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wiki style="margin: -10px -10px"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
[image]
238편성(4차분)
'''차량 정보'''
'''열차 형식'''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10량 1편성[A]
6량 1편성[B]
4량 1편성[C]
'''생산량'''
766량
'''운행 노선'''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도입시기'''
2005년 (1차)
2007~2008년 (2차)
2017~2018년 (3차)
2019~2020년 (4차)
2020~2022년 (5차)
'''제작사'''
현대로템(1~2, 4차)
다원시스(3, 5차)
'''소유기관'''

'''운영기관'''
'''차량기지'''
신정차량사업소[1]
군자차량사업소[2]
'''차량 제원'''
[ 펼치기 · 접기 ]
'''전장'''
19,500㎜
'''전폭'''
3,120㎜
'''전고'''
- ㎜
'''궤간'''
1,435㎜
'''급전방식'''
직류 1500V
'''운전보안장치'''
Siemens LZB700M ATP/ATO[42]
'''제어방식'''
현대로템제 IGBT 2레벨 VVVF 제어(IPM) (1~2, 4차분)[43]
다원시스 KEC IGBT 2레벨 VVVF 제어 (3, 5차)
'''동력장치'''
현대로템제 KTM-ILS-210CA 3상 교류 농형 유도전동기(1~2차)
'''제동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최고속도'''
설계: 110㎞/h(1~2, 4차),100㎞/h(3, 5차)
영업: 90㎞/h
'''}}}#15ad19,#52ea56 256}}}'''
2020년
2020년 9월 28일
2021년 1월 29일
진해선 신창원역
경부선 의왕역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1. 개요
2. 편성
2.1. 본선 (10량)
2.2. 신정지선 (6량)
2.3. 성수지선 (4량)
3. 분류
3.1. 1차분 (2005)
3.2. 2차분 (2007~2008)
3.3. 3차분 (2017~2018)
3.4. 4차분 (2019~2020)
3.5. 5차분 (2020~2022)
4. 기타
4.1. 특이사항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2호선에서 운행하는 VVVF 제어 전동차. 1980년부터 도입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IPM이 적용된 2레벨 인버터(미쓰비시 소자[3])와 유선형 차체를 적용하였으며 통유리 적용과 차내 방음, 실내 공기 정화기술이 강화되었다.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 인버터, 보조전원장치, 열차운전제어장치 등 주요 장치들은 현대로템에서 자체 개발한 한국산 제품을 사용하였다.[4] 1~2차분의 경우, 전력용 반도체 소자는 미쓰비시제를 채택하여 진입 및 발차 시 높은 음의 구동음이 특징.[5] 또한 2차분부터는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와 동일하게 자전거 선율 경적음을 가지고 있다.[6]
1차분은 서울지하철공사 시절, 2차분은 서울메트로 시절 도입되었다. 3차분은 206(3)편성만 서울메트로 시절에 도입되었고,[7] 이후 도입된 207편성부터는 사명을 서울교통공사로 변경하고 도입하고 있다.[8] 현재 객실 행선안내기 일부 PC를 윈도우 7로 업그레이드 했으며[9], 신정차량사업소 소속 차량들은 주간제어기 회로 개선공사를 완료했다. 또한 일부 차량을 시작으로 기존에는 광고로 도배되고 한줄짜리 자막 안내가 나왔던 LCD가 다원시스 차량이나 5678호선 차량과 비슷한 방식의 LCD로 개정될 예정이다. (추후 3호선 차량도 교체예정)[10] 추후, 1~2차분의 행선안내기도 3~4차분처럼 순환 표기로 변경될 예정이지만, 행선표시기 관리 업체와 소송을 진행중이라, 당분간은 교체되지 않을 것 같다.
ATO 기반의 1인 승무가 가능한 사양이지만 노조의 2인 승무 유지 요구로 기관실의 1인 승무 관련 조작 기능을 모두 막아놓고 2인 승무로 운행하고 있다. 그 외에도 1인 승무를 하기에는 이용객이 너무 많다는 문제도 있다.[11]
객차 1량당 정원은 160명이나, 구동력 제원 상으로는 450명까지 수용 가능하다고 하며, 실측된 공식 기록 상으론 580명까지 탑승한 사례가 있다.
현재 201~242, 245, 256~293편성이 도입되었고, 본선 201~242, 261~293편성, 성수지선 256~260편성이 운행 중이며 초퍼제어 전동차에서는 재적되었던 243~244, 294~295편성은 결번이다.[12]

