서나 먹는 잉어과 민물고기들이 어디서인지 미국 둥지에 수입돼서 자연에서 세를 엄청 불리고 이런저런 피해를 주고 있다는 것. 역으로 한국에선 서양권 민물고기들인 배스, 블루길 등이 수입돼서 생태계에 피해를 주고 있다.
학술적으로는 생태학, 지리학 등에 꽤나 연구 가치가 있는 편인데, 민물에서만 살 수 있기 때문에 동물 중에서 행동 반경이 가장 좁기 때문이다. 예컨데 육상생물의 경우 큰 강으로 단절된 경우가 아니라면 대륙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날 수 있는 조류의 경우 전 지구적으로 이동하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있지만, 민물고기의 경우 강의 지류에서 이동하는 정도밖에 할 수 없다. 이런 지엽적인 서식 환경을 생태학이나 지리학 연구에 이용한다.
민물고기 중 한국에서 인지도가 높은건 단연 붕어잉어, 미꾸라지, 메기. 식재료 외에도 손맛을 즐기는 낚시용으로 쓰이기도 한다.[8] 이외에 모양이 아름답거나 독특한 담수어들은 크기와 종류 불문하고 열대 담수어로 취급되어 반려용으로 인기가 좋다.[9]

3. 민물고기에 해당하는 물고기


한국의 담수어류 참고
[1] 송사리나 피라미처럼 정말 작은 경우가 있는가하면 잉어나 웰스 메기처럼 여차하면 2m를 넘기는 종도 존재한다.[2] 사실 바다 물고기들도 마찬가지로 기생충이 흔히 있지만,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종류는 민물고기보다 적은 편이다. 바다 기생충이 주로 노리는 숙주(host)는 어류와 갑각류, 고래와 같은 해양 포유류지 육상 포유류가 아니기 때문이다.[3] 이를 죽이기 위해 갖은 양념을 많이 쓴다.[4] 이는 이쪽 계통 민물고기들은 척추, 갈비뼈, 기본 잔가시 외에도 더 긴 잔가시들이 몸의 양 테두리를 따라 빽빽하게 박혀있기 때문이다. 문자 그대로 입체적으로 뼈가 박혀있다.[5] 그것도 잔가시 더럽게 많은 잉어과 민물고기들로도 만든다.[6] 초어나 백련어, 잉어 같은 경우엔 양식도 많이 하고 자연산은 오히려 원래 서식지에선 너무 많이 잡아서 문제가 된다 할 정도로 많이 먹는다.[7] 특히 가시가 더럽게 많은 잉어과 민물고기는 정말 인기가 더럽게 없다.[8] 붕어+잉어 민물 낚시는 국내 낚시 인구 중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 가장 큰 장르이다. 그것고 바다낚시가 세를 불린 20년 이내에 그리 된 것이고, 원래는 90%정도 차지했다.[9] 이 분야에서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게 금붕어인데, 원본인 붕어에서 원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엄청나게 개량되었으며 그 역사도 깊은 편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