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301

 


[image]
[image]
NEW BS110 차량.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저상차량.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여담
4.2. 연간 일평균 승차량
4.3.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밑줄 처리 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한 정류장에 정차하는 구간으로 방향을 확인하고 이용해야 한다.

[image]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301번
기점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금정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브니엘고등학교)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5:40
막차
22:30
막차
23:10
배차간격
출퇴근 40분 / 평시 40~55분
운수사명
삼신교통
인가대수
3대
노선
금정공영차고지 - 부산종합버스터미널(노포역) - 범어사입구 - 남산동새벽시장 - 남산고등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 남산고등학교 - 남산초등학교 - 구서시장 - (→ 장전동어린이놀이터 → 현대아파트 →/← 장전역 ←) - 부산대학교 - 부산대역 - 금정구청·부산가톨릭대 - 금정문화회관 - 브니엘고등학교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27.2km다. 모든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 신설된 후 2005년까지는 좌석버스로 운행하였다. 더불어 좌석버스 신설 당시 첫 번호였으며 이후로도 1985년에 201번이 공항버스에서, 205번이 부두버스에서 좌석버스로 통합되기 전까지 좌석버스 첫 번호 타이틀을 유지했다.[1]
  • 좌석버스 시절 심야버스 인가를 받고 1995년부터 부산대학교에서 사직동, 교대, 거제리, 양정, 부전역을 경유하여 서면까지 갔던 부산 최초 심야버스였다.[2]
  • 초창기 300번대 좌석버스 시절에는 부산대학교에서 구덕운동장까지 운행하였으며 초창기에 300번대 좌석버스는 모든 회사가 공동배차로 운행했다. 이후 1980년대 초반 좌석버스 노선을 고정배차로 변경하면서 이 노선을 배당받은 회사는 대성여객, 칠성여객, 신진여객이었다.
  • 1986년에 범어사입구까지 노선을 연장하게 되어 삼신교통 단독배차로 운행하게 되었다.
  • 1989년도 쯤에 사직운동장까지 노선 단축되었다.
  • 1993년부터 기점은 양산 서창, 회차지점은 사직운동장인 노선으로 조정 되었다.[3]
  • 2001년 5월 31일에 50번과 함께 회차지점을 법원.검찰청으로 연장하여 다니게 되었다.
  • 2004년부터 301-1번으로 분리하여[4] 301번은 영산대학교를, 301-1번은 서창을 기점으로 운행했다.
  • 2005년 경에 번호는 301번, 노선은 301-1번으로 통합되어 운행하게 된다.
  • 심야노선(서창~서면)의 노선 변경이 있었다. 당초 교대역~시청~양정을 경유하였으나 업체에서 수요저조를 사유로 거제리~거제안동네~거성교차로~사직운동장~미남역으로 노선 변경하였다.
  • 2005년 12월 25일에 일반노선으로 형간전환되었다.
  • 2006년 2월 경에 회차지점이 법원.검찰청에서 사직운동장으로 단축되었다.
  • 2007년 1월 부터 구.147번이 대우 푸르지오 아파트(서창택지지구) 구간을 올라가지 않고, 301번이 이 구간을 승계받으면서 기점이 변경되었다.
  • 2007년 5월 15일 대개편(준공영제 실시) 때 종점이 부산대학교까지 대폭 단축되었다. 또한 폐선된 147번의 차량 일부가 이 노선에 투입되어 7대로 운행했다.
  • 2007년 9월 1일에 3대 증차되어 10대가 되면서 배차간격도 15~20분으로 단축되었다.
  • 2009년 11월 경에 명동 화성파크드림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 2009년 12월 1일에 1007번[5]의 개통 및 인가대수 공수 건으로 1대 감차되었다.
  • 2011년 4월 1일에 부산 도시철도 4호선 개통과 부산시의 21대 순 감차 정책으로 인해 50번과 이 노선의 인가대수가 각각 1대씩 순 감차되었다.
  • 2013년 12월 7일에 1008번 증차 건으로 1대 감차되었다.
  • 2014년 7월 26일에 302번 개통 및 차량공수 건으로 2대 감차되었으며, 노선도 '대동이미지 - 명동화성파크드림 - 덕계 - 노포동터미널'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반발이 많아 기존 '노포동터미널 - 부산대' 구간을 새벽에 이용하던 승객들을 위해 첫차부터 5회차까지는 부산대까지 운행하기로 했다. 부산시 노선조정안내
  • 2015년 1월 30일에 차고지를 양산 용당동에 신축한 웅상공영차고지로 이전했다.[6]
  • 2015년 4월 18일에 양산 용당동 웅상공영차고지로 공식 연장되면서 중간 정류소(편들마을)에도 정차할 수 있게 되었다. 부산시 노선조정안내 [7]
  • 2016년 3월 12일부터 노포동 금정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여, 남산동새벽시장~구서롯데캐슬~부산대학교~금정구청~동래여고 및 브니엘고교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조정되었다.[8] 또한 1008번 인가대수 증차 건으로 2대 감차되었다.
  • 2020년 2월 29일부터 양방향 부산외국어대학교 남산동캠퍼스까지 올라갔다 오도록 노선이 변경되었다.

