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명여자고등학교

 




'''숙명여자고등학교'''
'''淑明女子高等學校'''
'''Sookmyung Girls' High School'''
[image]

<colbgcolor=#8a0829> '''교훈'''
밝고 다습고 씩씩하게 나라를 사랑하자.
민족을 사랑하자.
자기와 가정과 학교를 사랑하자.
'''유형'''
일반계 고등학교
'''성별'''
여자 고등학교
'''형태'''
사립
'''학교법인'''
명신여학원
'''개교'''
1906년 5월 22일
'''교장'''
제14대 이혜숙
'''교감'''
정재완
'''학생 수'''
1,239명(2019년 5월 기준)
'''교직원 수'''
109명(2019년 5월 기준)
'''교목'''
목련
'''교화'''
영란화
'''교색'''
자주색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2807(도곡동)
'''학교법인'''
명신여학원
'''관할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
'''홈페이지'''

1. 개요
2. 역사
2.1. 연혁
3. 교훈 및 상징
4. 학교 특징
5. 학교 시설
5.1. 식당
5.2. 운동장
5.3. 강당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7. 사건·사고
8. 출신 인물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9.2. 지하철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사립 여자고등학교이다. 숙명여자중학교와 함께 있다.
순헌황귀비 엄씨가 설립에 관여한 명신여학교가 전신이다.[1] 명신여학교는 이후 숙명여학교로 개명했으며 숙명여자중학교, 숙명여자고등학교, 숙명여자대학교로 나뉘어졌다. 2013년 숙명학원에서 숙명여중과 숙명여고가 분리되어, 명신여학원이라는 학교법인을 세웠다.
한편 순헌황귀비와 그녀의 친정 엄씨 가문은 교육사업에 관심을 가져, 숙명여학교 외에 양정의숙과 진명여학교도 세웠다. 진명여학교는 진명여자고등학교[2]의 전신이다.

2. 역사



2.1. 연혁


  • 1906년 5월 22일 : 구 경선궁으로부터 용동궁지(구 교사위치)와 경비보조로 사립 명신여학교를 설립하고 초대 교장에 이정숙 여사 취임
  • 1909년 5월 : 교명을 사립 숙명고등여학교로 개칭
  • 1912년 1월 : 구왕실 경선궁 및 구 영친왕궁으로부터 받은 재산으로 재단법인 숙명학원 설립
  • 1951년 8월 : 신교육법에 의해 숙명여자중학교(수업연한 6개년)를 숙명여자중학교와 숙명여자고등학교로 개편하고 수업연한을 각 3개년으로 변경
  • 1961년 10월 : 제6대 이예행 교장 취임
  • 1974년 3월 : 고등학교 평준화 입시 개혁에 따라 1학년 12학급 배정받음
  • 1976년 5월 : 숙명 70년사, 숙녀회 회원명부 발간
  • 1981년 3월 : 종로구 수송동 80번지에서 강남구 도곡동 91번지 현 부지로 교사 이전
  • 1984년 10월 : 이정숙기념관(대강당) 준공 개관
  • 1991년 12월 : 안인자 기념관 준공
  • 1994년 12월 : 동창관 준공
  • 1999년 9월 : 학생식당 준공
  • 2002년 9월 : 교육정보관 준공
  • 2013년 3월 : 학교법인 명신여학원 설립
  • 2013년 3월 : 학교법인 명신여학원 이정자 초대 이사장 취임
  • 2015년 3월 : 숙명여자고등학교 1학년 15학급, 2학년 14학급, 3학년 15학급, 총 44학급
  • 2015년 3월 : 제13대 허영숙[3] 교장 취임
  • 2018년 9월 : 학교법인 명신여학원 안명경 이사장 취임, 제 14대 이혜숙 교장 취임

3. 교훈 및 상징


교가

4. 학교 특징


  • 2016년 서울대 진학생 수 비교 결과 평준화 지역 일반고 중 2위[4]를 기록, 승승장구 하고 있다. 관련 자료 링크
  • 대치동 일대가 으레 그렇듯 내신 따기가 상당히 하드한 학교. 도곡동, 대치동에 위치한 다른 주변 학교들처럼 예체능 등의 지원은 거의 없고 정말 공부에만 집중하는 분위기. 수시를 노리는 학생은 이 학교를 많이 피하는 편이다.
  • 학교에 중, 고등 농구부 그룹이 있다. 숙명여중 농구부원들은 바로 숙명여고로 올라올 수 있는 듯. 간혹 가다 자매학교 일본 학교의 농구부가 견학오기도 한다.
  • 특이하게도 1학년 과목중 무용이 있다. 다만 1학년때만 존재.