2. 편성



2.1. 본선 (10량)


↑ '''내선순환'''
'''20##'''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1##'''
M1(추진제어장치(VVVF), IM)
'''22##'''
M2(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23##'''
T1(무동력객차)
'''24##'''
M2(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25##'''
T2(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6##'''
T1(무동력객차)
'''27##'''
M1(추진제어장치(VVVF), IM)
'''28##'''
M2(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29##'''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외선순환'''
  • 일부 편성은 앞과 뒤가 바뀌는 경우도 있다.

2.2. 신정지선 (6량)


↑ '''신도림'''
'''20##'''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1##'''
M2(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22##'''
M1(추진제어장치(VVVF), IM)
'''23##'''
T1(무동력객차)
'''24##'''
M2(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25##'''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까치산'''

2.3. 성수지선 (4량)


↑ '''성수'''
'''20##'''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1##'''
M2(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22##'''
M2(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23##'''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신설동'''

3. 분류



3.1. 1차분 (2005)



[image]
[image]
204편성 외부 모습[13]
내부 모습
  • 본선: 201편성~205편성 (10량 5개 편성)
  • 성수지선: 257편성 (4량 1개 편성)
  • 1980년산 저항제어 전동차를 대체하기 위해 2005년 도입되었다. 제작사는 주식회사 로템[14]이다.
  • 도입 당시에는 서울지하철공사 로고를 적용한 채 반입되었다.
  • 긴 형태의 배장기가 장착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전량 개조되었다.
  • 도입 당시 수동운전 기반인 ATS를 탑재하였으며 201편성이 2008년 12월에 최초로 ATO로 개조되어 약 1년여 동안 시운전을 했고 2010년부터 나머지 1차분 전동차들도 ATP/ATO 차상설비로 교체하여 현재 시점에서 자동운전이 가능하다.
  • 2009년 경 257편성의 소프트웨어를 교체한 적이 있었으나, 환원되었다. #
  • 영화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에서 잠시 등장했는데 기관사가 죽고 탈선하는 모습을 보여줬다.[15]
  • 현재 205편성 실내등이 기존 형광등에서 LED 직관등[16]으로 교체되었다.
  • 2020년 중반 차량 전면부 전조등이 LED로 교체되었다.
  • 2020년 말부터 2차분과 같이 스피커 개선작업에 들어간 것 같다.
  •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선두부 안티클라임(타오름 방지장치)을 설치하였다.
    • 공기식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다.
    • 승객용 시트는 무광택 스테인리스 시트를 적용하였다.
    • 객실 창문은 UV코팅 처리된 통유리를 채용하였다.
    • 객실에 전자 노선도와 LCD 모니터가 설비되었다.
    • 측면 도색은 전체적으로 검정색 타입이다.
    • TGIS가 아닌 TCMS가 적용되었다.
    • 전두부 왼쪽 상단에 기관사들이 볼 수 있도록 백미러가 달려있다.[17]
    • 통로문은 직접 여닫는 수동 방식이다.
    • 도입 당시에는 외부 차호 스티커가 부착되지 않은 채로 반입되었으나, 현재는 차량의 외부에 차호 스티커가 부착되었다.
    •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이름으로 도입된 마지막 차량이다.

3.2. 2차분 (2007~2008)