4. 특징


  • 마을버스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금정구를 절대로 벗어나지 않는 노선이다.[9]
  • 배차간격이 30분이 넘지만 환승대기시간 60분 적용대상이 아니다. 따라서 시간표를 잘 확인하고 이용해야 한다. 환승대기시간을 60분으로 늘려달라는 민원이 있으나 2회 환승으로 이동 가능하다는 이유 때문인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10]
  • 양산시 웅상 구간이 모조리 잘려나가고[11] 금정공영차고지 - 브니엘고등학교 간 노선으로 변화하여 자 모양의 단거리 노선이 탄생했으며 브니엘고교에는 구.178번이 폐선된 2008년 7월 이후 약 8년만에 시내버스가 다시 들어가게 되었다.
  • 노선 변경 후 선형만 보면 굴곡 노선으로 노포동에서 중앙대로를 통하여 바로 브니엘고 방면으로 갈 수도 있으나 구간수요를 위해 중앙대로가 아닌 금강로를 따라가며 장전역과 부산대를 경유시킨 것이다.
  • 이 노선변경의 의의는 금정구 내에서 금강로를 지나 중앙대로로 가려는 승객브니엘고등학교부산예고 통학생 등에게 시내버스 노선 편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금정구의 구서동, 남산동, 청룡동 쪽 버스노선의 특징은 금강로, 중앙대로, 금샘로로 다니는 노선이 서로 평행선으로 달리는데 지형 자체가 산 중턱까지 주택지가 형성된 형태라 그 사이를 이어주는 노선이 전무했다.(노포동행 제외)[12] 그래서 중앙대로에 위치한 금정구청, 금정구보건소와 구서동, 남산동, 청룡동 거주지역을 직접 연결해주는 노선이 사실상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였기에 구청쪽 민원 접수 및 보건소 방문에 어려움이 많았다.[13]
    • 브니엘고등학교에 시내버스가 다니지 않아 히치하이킹을 하는 상황이 1996년부터 무려 20년간 이어져왔으며[14] 지속적으로 언론보도로 알려지고 민원이 발생되기도 했다.[15]
  • 현재 노선으로 변경된 이후 지역적으로 두 가지 효과가 있는데
    • 첫번째로 브니엘고교행 버스가 청룡동, 남산동, 구서동, 장전동, 부산대학교(!)를 경유하는 형태로 생기면서 통학 불편이 해소된다는 점이다. 거기에 금정구청 → 브니엘고로 가는 구간에 학교 밀집지역을 경유하므로 등하교 수요가 폭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브니엘고등학교 인근 선동 주민들의 교통 불편 문제 및 오랫동안 이어져온 히치하이킹 문제도 동시에 해결될 수 있다.[16] 또한 브니엘고등학교로 가는 길목에 위치한 부산가톨릭대학교지산고등학교의 통학 수요도 상당수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17]
    • 두번째로 금정구의 주거지역인 청룡동, 남산동, 구서동, 장전동에서 금정구청 및 금정구보건소로 가는 노선이 생긴다는 점이다.[18]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금정구청 공무원들과 금정구청, 금정보건소 등을 방문하는 구민들에게 특히 환영받을 수 있다.
  • 웅상 - 노포동 간 교통수단이 줄어들었다는 단점이 있지만, 대체노선인 양산 58번이 60번을 흡수해 금정세무서까지 연장되고 인가대수도 증차, 운행횟수도 301번 서창 - 노포동 시절 횟수 45회로 딱 맞추어서 다니고 있다. 첫막차 시간도 거의 비슷하다. 하지만 부산대학교는 경유하지 않아 부산대학교로 통학하는 웅상 주민들은 조금 불편할 수도 있다. 이 노선은 회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금강로, 금정로는 미경유하고 중앙대로만 따라 운행하기 때문이다.[19] 금정세무서에서 내린 뒤 부산대역까지 걸어가서 부산대 순환버스로 환승하는게 그나마 낫다.
