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라소니

 



[image]
''' 스라소니 '''
Eurasian lynx
이명: 시라소니
''' ''Lynx lynx'' ''' Linnaeus, 1758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고양이과(Felidae)

스라소니속(''Lynx'')

'''스라소니(''L. lynx'')'''
'''아종'''
북부스라소니(''L. l. lynx'')
투르케스탄스라소니(''L. l. isabellinus'')
코카시아스라소니(''L. l. wrangeli'')
시베리아스라소니(''L. l. wrangeli'')
발칸스라소니(''L. l. balcanicus'')
카르파티아스라소니(''L. l. carpathicus'')
[image]
영어: Eurasian lynx
프랑스어: Lynx boréal
이탈리아어: Lynx lynx
터키어: vaşak
페르시아어: وشق
중국어: 歐亞猞猁
일본어: オオヤマネコ
1. 개요
2. 아종
3. 기타


1. 개요


유라시아 지역에서 사는 고양이과 포유류.
호랑이표범이 그러하듯 단독 생활을 한다. 현재 스라소니와 마찬가지로 스라소니속에 속하는 동물로는 북아메리카의 밥캣(Bobcat, ''Lynx rufus'')과 캐나다스라소니(Canada lynx, 'Lynx canadensis'), 스페인의 이베리아스라소니(Iberian lynx, 'Lynx pardinus'.) 등이 있다. 그중 이베리아스라소니는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멸종위기종이 되면서 현재 스페인 정부와 왕실에게서 보호를 받는다.
한국에서는 17세기 문헌에 ‘시라손’으로 불리는 것이 발견 되었으며, 이 단어가 세월이 흐르며 ‘스라손’으로 바뀌고 뒤에 접미사 ‘-이’가 결합되어 탄생한 것이 '스라소니'다. 서북 방언으로는 '시라소니', 동북 방언으로는 '씨래소니'라고 부른다. 한자로 표기할 시 만연(獌狿), 추만(貙獌), 토표(土豹) 등 여러 단어로 표기 된다.
'소형' 고양이과 동물 중에서는 대체로 대형에 속하며 다른 소형 고양이과 동물들이 덮치지 못하는 먹이도 사냥이 가능하다. 이를테면 사슴이나 고라니, 노루, 염소이나 산양순록도 제압할 수 있다. 그리고 길고양이들고양이같은 소형 고양이과 동물도 잡아먹기도 한다.# 한 마디로 큰 먹이와 중간 먹이, 작은 먹이를 가리지 않고 먹는다. 그리고 고양이과 동물답게 성질 또한 상당히 사나운 편이다. 작다고는 해도 몸길이 80~130cm에 무게는 수컷 15~38kg, 암컷 8~21kg 정도 되는 중형견~대형견급 체중이다 보니 맨손이라면 인간에게도 위험한 동물이다.[1] 하지만 인간에게 해를 끼쳤다는 기록은 거의 없는데, 야행성인 스라소니의 특성상 인간을 피해다니며 살았다. 꽤 크다고는 해도 호랑이와 표범처럼 인간을 먹이로 삼기엔 작았고 삵이나 족제비처럼 민가에 몰래 들어와 닭 같은 가축을 물어가지도 않고 순수하게 야생에서의 사냥만으로 생활을 했다. 한마디로 너무 어중간해서 인간과의 접점이 별로 없었기 때문에 욕을 덜 먹은 것.
옛날에 시골에 살던 어르신들의 증언에 따르면 덩치가 작은 놈들은 달아나기 전에 뒷발질로 눈에 흙이나 모래를 뿌렸다고 하며, 그만큼 영악했다고 한다. 개호지, 개호자라 불렸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꼬리 길이는 꼬리가 긴 사자, 호랑이, 표범, 치타, 퓨마, 재규어, 오셀롯, 살쾡이 등 현존하는 다른 고양이과 육식 동물들과 달리 아주 짧다.[2]
[image]
[image]
대부분의 고양이과 포유류가 그렇듯 새끼 때에는 상당히 귀여운 편이다.
국내에서는 유라시안 스라소니라는 종이 과거 한반도 북부 지역에 분포했으나(목격담도 포함하면 중부지역까지 넓어진다) 서식지의 파괴나 사냥 등으로 인해 북한의 개마고원 같은 오지 지역에만 남았다. 하지만 충북 등의 일부 지역에서 목격담이 있고 발자국도 발견된다는 얘기가 있다. 하지만 표범과는 달리, 스라소니와 승냥이는 남한에 서식하였다는 것 자체도 논란이 있기 때문에 의문의 여지가 있다.