[image]
[image]
266편성 외부 모습
내부 모습
  • 본선: 215편성~231편성, 261편성~272편성 (10량 29개 편성)
  • 성수지선: 258편성~260편성 (4량 3개 편성)
  • 1982~1984년산 저항제어 전동차와 초퍼제어 전동차를 대체하기 위해 2007~2008년 도입되었다. 제작사는 현대로템이다.[18]
  • 1차분 전동차와 기본적 사양은 동일하고, 내장재에서는 기존 전동차에 비해 많이 개선되었다.
  • 1차분 전동차와 동일하게 도입 당시부터 ATS가 달려 있었으나 2009년 8월경부터 220편성을 시점으로 ATO로 교체하기 시작하였으며 2011년까지 28개편성 전체가 ATO로 교체 완료되었다.
  • 223~231, 271~272편성은 23xx호와 26xx호(4, 7호차)에 각각 기존 MELCO 초퍼와 GEC 초퍼의 남은 무동력 객차를 개조해 투입했다.[19]
  • 229편성은 전동차 신정차량기지 이탈 사고를 겪었었다.
  • 2020년 중반부터, 차량 전면부 전조등이 LED로 교체되고 있다.
  • 2020년 5월 쯤, 차량 내부에 공기청정기를 설치했다.[20]
  •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승객용 시트가 스테인리스 재질 시트에서 난연재 모켓 시트로 변경되었다.[21]
    • 차량간 통로문이 수동문에서 자동문으로 변경되었다. 통로문 폭도 100cm로 더 넓어젔다.
    • 출입문 구동 방식이 공기식에서 스크류 모터식으로 변경되었다. 최초로 적용된 것은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이다.
    • 시트 가운데에 스테인레스 좌석봉이 생겼다.
    • 키가 작은 사람을 배려하여 낮은 손잡이를 적용하였다. 색상은 내장재 시범 개조 차량은 금색, 그 외의 차량은 와인색, 일반 손잡이는 녹색이다.
    • 216편성과 218편성은 금색 손잡이가 장착된 차량에 해당된다. 또한, 216편성은 2호선 차량 중 유일하게 내부 디자인이 시범 교체된 차량에 해당된다.[22]
    • 스테인리스 가공 공법이 바뀌면서 1차분에 있던 측면 비드가 사라졌다.
    • 1차분과는 달리, 2차분부터는 측면에 편성 번호 스티커가 붙여져 도입되었다.
    • 차량 내부 스피커에 약간의 문제가 있다. 볼륨이나 전달력 자체는 큰 문제가 없는데, 트레블을 너무 높게 설정해 놓았는지 찢어지는 소리가 난다.[23] 이는 형제 전동차인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에서도 발생하는 문제이다.
      • 2020년 말부터 스피커 개선작업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269편성의 스피커 음질이 훨씬 좋아졌다.

3.3. 3차분 (2017~2018)