  • 기존 노선을 없애고 번호가 같은 새로운 노선을 하나 만들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실제로 브니엘고등학교를 종점으로 변경할 무렵에 버스 차량에 붙어있던 현수막도 개편이 아닌 아예 301번 노선 신설#로 적혀있었다는 점에서 기존의 301번은 폐선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비슷한 예로 36번139번이 있다.
  • 301번이 지금 노선으로 변경되면서 상술한 불편사항들이 해소되어 의도만큼은 좋았다. 다만 노선 특성상 등하교시간에만 수요가 몰리고 그 외에는 남산동(금강로)에서 49번/131번의 와일드 카드 노선이다. 노선담당 주무관 답변내용대로 금정구 내에서 반응이 비교적 좋아보인다.
  • 2016년 현재 301번의 현황에 대해 집중 모니터링 중이고 이용추이에 따라 합리적으로 조정하겠다고 한다.
  • 이 노선은 노포동<>부산대<>브니엘고 간 이용률이 얼마나 되냐에 따라서, 장기적으로 운행될지 단기적인 운행 후 변화할지 판가름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브니엘고는 통학버스 이용대금을 내는데, 교통편이 불편한 곳이라 거의 고교, 여고, 예고, [20]의 전교생이 통학버스를 이용하는데, 1학기는 이미 지불한 상황이기 때문에 301번의 이용객이 적을수밖에 없었다. 2학기부터는 이 노선이 이미 운행중이므로 통학버스를 타지 않는 학생들이 다수 생길 가능성이 높아 2016년 하반기부터는 이 노선의 통학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보였다. 그리고 2016년 8월 2학기가 시작되며 이 노선을 이용한 통학생들이 늘면서 하교시간대에 차량 앞문쪽까지 들어찰 정도로 엄청난 수의 학생들이 탑승한다고 한다.
  • 서창 - 노포동 시절의 운송수입금은 1일 대당 약 32만원대였으나 2018년 6월에는 1일 대당 약 25만원대로 나왔다. 2대로 운행하는 자사노선 302번보다 운송수입금이 더 적다. 하지만 현재 이 노선은 금정구를 벗어나지 않는 노선인데다 인가대수도 서창 - 노포동 시절보다 2대 감축된 3대이며 주 수요층이 중고생들이라 청소년 요금이 주를 이루는 점을 감안하면 어느정도 선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과거 좌석버스로 운행했던 시절과 비교해보면 여전히 초라하기 짝이 없다.
  • 웅상 지역 일부 주민들이 부산시에 301번 환원을 요구했지만, 부산시에서는 301번 노선이 금정구 내에서 반응이 좋아서 양산지역 내의 버스운행은 양산시에 건의해달라고 답변했다. 상술했듯이 58번이 60번을 흡수하여 금정세무서까지 연장해 일부 대체되었으니 58번 노선을 타면 된다. 그러나 양산 58번은 금정세무서에서 끊기기 때문에 여전히 만족도는 떨어지는 상태다.
  • 원래 전 차량 저상버스를 굴리던 노선이었으나 2020년 2월 29일부산외국어대학교 경유로 변경되면서 49번의 신도색 일반차량 3대(개선형 1대 포함)를 빼오고 저상차량 3대를 모두 49번으로 트레이드 했다. 저상차량으로 테스트한 결과 부산외국어대학교 오르막 구간에서의 운행이 힘겨운 관계로 차량을 맞트레이드 했다.