2. 아종



3. 기타


  • 승냥이와 함께 한반도 이남에서의 기록은 거의 없는 편. 주로 강원도나 이북에서의 기록이 전승되고 있다. 아무래도 추운 지방에서 살아서 그런 듯.
맹수지만 인간의 손에 길들여 지기도 한다.[3]

  • 러시아에는 그냥 길고양이인줄 알고 데려가 키웠는데 데려올 때부터 스라소니(Lynx)를 닮았길래 링시(Lynxy)라는 이름을 지어줬지만 진짜 스라소니 였다는 황당한 일이 있다. 근데 사람에게 키워져서 그런지 주인말에 따르면 매우 온순하고 아이들과도 잘지내며 애교가 많은 편이라 집고양이랑 별반 다를게 없다고 한다.[4]
  • 골골이 소리가 거의 오토바이 수준이다. #1 #2
  • [image][5]
우리나라 일부 지역에서는 한때 '호랑이 새끼가 버려져서 악착같이 살아남은 게 스라소니다'라는 속설이 있었다. 그래서 호랑이 새끼를 부르는 단어인 개호주가 스라소니를 지칭하기도 했다. 조선시대부터 고양이과 맹수를 싸잡아 이라 불렀고 이런 속설들이 겹쳐서 저런 기사가 나온 것. 그래서 예로 부터 '범 새끼가 열이면 스라소니도 있다'라는 속담처럼, 집단에서 못난 사람을 가리키거나, 이도 저도 아닌 어중간한 포지션을 가진 자를 뜻하기도 했다. 야인시대시라소니는 오히려 이걸 역으로 빗대어 '한물 갔다고 해서 시라소니가 고양이 새끼 되진 않는다.'라고 하기도 한다.
  • 2016년에는 서울대공원 동물원에서 국내 최초로 스라소니 새끼를 번식하는 데에 성공했다. 현재 새끼는 어미와 함께 지내며 무럭무럭 잘 자라고 있다 한다.[6][7]
  • 대잠헬기로 쓰이는 링스 헬기는 이 동물의 이름을 딴 것이다.
  • 북한에서는 한국을 이 동물에 빗대면서 비방한다고 한다.# 오래전부터 스라소니나 족제비, 여우는 간사한 동물이면서 맹수이나 가소로운 동물류에 빗대어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캐나다에 서식하는 눈신토끼, 스라소니와 울버린의 주기적 변동성 그래프(Periodic fluctuations of rabbit, lynx, and wolverine in Canada)에 등장하는 동물로도 알려져 있다. 이 그래프는 캐나다의 생물학자 찰스 고든 휴이트가 캐나다의 야생 생태계를 연구하면서 기록한 그래프로, 1917년에 출판된 "The conservation of the wild life of Canada" 217 페이지에 기록되어 있다. 고등학교 생명과학1의 포식과 피식 단원에서 예시로 자주 나온다. 예시로 나올 때는 원본 그래프를 간략화하여 울버린이 빠지고 포식자 스라소니의 그래프와 피식자 눈신토끼의 그래프를 겹쳐 놓는다.
  • 엘더스크롤 시리즈에 등장하는 수인 종족 카짓은 여러 고양잇과 동물(호랑이, 사자, 표범, 퓨마 등)처럼 생겼는데, 이 중 5편 스카이림에 등장한 카짓은 스라소니를 닮았다.

[1] 스라소니보다 작은 캐나다스라소니는 몸 75~106cm, 무게는 5~18kg 이다. 또한, 스페인의 이베리아스라소니는 몸 68~82cm, 무게 7~15kg이다.[2] 이 짧은 꼬리는 멸종한 검치호에서 볼수 있는 특징이다. 물론 둘다 고양이과라서 닮았지만 스라소니는 ·오셀롯·퓨마가 속한 고양이아과에, 검치호는 마카이로두스아과에 속해서 둘이 직계조상이라든가 그런 가까운 유전적인 관계는 아니다.[3] 위 사진은 일제강점기 청진에서 맹수 사냥과 리조트를 운영하며 살았던 러시아인 '얀코프스키일가가 키우던 스라소니다. 얀코프스키 일가의 이야기는 1970년대에 '사냥꾼 이야기'라는 책을 통해 한국에도 알려져 있다.[4] 사실 야생동물의 새끼를 함부로 주워와서 기르는 것의 단점이라고 한다. 야생동물의 새끼들이 인간 손에 너무 오래 길러지면 야생성을 잃어서 사람 곁에서만 살 수 있게 되기 때문. 링시(스라소니)의 예시 말고도 사람에게 너무 어릴적부터 길들여져서 야생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된 케이스는 제법 많다. 링시는 대중적인 애완동물 고양이와 같은 아과이기 때문에 관리 및 사육이 덜 힘들어서 다행인 경우.[5] 위 사진은 1925년 5월 1일자 동아일보 기사다.[6] 본래 암수 한 쌍이 함께 있었으나 새끼가 태어난 이후로는 새끼의 보호와 건강을 위해 수컷을 따로 분리해 두었다고 한다.[7] 번식에 성공한 이 개체들은 북한에서 들여온 개체들이며, 이 개체들을 토대로 설악산에 복원사업을 진행하려고 한다. 다만 민감한 동물이라 여러 애로사항이 많은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