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N37
1. 노선 정보
2. 개요
제일여객, 한국brt에서 운행하는 심야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3.37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20년 1월 31일 첫차부터 성남 심야버스 반디1번과 환승연계 편의를 위해 송파차고지 오기 전에 암묵적으로 하차시켰던 복정역 정류장이 정식 정류장으로 인가받아 추가되었고, 장지역 방향시 복정역 환승센터를 정차 경유하도록 변경되어 분당에서 오는 반디1번과 환승이 편리해진다. 다만 이 환승연계는 평일에만 가능. [5]
- 2021년 2월 3일 첫차부터 송파공영차고지앞 도로개량공사로 인해 복정역 환승센터로 변경된다.
4. 특징
- 일반버스 1대, 좌석버스 1대, 저상버스 6대를 투입하여 운행한다. 제일여객은 좌석버스 1대, 저상버스 3대, 한국brt는 일반버스 1대, 저상버스 3대이다.
- 노선은 370번, 741번과 유사하나, 양재역 이남 구간이 741번과 다르다. 양재역에서 가락시장역까지 3호선 라인을 타고[6] 가락시장역에서 8호선 라인으로 송파공영차고지까지 내려간다. 구파발역 구간을 제외한 양재역 이북 구간은 741번과 완전히 일치하며, 양재역 이남 구간은 402번에 333번을 합친 형태다. 양재역에서 한남동(순천향대학교병원)까지 741번과 402번이 동일하기 때문에 402번과도 많이 겹친다.
- 심야에 종로와 강남을 이어 주는 노선으로서 심야버스 노선 가운데서도 가장 핵심 노선이라 할 만하다. 심야버스가 정식으로 운행되기 전 시범운행 단계에서 N26번과 함께 최초로 운행된 두 개의 노선 가운데 하나이며, 이후 7개 노선이 더 신설된 이후에도 심야버스 중에서 종로와 강남을 둘 다 지나는 노선은 이 노선뿐이므로 심야에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특히 강남대로에서 홍제역까지 헬게이트가 상당히 죽여 준다(...) 강남역에서 꽉꽉 들어차서 한남대교에 들어설 때에는 버스에 서 있을 자리마저 없는 경우도 많다. 종로에서 1차적으로 빠진 후, 연신내역에서 거의 모든 사람이 빠지는 편.
- 다만 이 노선이 주간선버스인 741번 위주라 양재역부터 가락시장역까지는 부촌을 지나는 바람에 거의 공기수송 수준. 이 구간에서 402번이 새벽 2시 30분까지 운행하기 때문에, 배차간격도 훨씬 짧고 요금도 싼 402번이 다 접수한 상태다. 또 같은 구간을 운행하는 3호선도 평일에는 새벽 1시가 넘어서 끊기기 때문에 막차가 종료됐을 때 이용하는 대체 수단에 불과할 정도로 심야버스에 호응이 크지 않다. 주로 개포동, 대치동에서 강남역으로 가는 대리운전 기사가 대부분이다. 평균 재차 인원이 20~30명, 최대 50명 이내일 정도인데, 이는 위에 언급된 9711B번 폐선분 유니버스의 투입이 가능하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
- 심야버스 노선들 중 유일하게 남산1호터널을 경유하는 노선이기도 하다.
- 유니버스 차량은 위 사진에서 보듯 전면에 전광판이 아닌 일반적인 BLU + 스티커 형태로 되어 있다. 규정상으로는 전광판이 있어야 하나, 차량 구조상 전면, 측면 전광판 모두 설치가 곤란하여 예외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8] 덤으로 이 차량이 현재 서울 심야버스로 다니는 차량 중 드물게 심야고정차량이라 볼 수 있다.
- SRT 기점인 수서역과 연계된다. 진관공영차고지 방면은 1번 출구, 송파공영차고지 방면은 4번 출구에서 타면 된다.
- 해당 노선은 송파공영차고지 방면만 구파발역 환승센터에 진입하고 진관공영차고지 방면은 구파발역 2번 출구에 정차한다. 참고로 통일로를 기본 선형으로 하는 구파발역 환승센터 경유 노선 중 상행 방면으로 구파발역 2번 출구에 정차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 또한 2019년 7월 1일부터 성남시의 심야버스인 성남 버스 반디1과 복정역에서 연계되어, 성남·분당 내부로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 571번과 함께 진관공영차고지에서 회차하는 둘 뿐인 노선 중 하나다.
4.1. N37번 출발시간표
4.2. 일평균 승차인원
- 출처: 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3년 자료는 개통일인 4월 19일부터 12월 31일까지 25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4.3. 노선
5. 연계 철도역
연계하는 철도역은 많지만, 심야시간에 운행하기 때문에 지하철 환승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굵은 글씨'''는 막차가 끊기는 역이다.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종각역
-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 [image] 수도권 전철 3호선: 구파발역, 연신내역, 불광역, 녹번역, 홍제역, 무악재역, 독립문역, 신사역, 양재역, 매봉역, 도곡역, 대치역, 학여울역[9] , 일원역, 수서역, 가락시장역
- [image] 수도권 전철 5호선: 서대문역, 광화문역
- [image] 서울 지하철 6호선: 연신내역, 불광역
- [image] 서울 지하철 7호선: 논현역
- [image] 서울 지하철 8호선: 가락시장역, 문정역, 장지역, 복정역
- [image]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도곡역, 대모산입구역, 수서역, 복정역
- [image] 신분당선: 강남역, 양재역
- 일반 철도역: 수서역(SRT)
[1] 한국brt(N37송파) 출발점[2] 제일여객(N37진관) 출발점[3] 회사별로 저상버스 각 3대 + 좌석/일반버스 각 1대로 운행 및 제일여객은 7211번 차량을 다중등록으로 사용한다.[4] 9711B번이 폐선되고 닷새가 지나서 차량이 넘어왔는데 그 이유는 단말기 펌웨어 업데이트와 차량 도색개조 때문이라고 한다.관련 공문 입석 공간이 도시형버스보다 좁은 좌석버스라서 타고 내리는 데에 불편함이 있지 않겠냐는 우려도 있었지만, 공문에 나와 있듯이 승차 인원이 적은 편이기에 투입되었다. 나머지 신성교통 소속 좌석버스는 7733번으로 넘어갔다.[5] 성남 심야버스는 평일에만 운행한다.[6] 차이점은 학여울역에서 대청역 대신 대모산입구역을 경유한다.[7] 다른 하나는 N61번으로, 광명시를 살짝 지나간다.[8] 그러나 경기도나 부산광역시는 유니버스도 전면 LED를 달고 다닌다.[9] 대치동미도아파트(송파공영차고지 방면)/은마아파트(진관공영차고지 방면)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