4.1. 여담


  • 1994~1995년 기준으로 사직운동장 방면노선 한정으로 삼신교통 청룡동 구.본사를 경유했었다. 이는 승무원들의 근무교대 때문이었다. 허나 언제부턴가 범어사입구 외곽 정류장으로 노선이 변경되면서 더 이상 구.본사를 경유하지 않게 된다. 현재는 금정공영차고지 기점 노선들과 동일하게 바깥쪽 정류장에 정차하고 있다.
  • 2005년 일반버스로 형간전환 직전에 삼신교통 서창영업소에 방문한 모 동호회에서 삼신교통 관계자에게 왜 247번이 아닌 301번이 형간전환되었는지 질문을 했는데 247번보다 301번이 일반버스로 다니기에 선형이 더 적합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다만 노포동에서 부산대까지 자사노선 49번과 당시 80-1번(현.80번), 세진여객의 당시 29-1번(현.29번)과 80번(준공영제 대개편 때 폐선) 노선과도 중복되는 문제 때문에 형간전환을 많이 우려했다고 한다.
  • 이때 노선 번호도 아예 다른 번호로 변경될 예정이었다. 300번대 번호는 예전에 좌석 전용 번호였다. 당시 구.147번 승무원[21]의 증언으로도 삼신교통에서는 입석으로 형간전환할 때 50번의 지선 노선이라는 의미로 150번으로 노선번호를 변경할 계획이었으나, 약 1주일 뒤에 웅상영업소 경리의 증언으로 301번이라는 노선 번호가 이미 웅상 주민들에게 익숙해져 있어 혼동의 문제도 있었고 338번이 다니고 있는 상황에서 굳이 번호를 변경할 필요성이 없어져 노선 번호를 변경하지 않고 301번을 그대로 사용하기로 했다고 한다. 그와 동시에 심야버스는 247번(현. 부산 버스 1002) 정규차를 돌려가며 투입했고 당시 좌석버스였던 37번의 정규차 1대[22]를 투입해 준공영제 대개편 직전까지 운행했으며, . 출처 : # 준공영제 이후에는 37번까지 일반노선으로 형간전환되면서 심야노선은 1002번으로 완전히 승계되었다.
  • 양산 서창~부산대 운행 시절, 정관신도시 버스노선에 301번 차량이 차출되어 감차되면서 배차간격도 20~25분으로 벌어졌는데 연착되어 배차가 30~40분 이상까지 벌어져 환승을 못 하는 경우도 허다했다. 정관신도시 조성 이후 점진적으로 감차가 이뤄지면서 점점 배차가 벌어져 불만이 폭발했다.[23]

4.2. 연간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3505.57

2015년
2086.29
▽ 1419.28
2016년
556.14
▽ 1530.15
2017년
762.71
△ 206.57
2018년
706.00
▽ 56.71
2019년
753.71
△ 47.71

4.3. 노선


[image]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301번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신현마을'''
브니엘고등학교
11271