[image]
[image]
208편성 외부 모습
내부 모습
  • 본선: 206편성~213편성, 239편성~242편성, 285편성~292편성 (10량 20개 편성)
  • 1989~1991년산 초퍼제어 전동차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제작사는 다원시스이다.
  • 목업 전동차를 보면 대차가 링크암으로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점을 미루어 봐서 양산 차량에 링크암 대차가 적용되는 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지만, 막상 최초 반입분인 (신) 206편성은 링크암 대차가 아닌 DT50 대차를 달고 나왔다.
  •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6석으로 좌석이 1석 줄어든 대신 기존 전동차에 비해 좌석 간격은 넓어졌고, 선반이 없어졌다. 암스테르담 GVB의 M5 열차 인테리어를 베끼면서 크로스 시트 제거, LCD 스크린 위치 변경 등 국내 발주처의 요구사항에 따른 부분을 제외하면 거의 판박이 수준이다.[24]
    • 좌석을 잘 보면 City Hall, Sinchon, Wangsimni, Gangnam, Jamsil, Seongsu, Sindorim, Sadang이 새겨져 있다.[25][26]
    • 이전 차량들(1~2차 도입분)과는 달리 차체 재질이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었다.
    • 시트 재질은 특수 난연 처리된 플라스틱으로, 스테인리스는 난방 시 지나치게 뜨거워지는 문제가 있고 모켓을 씌우면 미세먼지나 털 등이 잘 달라붙어서 비위생적이라는 이유로 채택되었다.
    • 미세먼지를 걸러낼 수 있는 여과 장치가 설비되어 있다.
    • 비상 시 비상 계단과 문 쪽에 불빛이 들어오는 장치가 있는데, 역에 도착할 때 열리는 문 쪽 장치에 불빛이 들어온다.[27]
    • 열차 하부에 내장된 하중 감지 센서를 이용해 차량 내 모니터에서 혼잡도를 표시하고 있다. 자세한 원리
    • 역 안내 전광판은 출입문에는 LCD 안내기를, 칸과 연결되는 통로 위에는 LED 전광판을 설치하였다. #
    • 2019년 5월 28일 경부터 정면 및 측면 행선지 표시기가 내선순환과 외선순환의 구분 없이 순환으로만 표시되고 있다. # 1차분과 2차분은 변동 없이 3차분부터 변경되었다. 서울교통공사가 기존 내선순환과 외선순환의 명칭 이해가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피드백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 맞추어 개정된 것으로 보인다. 기사 내부 LCD도 동일하게 '순환'으로만 표출된다.
    • 서울메트로 차량처·거래업체 간의 전동차 교체사업 특혜 의혹이 제기되어 서울메트로가 압수수색 당했다. 그리고 그것이 사실로 드러났다. 기사
    • 현직의 증언에 의하면 현대로템 4차분에 적용된 0km/h까지 회생제동이 유지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고 하며 덕분에 예전보다 제동시 소음이 많이 줄어들었다.
【 도입 현황 】
'''본선 도입 현황'''
신정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분홍색 바탕, 군자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노란색 바탕이다.
편성
제작년도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자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206'''
2017년
2017년 4월 14일
2017년 9월 30일
경부선 김천역
경부선 의왕역
서울 지하철 1호선 지하서울역
'''207'''
2017년 8월 14일
2018년 2월 1일
'''208'''
2017년 10월 16일
2018년 2월 12일
'''209'''
2017년 11월 8일
2018년 2월 12일
'''210'''
2017년 11월 27일
2018년 2월 27일
'''211'''
2018년
2018년 2월 12일
2018년 6월 12일
'''212'''
2018년 3월 12일
2018년 7월 11일
'''213'''
2018년 4월 9일
2018년 7월 11일
'''239'''
2018년 4월 30일
2018년 8월 6일
'''240'''
2018년 5월 14일
2018년 8월 10일
'''241'''
2018년 6월 18일
2018년 9월 19일
'''242'''
2018년 6월 26일
2018년 9월 12일
'''285'''
2018년 7월 31일
2019년 1월 12일
'''286'''
2018년 8월 13일
2019년 1월 14일
'''287'''
2018년 9월 17일
2019년 2월 20일
'''288'''
2018년 10월 15일
2019년 2월 14일
'''289'''
2018년 10월 29일
2019년 3월 1일
'''290'''
2018년 11월 12일
2019년 2월 20일
'''291'''
2018년 11월 26일
2019년 3월 7일
'''}}}#15ad19,#52ea56 256}}}'''
2020년
2020년 9월 28일
2021년 1월 29일
진해선 신창원역
경부선 의왕역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 2017년 12월 경 206편성을 확인한 결과 출입문에 붙어 있는 차량 번호가 D2X06(예: D2006, D2106, D2206, ... D2906)의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객차 양 끝 통로문 상단에 부착된 차량 번호는 그대로 남아있다. 이는 현재 (구) 206편성과 (신) 206편성이 동시에 운행되며, 분실물 발생 시나 유사 시에 신고할 때 혼동을 덜기 위함으로 보인다.[28] 하지만 2018년 1월, 기존의 2000번대 번호 정렬로 환원되었음이 확인되었다.
  • 2018년 제작분인 211편성부터는 차량 내부 로고가 서울교통공사 로고로 적용되어 반입되었다. # 2017년 제작분까지는 서울메트로 로고 적용되었으나, 288~290편성은 특이하게도 서울메트로 로고가 적용되었다.
  • 연결기에 이상이 있다는 사실을 1년 넘게 인지하지 못했다고 한다.기사 이는 자칫하다 어떤 이유로 전동차가 퍼졌을 때 구원 차량이 와서 견인을 못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3.4. 4차분 (2019~2020)



