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여동
[clearfix]
1. 개요
거여동은 거암이라는 만석꾼이 살아서 ‘거암리’(巨岩里)라 하던 것이 변하여 현재의 거여동이 되었다.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동. 거마로와 양산로를 기준으로 서쪽은 거여1동, 동쪽은 거여2동으로 나누어진다.
거여동의 지도상 면적은 상당히 큰 편이지만 그린벨트 및 육군특수전사령부[1] , 제3공수특전여단[2] 및 기타 군부대로 인하여 거여동 면적의 절반가량이 분리되어 있었는데[3] 군부대 이전 및 위례신도시 개발로 거여동이 원래대로 제자리를 찾게 되었다.
2. 주요 시설
2.1. 편의
2.2. 기관
2.3. 주거
- 거여1단지아파트 - 1997년 11월 입주 1004세대
- 거여2단지아파트 - 1997년 12월 입주 478세대
- 거여3단지아파트 - 1997년 7월 입주 598세대
- 거여4단지아파트 - 1997년 7월 입주 546세대
- 거여5단지아파트 - 1997년 7월 입주 605세대
- 거여6단지아파트 - 1997년 8월 입주 660세대
- 삼호 거여삼호아파트 - 1999년 6월 입주 142세대
- 우방건설 거여우방1차아파트 - 1999년 5월 입주 257세대
- 현대건설 거여현대1차아파트 - 1991년 12월 입주 497세대
- 현대건설 거여현대2차아파트 - 1992년 4월 입주 280세대
- 현대건설 거여현대3차아파트 - 1993년 7월 입주 303세대
- 현대건설 현대그린빌아파트 - 1998년 6월 입주 70세대
- 금호산업 거여어울림아파트 - 2003년 11월 입주 140세대
- 쌍용건설 거여쌍용스윗닷홈1차아파트 - 2006년 4월 입주 95세대
- 쌍용건설 거여쌍용스윗닷홈2차아파트 - 2006년 8월 입주 70세대
- 대림산업 e편한세상 송파파크센트럴 - 2020년 6월 입주 1199세대
- 롯데건설 송파 시그니처 롯데캐슬 - 2022년 2월 입주 예정 1945세대
- 호반건설 호반써밋 송파 1차 - 2022년 2월 입주 689세대
- 호반건설 호반써밋 송파 2차 - 2022년 2월 입주 700세대
- 계룡건설산업 송파 리슈빌 퍼스트클래스 - 2021년 10월 입주 494세대
3. 상세
강남3구에 포함되는 송파구이지만, 거여동은 송파구 안에서 마천동과 함께 개발이 늦게 진행되었던 곳 중 하나이다. 그 이유는 거여동 남부에 절반 넘게 차지하고 있었던 육군특수전사령부, 제3공수특전여단 및 기타 군부대[8] 과 거여동 북부와 남부가 그린벨트로 인하여 위 아래가 막혀있었던 탓이 컸다.[9] 1970년대부터 존재했던 군부대의 경우 2016년 이천으로 이주완료하여 개발을 저해하는 요소가 사라졌고 그 덕분에 거여동과 마천동이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추가적으로 남부 위례신도시 북부 감일신도시가 생기며 위 아래로 도로가 새로 개통되어 교통이 편리해졌고 결과적으로는 두개의 신도시 사이에 위치하게 되었다.
주거환경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거여1동을 제외한 거여2동 및 마천동이 2005년에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되었지만 한 차례 취소되고 오랜기간에 거쳐 다시 진행중이며 거여2-1구역 송파 시그니처 롯데캐슬은 2022년 완료예정이며 거여2-2구역 e편한세상 송파파크센트럴은 공사가 2020년 공사가 완료되었다.
그 외 지역주택 조합 거여1동 3곳이 진행중이며, 거여2동 새마을지역의 경우 과거 재개발 구역이 해제 되었으나. 재개발을 다시 추진중이다.
거여역 주변으로 빌딩 건물을 뿌시고 신축 및 리모델링 하는 건물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상가들이 입점하며 거여역 중심으로 상권이 확장되고 있다. 주변의 아파트 개발과 맞춰서 거여역 주변이 새롭게 태어날것으로 예상된다.
4. 교육
초등학교는 거여1동에 서울영풍초등학교, 거여2동에 서울거원초등학교가 각각 1개씩 있고,
중학교는 보인중학교, 거원중학교, 오주중학교, 송파중학교 등에 진학하는 편이다.
고등학교는 남자의 경우, 근처의 보인고등학교, 보성고등학교, 동북고등학교, 방산고등학교, 오금고등학교. 여자의 경우 잠실여고, 창덕여고,방산고등학교, 문정고등학교, 오금고등학교, 가락고등학교 등에 진학하는 편이다.
교육에 관심 많은 부모님들이 많은편이며
학원의 경우 대치동이 가깝기 때문에 대치동 학원가나 방이역 올림픽공원사거리 근처의 학원가를 많이 다닌다.
