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제가

 

[image]
'''성명'''
박제가(朴齊家)
'''본관'''
밀양 박씨
'''출생'''
1750년 11월 5일 조선 한성부
'''사망'''
1805년 7월 6일 조선 한성부
'''국적'''
조선
'''자'''
재선(在先)
차수(次修)
수기(修其)
'''호'''
초정(楚亭)[1]
'''가족관계'''
아버지 박평
어머니 덕수 이씨
아들 장남 박장림
차남 박장름
삼남 박장암
사남 박효석
1. 개요
2. 생애
3. 여담
4. 중화에 대한 숭상

[clearfix]

1. 개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자는 차수, 재선. 호는 초정(楚亭), 위항도인. 한양(現 서울특별시) 출신이며 본관은 밀양.

2. 생애


1750년 왕실 승지 박평의 서자로 출생했으며 신분이 서자였던 탓에 승지의 아들이기는 하지만 가족으로 인정받지 못하였다. 그 와중에도 일찍이 서화(書畵)의 재주가 뛰어난 영향 탓에 신동으로 평가받았으며 19세 때 스승인 연암 박지원을 만나 그의 제자가 되었고 이덕무, 유득공 등 북학파 연구자들의 영향을 받아 본격적인 북학파 연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1761년 집안이 풍비박산 날뻔한 적이 있었다. 당시 국법에는 한양 도성 내에서 집을 사고 파는 것으로 위장한채 함부로 일반 백성들의 집을 빼앗는 행위를 금하고 있었다. 이를 '탈입 금령'이라고 한다. 그런데 영조가 법을 제대로 시행하고 있는지 점검하기 위해 불시에 위반자 목록을 보고하라고 했는데 이 과정에서 박제가의 어머니인 이씨가 걸려든 것. 대부분의 신하들은 이씨가 미망인이자 인 점을 감안해서 정상 참작하자고 했지만 영조는 일일이 사정을 봐줘서는 끝도 없다는 다른 신하의 주장을 인용해서 원칙대로 처벌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시 금령 위반자에 대한 처벌은 벽지 유배형이었다. 하지만 이씨는 여자라서 유배형에 처할 수 없었고 아들 박제가 또한 당시에는 미성년자였는지라 대신 집안 노비 중 1명을 덕원으로 유배를 보내라고 결정을 내렸다.
29세 때 청나라로 가서 청나라 왕조의 문물 및 유물을 접하게 되었고 청나라 학자들과 교류를 나누면서 이 때를 기록한 책인 '북학의(北學議)'를 집필했다.
1779년 규장각 검서관(檢書官)으로 임명되었으며 이 때부터 다산 정약용을 만나서 교류를 나누었고 청나라의 문물을 받아들일 것을 주청하기도 하였으며 41세 때 정조의 원자(훗날 순조) 탄생을 축하한 청나라의 호의에 보답하고자 연경에 건너갔다.
1801년 연경으로 건너갔다가 귀국하자마자 '흉서 사건(凶書事件)'의 주모자인 윤가기사돈 관계를 맺었다는 이유로 파직되어 함경도 종성으로 귀양을 갔고 1805년 귀양이 풀렸으나 사망하였다.

3. 여담


박제가와 함께 백탑에서 살던 이덕무, 유득공 등의 벗과 박지원, 홍대용 같은 스승들의 이야기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한 '책만 보는 바보'라는 책에서 보면 이국적인 용모를 지닌 듯 하다. 책의 묘사에 따르면 튀어나온 광대뼈조선인으로서는 보기 드물게 눈동자 색이 녹색이었다고 하며 그 탓에 놀림도 많이 받았다고 한다. 박제가에 대해 기록된 다른 책들의 모습으로 미루어 성격이 온순하기보다는 활달하고 거침없는 편이었던 듯 하다. 이 점에서 이덕무와는 기묘하게 성격이 정반대인 듯 하면서도 잘 어울려 다녔다는 점이 신기하다.
식신이었던 모양. 한번에 냉면 3그릇과 만두 100개를 먹어치웠다는 기록도 있다.[2] 이덕무가 이서구에게 보낸 글 중에는 박제가 자기만 단 것을 먹고 이덕무 자신에게는 주지도 않으며 다른 사람이 줬던 것까지 훔쳐 먹었으니 꾸짖어 달라고 쓴 글도 있다. 참고로 이덕무 본인도 단 것에는 사족을 못 썼다고 한다. 음식과 관련하여 정약용에게 개고기 레시피를 알려준 것으로도 유명하다.[3]

4. 중화에 대한 숭상


북학의 외편 존주론에서 박제가는 "우리나라(조선)는 명나라를 신하로서 섬긴지 2백여 년이었다. 임진년에 왜란이 발생하여 종묘사직이 파천을 하게 되었다. 그러자 명나라의 신종 황제(만력제)께서 천하의 병력을 동원하여 왜인들을 국경 밖으로 몰아냈다. 우리 동방의 백성이 털끝 하나 황제께서 나라를 다시 세워준 은혜를 입지 않은 자가 없다"며 재조지은과 대명사대를 거듭 강조한다.
그러면서 청나라의 지배층인 만주족은 힘으로 중국을 차지한 오랑캐에 불과하지만 중요한건 중국을 강탈한 오랑캐가 아니라 오랑캐가 중국과 중화 문명을 차지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중국의 자녀들은 오랑캐의 지배를 받으면서도 여전히 문물을 이어가고 있으나 이를 배우고 받들어 명을 위해 원수를 갚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오히려 북방 이민족의 기마 전술과 복식을 받아들였던 무령왕의 예를 들며 복수를 하기 위해서는 오랑캐의 것이라도 부끄러워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의지가 중요하다며 북벌을 위한 결연한 의지를 강조한다. 조선이 오랑캐가 차지한 중국을 배워야 하는 이유는 북벌과 명나라의 복수를 위해서지, 오늘날 북학의 안 읽고 떠드는 실용 때문이 아니었다.
당대 주류 주장은 중국 땅에 중화는 이미 죽어 변발호복의 오랑캐만 가득하며 진짜 중화는 동국에 있다 였으니 오랑캐의 지배를 받지만 속에는 아직 중국(중화)이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고 주장한 박제가의 주장이 조금 튀는건 맞기는 하다.
박제가가 언어, 의복생활 전반에 이르기까지 청나라를 따라하고자 주장한 것도 이것 때문이다. 청나라가 아니라 그 속의 중국(중화) 것을 따라가자고 한 것으로 조선 의복은 오랑캐 몽골과 비슷한데 청나라의 의복은 옛 중국 풍습에 가까우니 그걸로 바꾸고 조선 도자기는 투박하고 정갈하지 못한데 청나라 도자기는 중국의 기풍이 남아 정연하기 그지 없으니 바꾸자고 한 것이다. 조선의 말을 버리고 청나라의 언어를 쓰자고 한 것도 역시 중국의 언어이기 때문이다.

[1] 이외에도 정유(貞否),정유(貞蕤),위항도인(葦杭道人) 등 다른 호도 사용하였다.[2] 한번에 냉면 3그릇과 만두 100개를 먹었다기보다는 한번에 냉면 3그릇과 만두 100개를 먹어치울 것 같을 정도의 먹보였다고 봐야하는 셈.[3] 후일 정약용은 형인 정약전흑산도에 유배되어 있을 때 고기가 먹고 싶은데 어찌해야 하냐는 편지를 받았을 때 개고기를 먹으라며 박제가에게 배운 비법을 전수해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