[image]
[image]
238편성 외부 모습
내부 모습
  • 본선: 214편성, 232편성~238편성, 273편성~284편성, 293편성 (10량 21개 편성)
  • 성수지선: 256편성 (4량 1개 편성)
  •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CEM 때문에 전두부가 둥글게 튀어나와 있어서 철도 동호인들에게 커피포트, 밥통, 전기밥솥, 쿠쿠, 머그컵 등의 별명을 얻었다. 심지어 현직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들 사이에서도 밥통이라고 불린다고 한다. [29]
    • 한편 전두부에서 앞유리 주변을 검게 한 디자인은 베를린 지하철 신차와도 닮았다.
    • 3차 도입분과 마찬가지로, 통로문이 없고, 뚫려있는 구조 이다.
    • 차체 측면에 비드가 있다.
    • 손잡이가 수직 방향으로 되어 있는 기존과는 달리 시내버스처럼 수평 방향으로 되어있다.
    • 기술적으로 이전의 전동차들과는 다르게 속도가 0km/h가 될 때까지 회생제동이 유지된다.[30][31] #
    • 해당 차량도 시운전 초기에는 앞/측면 외부 행선표시기에 외선 내선을 구분하여 표기했으나, 현재는 3차분처럼 외선/내선 구분없이 순환으로만 표기한다.
    • 경적 소리가 꽤나 특이하다. #
    • 235편성부터 에어컨 슈트락에 편성번호가 적혀져 있다.
[image]
281편성
【 도입 현황 】
'''본선 도입 현황'''
편성
제작년도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자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214'''
2019년
2019년 3월 25일
2019년 10월 22일
진해선 신창원역
경부선 의왕역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232'''
2019년 4월 11일
2019년 12월 23일
'''233'''
2019년 5월 13일
2019년 12월 24일
'''234'''
2019년 6월 13일
2019년 12월 21일
'''235'''
2019년 8월 16일
2019년 12월 27일
'''236'''
2019년 10월 15일
2020년 2월 11일
'''237'''
2019년 11월 18일
2020년 2월 16일
'''238'''
2019년 12월 2일
2020년 4월 7일
'''273'''
2019년 12월 16일
2020년 4월 6일
'''274'''
2019년 12월 27일
2020년 4월 3일
'''275'''
2020년
2020년 2월 27일
2020년 5월 21일
'''276'''
2020년 3월 12일
2020년 5월 18일
'''277'''
2020년 3월 30일
2020년 6월 26일
'''278'''
2020년 4월 9일
2020년 7월 13일
'''279'''
2020년 4월 27일
2020년 7월 2일
'''280'''
2020년 5월 21일
2020년 8월 10일
'''281'''
2020년 6월 17일
2020년 10월 5일
'''282'''
2020년 7월 13일
2020년 10월 12일
'''283'''
2020년 8월 13일
2020년 12월 14일
'''284'''
2020년 9월 10일
'''293'''
2020년 10월 26일
2021년 2월 1일
'''성수지선 도입 현황'''
편성
제작년도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자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15ad19,#52ea56 256}}}'''
2020년
2020년 9월 28일
2021년 1월 29일
진해선 신창원역
경부선 의왕역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 실차 내부가 유출되었다. 초기 LCD 안내기 디자인의 경우 많은 철도 동호인들한테 엉성한 디자인과 활용도 문제로 엄청난 혹평이 쏟아졌지만[32], 정식 운행에 투입될 때 다원시스 도입분과 같은 형태로 업데이트되면서 일단락되었다.
  • 시운전이 포착되었는데, 구동음이 기존 1~2차분과 달리 5호선 하남 연장분 반입분과 동일하다.[33]
  • 278편성의 2978호 전두부 전조등 사이에 차량번호를 더 부착하였으며, 293편성도 반입 당시부터 차량번호를 기존 차량과는 다르게 2978호처럼 부착하였으며, 이후 다른 차량들도 변경 작업을 진행하였다.
  • 3차분의 D 표기가 다원시스의 D로 알고 해당 차량을 현대로템의 R을 붙여서 얘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D표기는 다원시스가 아닌 DC VVVF를 뜻하는 것으로 해당 차량도 D를 붙여야 하는 것이 맞다.

3.5. 5차분 (2020~2022)


  • 본선: 223~231, 271, 272편성의 23xx호와 26xx호(4, 7호차)의 MELCO 초퍼와 GEC 초퍼의 무동력 객차 대체.
  • 신정지선: 245편성~248편성 (6량 4개 편성)
  • 현재 2~3호선 모두 다원시스로 낙찰되었다. 이미 다원시스가 수주한 2호선 전동차와 동일한 사양으로 제작된다고 한다. # 디자인도 3차분과 동일하다.
2020년 상반기에 반입 예정이었으나, 제작사의 사정으로 반입이 지연이 되고있는 상태이다. 현재 상황이라면 2022년까지 모두 반입될 예정이다.[34]
초도 도입분인 245편성이 공장에서 발견되었다.
11월 2일에 245편성이 오송으로 시운전을 위해 갑종회송 되었다.
【 도입 현황 】
구간
편성번호
제작년도
반입일자
운행개시일
출발역
경유역
도착역
'''본선'''
'''223'''
2022년
도입 예정
도입 예정