대치동의 경우 지하철을 타거나 부모님이 라이딩을 해주시는 편이고 방이역의 경우 셔틀버스가 운행된다. 중학교 막바지에 대치동쪽으로 이사하거나 광역단위 자사고에 진학하는 인원도 꽤 있는편이다.[10] 이러한 인원등을 포함하면 거여동의 명문대 진학률이 생각보다 높은 편이다.
거여동 근처에 보인고등학교가 있지만 남녀공학 인문계 고등학교가 없다는점이 단점이었는데, 거여동 남부(북위례)에 덕수고[11] 가 2022년경 이전할 예정이다. 추가적으로 마천동재개발이 진행되며 학교가 신설될 예정이다. 2022년 초 2 중 1 고 1이 들어올 예정이다.
5. 교통
거여동에 수도권 전철 5호선 거여역이 위치하고 있다.
추후 서울 지하철 5호선 직결화 사업이 완료되면
방화행과 하남행 두 가지 열차가 운행되며 배차간격이 절반으로 줄어들 예정이다.
거여역의 경우 환승역을 염두해두고 설계되었으며 1996년 개통되었다.
수도권 외곽을 순환하는 경기순환철도가 복정역을 지나 거여역을 지나 하남으로가는 노선이 계획되었었는데
1997년 외환위기 터지고 계획이 취소가 되었다.
위례과천선 초기노선도의 경우 문정동136번지 재건축지구를 거쳐 거여역으로 진행되는 노선이었는데 시간이 지나며 복정역에서 끝나는 전철로 계획이 변경되었다. 하지만, 문정동에서 지속적으로 역 신설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추후에 위례과천선이 거여역까지 연장되거나 다른노선이 연장될 가능성도 있다.
위례를 관통하는 트램이 2024년경 개통될 예정이다. 자세한내용은 서울 경전철 위례선 참조.
상당수의 주민이 잠실로 출퇴근 하는데
수도권 전철 5호선의 경우 도심을 향하고 있고, 배차간격이 길어서 사람들이 버스를 많이 타고다닌다.
출근시간에 등교 학생과 직장인이 합쳐져서 버스가 항상 꽉찬다.
서하남IC 와 송파IC가 가까워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및 경부고속도로 접근성이 좋은편이며
서울세종고속도로 와 서울양평고속도로가 거여동 북부 감일동 근처에 개통될 예정이다.
5.1. 도로 교통
거여동 정중앙에 위치한 거여역 교차로가 거여동을 네 권역으로 나누고, 거여동 도로 교통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5.2. 대중교통
송파구의 지선버스들은 보통 거여동 송파상운 차고지, 한서교통 거여동 영업소에서 출발한다. 이 노선들은 송파공영차고지, 장지공영차고지, 강동공영차고지 같은 곳의 버스들처럼 3권역 밖으로 나가는 노선은 별로 없고 대부분 송파구 내에서 움직인다.
6. 군사
예전엔 이곳에 특수전사령부와 예하부대인 제3공수특전여단이 있었다.[여담]
[A] A B 2021년 1월 주민등록인구[1] 사자부대[2] 비호부대[3] 현재 위례신도시 북부지역이 거여동 군부대 지역이었다. [4] 남한산성부터 올림픽공원을 거쳐 한강까지 이어지는 하천으로 동네 강아지 산책시키는 사람들의 정모장소이다. 인도와 자전거도로로 나뉘어져있어 한강까지 쭉 자전거를 타고 운동 다니는사람들도 많다. 마천동 재개발을 진행하면서 끊어져있던 마천동~남한산성 구간을 복개할 예정이다.[5] 등산로 입구까지는 송파구이지만 등산로부터는 하남시이다. 가다보면 여기부터는 하남시입니다 표지판이 있으니 등산을 갈때 확인해보자[6] 거여2-1구역 개발하면서 서울시에 기증한 토지에 건설 예정이다. 위치는 거여2동주민센터와 현대2차아파트 사이에 2021.12.31.건설완료 예정이다. [7] 거여동272단지 일대에 4만4004㎡규모의 대형병원이 들어올 예정이다. 업체는 2021년 선정예정이다.[8] 마천4 재개발구역 건너편 거여2동에 5층짜리 군인아파트가 상당히 넓게 위치했었다. 남한산성 등산로도 많은지역이 철창으로 막혀 있었었다. 현재 북위례지역이 거여동 군부대지역이었다. [9] 군부대가 1970년도 부터 존재했던탓에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주거지역을 관통하거나 지하철 거여역에서 마천역 노선이 우회하여 지하철의 위치가 주택가에 위치하는 등 지금보기에 이해할수 없는것들은 군부대의 영향이라고 보면 된다.[10] 최근에는 집근처 자사고인 보인고도 많이 진학한다.[11] 야구명문학교로 거여동으로 이전하면서 야구부가 해체될 위기였지만 동문 및 학교의 노력으로 위례 하남지역에 야구장이 설치되어 야구부가 유지 될 예정이다. [여담]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1979년 12월 12일에 일어난 12.12 군사반란 당시 제3공수특전여단장이었던 최세창 준장이 지휘체계를 이탈하고 훗날 29만원의 남자가 되는 보안사령관의 명령으로 사령관인 정병주 특수전사령관을 체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