브니엘고등학교
11270
금단마을
11269




금단마을
11268
동래초등학교
11267




동래초등학교
11266
금정문화회관
11265




금정문화회관
11264
금정구청.부산가톨릭대
11068




금정구청.부산가톨릭대
11067
롯데마트
11070




-
경남한신아파트
11077




경남한신아파트
11078
부산대역.부곡대우아파트
11113




부산대역
11112
-




부산대역
11082
-




부산대앞부산은행
11083
-




부산대학교후문
11089
부산대학교정문
11080




부산대학교정문
11085
-




현대아파트
11079
장전1치안센터
11076




장전중앙교회
11075
장전역
11071




장전동어린이놀이터
11074
장전초등학교
11072




장전초등학교
11073
금정산쌍용예가1차
11066




금정산쌍용예가1차
11065
국민은행구서동지점
11064




국민은행구서동지점
11063
구서시장
11061




구서시장
11062
롯데캐슬입구
11054




롯데캐슬입구
11163
롯데캐슬정문
11052




롯데캐슬정문
11053
신동아아파트
11049




신동아아파트
11048
선경3차아파트
11046




선경3차아파트
11047
남산초등학교
11041




남산초등학교
11040
남산고등학교




남산고등학교
부산외대정문




부산외대정문
부산외국어대학교캠퍼스




부산외국어대학교캠퍼스
부산외대정문




부산외대정문
남산고등학교




남산고등학교
남산고등학교입구
11031




남산고등학교입구
11030
남산동새벽시장
11024




남산동새벽시장
11025
남산고등학교입구
11031




남산고등학교입구
11030
남산동농협
11021




남산동농협
11020
범어사입구
11013




범어사입구
11012
노포삼거리
11009




노포삼거리
11008
부산종합터미널(노포역)
11007




부산종합터미널(노포역)
11006
'''금정공영차고지'''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체육공원로'''

▲ 금정문화회관
'''무학송로'''
'''중앙대로'''
금정구청.부산가톨릭대 ▼
'''중앙대로'''
부산대역.부곡대우아파트 ▼
▲ 경남한신아파트
'''부산대학로'''
부산대학교정문 ▼
▲ 부산대역
'''금정로'''