5. 학교 시설


  • 위에서 건물을 바라보면 마치 E 형태로 된 건물이다. 앞부분과 중간부분은 고등부이고, 맨 끝에는 중등부이다.
  • 꽤 오래되어 보이는 도서관 건물이 따로 있는데, 리모델링을 해서 가보면 엄청나게 좋다. 총 2층이고, (3층은 학교 역사 박물관 같은 곳이다.) 아마 갓 입학하는 책덕후들에게는 좋을지도. 중고등학생 공통 이용이다. 다만 점심시간이 서로 달라서 그렇게 많이 마주치지 않는 편. 여름에는 에어컨이 잘 나와서 학생들이 그 자리로 몰리는 현상도 발생한다.

5.1. 식당


  • 식당은 1층과 2층이 있는데, 중학생은 아랫층에 있는 3학년 학생들만 이용한다. 2층은 중 1,2학년들만 먹는다. 고등학생은 고3부터 2층에서 먼저 먹는다.
  • 당연히,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점심시간도 다르다. 고등부가 먼저 먹고, 그다음에 중학생이 서로 다른 시간에 먹기도 한다. 고3과 고 1,2의 점심시간도 물론 다르다. 고3이 당연히 먼저 먹는다.

5.2. 운동장


8학군 중에서 운동장이 크기로 유명하다. 운동장 오른쪽 옆에는 테니스장과 철장 넘으면 후문이 있다. 심지어 도곡역도 바로 옆인데다, 집에서 조금 거리가 있는 애들은 등교하는데 좋다고. 심지어 근처에 버스 정류장이 있다. 학교 바로 왼쪽에 래미안 아파트가 있는데, 거기에서 사는 애들은 여유롭게 등교하는 포스를 풍긴다.

5.3. 강당


학교 강당이 꽤 크다. 경복고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꽤 큰 편. 그래서 거기 근처 학원들이 학교에 강당 좀 빌려달라면서 돈을 내고 주말마다 학원 입시 설명회나 그런 것들을 많이 한다.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시기"로 추가해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축제 : 8학군 중에서도 다른 학교 학생들에게 개방을 한 축제가 100년에 한 번 있는 학교이기도 하다. 즉, 2006년도에 행사했다. 나머지는 1년에 1번 학교를 개방하지 않고 숙명여고 학생들 끼리만 축제를 한다. 축제도 아니고 정말로 재미없다고 소문이 나있다. 하지만 소문은 소문일 뿐이다… 재학생들은 정말 잘 놀고 있다. 애초에 동아리가 많아서 30개가 넘는 교실을 사용해서 하루만에 전부 돌 수가 없는 규모이다. 2018년부터는 기말고사 이후 존재하던 연극제를 축제와 합치고, 축제를 이틀로 늘렸다.
  • 고등학교 1,2학년 즈음에 "국제이해반"이라고 일본 자매학교에 교류(연수)할 수 있는 행사를 한다. 교류하는 학교는 오사카에 있는 이즈미가오카 고등학교[5]. 가기 전에 선생님들이 정해주는 펜팔 친구랑 편지로 시작 해, 겨울 방학 2월 때에 일본으로 그 학교로 단체로 간다. 참여가능 여부 자격은 영어 점수 중간, 기말고사 포함해서 80점대 이상이거나 유지, 혹은 아예 일본어 전형으로 일본어로 서류를 작성해 담당자 선생님(일본어 선생님)께 제출하는 것.

7. 사건·사고



7.1. 쌍둥이 시험지 유출 사건



앞으로 긴 시간동안 숙명여고가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만든 사건이다.

8. 출신 인물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정류소 명칭
노선 번호
중대부고(23-220/23-233)
242, 472, 2415, 3426, 4432, 6411, G3202
숙명여고(23-329)
군인공제회관 (23-227)
2413, 6411, 402, 4319, N37, 6009, 11-3,917,G3202
도곡역(23-219/23-228)
2413,402, 4319, N37, 강남10, 6009, 11-3, 917

9.2. 지하철



[1] 초대 교장 이정숙이 실제 설립자라는 말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순헌황귀비가 설립한 걸로 알려져 있다.[2] 진명여자중학교도 있었으나 1987년 폐교되었다.[3] 교장으로 취임하기 전 한국사 과목을 가르치셨다.[4] 1위는 가까운 곳에 위치한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가 달성하였다.[5] 이 학교 농구부들이 자주 오간다. 이쪽 학교도 마찬가지.[6] 아예 학교 도서관에 WS라는 박완서 작가 섹션이 따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