<colcolor=#15ad19>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71'''
'''272'''
'''신정지선'''
'''245'''
2020년
2020년 12월 1일
시운전 중
충북선 오송역
경부선 의왕역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246'''
2021년~2022년
도입 예정
도입 예정



'''247'''
'''248'''


4. 기타


  • 2005년 도입 초기에 TCMS 시스템 신호 시스템 부조화로 인해 운행 중 갑작스러운 비상제동 체결 사고가 자주 일어났다. 현재는 해당 문제가 모두 해결되었다.
  • 2009년부터 229~231편성은 자전거 출퇴근 족들의 이동 편의를 위해 전동차 Tc 칸 맨 앞에 자전거 전용칸 개조가 이루어졌다.[35]
  • 1~2차분 차량의 경우 스크린도어 설치로 인해 필요가 줄어든 측면 LED 행선 안내기를 단계적으로 막아서 전기료를 절감하고 있다. 신정차량사업소 소속 차량들이 먼저 시행되었고 이어 군자차량사업소 소속 차량들도 이 작업을 완료하였다.
  • 3~4차분 차량의 경우 측면 행선 안내기가 선두 칸에만 장착된 채로 나왔다.
  • 3차분 초기 디자인 #1~#2, 4차분 초기 디자인 #
  • 2020년 4월 16일[36] 안내방송 개정에 따라 임산부 배려석 특별 안내방송이 기존의 전동차 이용고지 안내방송 중 일부와 함께 레드벨벳슬기조이가 녹음한 안내방송으로 교체되었다.[37][38]

4.1. 특이사항


  • 201편성은 2014년 11월 1일부터 2015년 5월 31일까지 라바 랩핑 열차로 운행되었다.
  • 224편성은 2008년 4월 4일 무한도전 지못미 특집에 박명수가 조커로 분장한 모습이 촬영되었다.[39]
  • 271편성은 2010년 무한도전 텔레파시 특집에 정준하가 합정역에서 탑승하는 모습이 촬영되었다.[40]
  • 227편성은 마스크를 쓰라고 요구한 시민을 다른 시민이 슬리퍼로 폭행한 사건이 일어난 곳이다.[41]