▲ 부산대앞부산은행
'''수림로'''
'''장전로'''
장전초등학교 ▼
▲ 부산대학교후문
'''금강로'''
남산고등학교 ▼
▲ 남산동럭키아파트
'''남산로'''
부산외대정문 ▼
▲ 남산고등학교
'''금샘로'''
부산외국어대학교캠퍼스 ▼
▲ 부산외대정문
'''금샘로485번길'''
부산외대정문 ▼
▲ 부산외국어대학교캠퍼스
'''금샘로'''
남산고등학교 ▼
▲ 부산외대정문
'''남산로'''
남산고등학교입구 ▼
▲ 남산고등학교
'''금강로'''
범어사입구 ▼
▲ 남산동농협
'''청룡로'''
노포삼거리 ▼
▲ 범어사입구
'''중앙대로'''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1] 1990년대 일반/좌석겸용 노선이 생기기 전까지 부산의 좌석버스는 201번과 205번을 제외하고 전부 300번대 노선이었다.[2] 이 당시 심야버스가 서면에 나타나서 수요가 버스로 몰리자 택시기사들이 참다못해 결국 깡패들을 고용해서 막대한 수난을 당하기도 했다고 한다.[3] 참고로 당시에는 경상남도 양산군 웅상읍 서창리였다.[4] 이 때 삼신교통은 좌석버스 노선만 무려 5개(37번, 247번, 301번, 301-1번, 347번)를 운행하게 된다.[5] 2012년 7월 9일에 삼신교통이 철수했으며 1007번은 2015년 11월 28일에 입석 107번으로 형간전환되었다.[6] 원래는 삼신교통 서창영업소를 명동 화성파크드림 근처로 이전하려 했으나 주민들의 반대가 심했고 양산시와 용당동에 공영차고지를 만들도록 협의가 되면서 현재 차고지로 이전했다.[7] 2016년 3월 12일 이전까지는 양산 버스 58번 기,종점과 같지만 경유지가 달랐다. 참고로 58번 노선은 웅상출장소를 경유했었다. 그러던 중 2016년 3월 1일에 양산시 시내버스가 노선 개편되면서 웅상출장소를 경유하지 않는다.[8] 웅상대동이미지~웅상도서관~노포동 구간 푸른교통 67번, 88번 폐선된 차량을 가지고 와서 58번 5대를 맞트레이드시켰다.[9] 비슷한 노선으로 범어사 셔틀인 90번이 있다. 다만 서창 기점시절 기장군 정관읍 월평리와 임곡리를 경유하였다.[10] 일광신도시 연장 이후의 36번(주말 한정), 83-1번, 88번, 121번, 124번, 138-1번(주말 한정), 139번, 148-1번, 186번(주말 한정), 307번, 신해운대역 종점 변경전 1006번 등도 이 이유로 환승대기시간이 30분이다. 준공영제를 시행하기에 환승차액은 당연히 시에서 다 부담해야만 한다. 그런데 환승대기시간을 늘리면 환승차액이 더욱 늘어나니 시에서 부담해줘야 할 금액이 불어나기 때문에 환승대기시간을 늘리지 못하는 것이다.[11] 현재 양산 버스 58번이 그 노선을 대체한다.[12] 즉, 고지대에서 내려가서 버스를 타더라도 돌아올때는 걸어서 한참 올라가야 해서 금강로 근처에 거주하는 주민이 중앙대로로 내려와서 버스 타는 일은 꽤 드물다.[13] 특히 청강리 사태로 부산 버스 36이 아예 다른 노선이 되면서 롯데캐슬에서 환승해서라도 금정구청, 보건소를 방문하던 금강로 위쪽 사람들은 졸지에 구청 및 보건소 방문에 애로사항이 발생한 채로 수년이 흐른 상태였다.[14] 잘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브니엘고등학교가 이전이 추진되던 1991~1992년에도 이미 대중교통수단 부재로 인한 히치하이킹에 대한 우려가 언급되었고 이로 인해 여러차례 이전 승인이 반려되었던 적도 있었다고 한다. 실제로 브니엘중학교는 이러한 이유로 이전 승인이 끝까지 거부되면서 결국 폐교되었다.[15] 이 언론보도와 민원으로 금정구청 회차 시절의 148-1번 연장도 부산시에서 검토했으나 무산되고 301번이 투입되었다. 그 이전인 2006년에는 구서동 회차 시절의 36번 노선 연장을 요청하는 탄원서를 제출하기도 했으나 무산되고 대신 178번이 투입되기도 하였는데 폐선되어 버렸다.[16] 이곳을 경유하는 버스로는 마을버스인 금정3-1번밖에 없는데 이마저도 1시간에 1대 꼴로 운행된다.[17] 이전까지는 구서동 이북 지역에서 가톨릭대 방면으로 가는 노선이 중앙대로 연선으로 다니는 50번, 148번 뿐이었기에 금강로와 금샘로에서 이어주는 노선은 없었지만 이젠 이 노선이 금강로에서 그 역할을 담당하고있다.[18] 단축 전의 148-1번도 금정구청이 종점이었으나 현재는 부산대학교까지 단축되어 운행 중이다. 다만 이 노선의 경우 장전역에서 환승은 가능했으나 금정구청으로 가는 승객 수요는 거의 없던 노선이었다. 금정구청을 이용할 구민들이 거주하는 금정구 구내를 거의 지나지 않고 덕천, 만덕에서 넘어와서 회차지가 금정구청이었을 뿐인 노선이라 다들 관심이 없었다. 중앙대로로 지나가지 않고 금정구청 및 보건소로 가는 노선은 구.36번 정도였다. 그나마도 그 노선은 구서주공(현 구서롯데캐슬골드)에서 회차하는 노선이었다.[19] 금정세무서에서 부산대학교정문까지의 거리는 약 800m 정도이기에 마냥 걷기엔 시간이 꽤 걸린다.[20] 브니엘예중의 경우는 상당수의 재학생들이 외지인들이고 거의 의무적으로 기숙사에 거주하기 때문에 통학수요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브니엘예고 또한 외지인 비율이 높고 기숙사 거주 학생이 많아서 대다수의 통학수요는 일반계 2개교에서 발생한다. 부산시청에서 주장했던 178번의 폐선 사유 중 하나도 브니엘예중 및 예고의 기숙사 완공이 원인이었다고 한다.[21] 해당 승무원은 부산 70자 2536호를 운행했다.[22] 해당 차량은 부산 71자 1915호 가스차였다.[23] 참고로 2011년 5월 전까지는 광역환승도 없었다. 지금도 환승요금이 비싸서 부산버스를 자주 이용하는 실정인데 광역환승이 없었을 때는 얼마나 불만이 폭발했었을지 충분히 예측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