[A] 본선용[B] 신정지선용[C] 성수지선용[1] 201~213, 215~232, 235, 238~242, 275, 278, 281, 283, 293편성 (10량) / 245~248편성 (6량)[2] 214, 233~234, 236~237, 261~274, 276~277, 279~280, 282, 284~292편성 (10량) / 256~260편성 (4량)[3] 1~2차분 한정[4] 1~2, 4차분 한정이며, 3차분의 경우 다원시스에서 자체개발을 한 전장품들을 적용하였으며, 견인전동기는 한성중공업이라는 중소업체에서 자체개발한 전동기를 적용하였다.[5]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전동차도 동일한 구동음이다.[6] 1차분은 미적용. 그냥 '''"빵"''' 하는 경적음만 있다. 그리고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TC개조 차량(232~239, 273~277편성)에도 자전거 선율 경적음이 있었으나 폐차되었다.[7] 206편성도 17년 6월에 2006호에만 임시로 로고를 스티커로 덧댄 식으로 붙였다가 영업개시 전 모든 로고를 교체하였다.[8] 207편성은 제작 당시에 메트로 로고를 부착했었으나, 반입 전에 변경되었다.[9] 신정+군자 합쳐서 10편성[10] 다만 기존 차량은 두 화면이 동시에 송출되는 기술적 문제 때문에 LCD 자체를 바꿔버릴 수도 있다. 어째 일본의 트레인 비전이 연상되는 디자인이다. 다만 코레일 312X04편성에 LCD 표출 방식이 개정된 것을 보면, LCD 소프트웨어 교체로도 가능할 지도 모른다. #[11] 1~4호선은 이용객이 압도적으로 많고 열차도 10량이라서 1인 승무로 하기엔 무리가있다.[12] 서울교통공사의 답변에 따르면 4개 편성(243~244, 294~295편성) 감축은 ATO 신호방식 도입으로 인해 전동차 시격 조정 능력이 향상되었고 이로 인한 효율적인 시격 조정을 위해서라고 한다. 관련 민원 답변[13] 배장기가 길었던 과거이다.[14]현대로템[15] 진짜 1차분 전동차가 아닌 이전에 해외에서 사용한 전동차를 재도색하고, 노약자석 스티커 부착 등 개조해 사용하였다.[16] 겉으로는 형광등 타입이지만 내부는 수은물질 대신 LED 트렌지스터가 장착된 구조다.[17] 운전대의 높이가 높아서 일부 시야를 가린다는 피드백을 받은 후, 거울을 달음으로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18] 2007년 8월, 215편성부터 도입되기 시작하였으나, 그 해 11월 15일, 회사명이 '주식회사 로템'에서 '현대로템 주식회사'로 변경되어서. 2007년 11월 15일 이전 반입된 차량엔 '주식회사 로템' 패찰이 부착되었고, 이후 반입된 차량엔 '현대로템 주식회사' 패찰이 부착되었다. 2011년, 와이파이 공유기 설치로 전 편성 패찰이 전부 탈착되었다.[19] 내부 설비를 VVVF 전동차에 맞춰 개조했지만 대차는 교체하지 않았으며, 출입문 사이의 유리가 통유리가 아닌 2분할 유리를 사용한다는 점을 통해 구분할 수 있다. 223~227편성은 1992년 4월산, 228~230편성은 1991년 6월산, 231편성은 1991년 7월산, 271~272편성은 1991년 12월산 무동력차를 개조하였다. 이 무동력차는 2022년 신형차량 5차분으로 교체될 예정이다.[20] 223~231/271~272편성 중 쵸퍼 부수칸 및 268~270편성 제외[21] 장기적으로 시트가 7인석에서 6인석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변경될 예정이다. 언제 변경될지는 미지수. 참고로 223~231, 271, 272편성의 4, 7호칸(23xx, 26xx호)은 추후 다원시스 객차로 교체시 6인석 플라스틱 시트로 변경된다.[22] 차내 객차 번호 야광 패찰이 다른 차량에 비해 조금 크게 나왔다. 3호선 346편성4호선 465편성도 이에 해당된다.[23] 반면 구형 차량인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는 또 베이스(Bass)를 높게 설정해 놓았는지 낮은 소리가 난다.[24] 사실상 다원시스 열차가 전작에 비해 가지는 디자인적 차별 요소는 모두 이 열차에서 나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3번째 문단 참고[25] GVB M5와 다른 점은 글씨체 정도일 수준이다.[26] 이 중 신촌역을 제외하면 모두 환승역이다.[27] 문이 닫히기 직전에는 노란불이 들어오며 역 도착 직전에는 열리는 방향에 녹색불이 깜빡이기 시작하며 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녹색불이 깜빡임 없이 켜져만 있다. 주행 중일 때에는 불이 들어오지 않는다. 비상개폐장치 작동 시나 기지 입고 차량 종착역 도착시에는 빨간불이 들어온다.[28] 이 D는 Dawonsys가 아니라 DC VVVF를 뜻한다고 한다.[29] 취소선이 쳐저있지만 절대 거짓말이 아니다! 실제로 자주 엮이기까지 한다.[30] 이를 영속도 회생제동, 혹은 순전기 제동이라 칭한다[31] 국내에서는 대구도시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누리로 전동차에 이은 3번째이다.[32] 칸 별 혼잡도를 표출하는 형태가 매우 끔찍한 수준이었다.[33] 여담으로 성수지선의 257편성도 소프트웨어교체로 이와 같은 구동음을 잠시 사용한 적이 있다.(현재는 환원) [34]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반입이 늦어질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35] 다만, 자전거를 주인이 직접 들고 다녀야 한다.[36] 단, 2호선 차량들은 시범 선 적용되었기 때문에 2호선 차량들의 실질적인 안내방송 교체일은 4월 2일이다.[37] 서울교통공사SM엔터테인먼트의 합작으로 지하철 공익 안내방송을 도입 및 교체 작업을 시작 도입했다. 참고로 임산부 배려송은 2020년 1월 2호선 전 차량에서 조기 삭제되었다.[38] 단, 2020년 8월부터 일부 구간에서는 임시적으로 마스크 착용에 대한 안내방송(강희선 성우)으로 교체되었다.[39] 2524호에서 촬영[40] 2171~2271호에서 촬영[41] 유튜브 영상에서 2227호임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