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커
1. 개요
융커(Junker)는 본래의 뜻은 '도련님'[1] 으로 프로이센의 지배 계급을 형성한 보수적인 토지 귀족세력을 말한다.
2. 내용
오늘날에는 '융커'라는 단어 자체가 독일, 그 중에서도 프로이센의 귀족을 지칭하는 고유명사로 굳어졌지만 융커라는 단어 자체는 민족국가의 개념이 등장하기 이전부터 게르만족 사회에서 꽤나 광범위하게 쓰였고, 이에 따라 인근의 네덜란드나 스칸디나비아에도 융커라는 단어가 존재한다.[2]
융커의 영지는 엘베강 동쪽의 중동부 독일[3] 에 분포하고 있었다. 독일 동부지방은 중세기 이래 게르만족의 동방식민운동에 의해 개발되었는데, 농민의 부역생산을 통한 대농장을 소유한 지주 토지귀족을 융커라 불렀다. 독일 동부지방의 이런 대농장 위주의 구조는 소규모 자영농 위주인 독일 남서부 지방(바덴, 바이에른, 뷔르템베르크 등)과 대조적인 특성을 이루었다. 이런 일이 발생한 이유는 독일 남서부지방은 로마법의 영향을 받아 토지를 비롯한 재산이 자녀들에게 균등하게 분배되는 균등분할상속법이 통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세월이 지나면 농토가 분할되고 인구가 증가했던 데 비해, 로마법의 영향을 받지 않은 독일 중동부 지역에서는 재산이 맏아들에게만 상속되는 장자상속법이라 장자 이외의 자식들은 타지로 이주하였기 때문에, 세월이 지나도 넓은 농토를 유지할 수 있었다. 현재 독일은 전국적으로 균등분할상속법이 원칙이나, 국지적으로는 장자상속을 허용한다.
융커 계층은 프로이센의 집권계층으로 농업 경영을 함과 동시에 프로이센의 행정 기구의 중요한 자리나 상급 장교의 지위를 독점하였고 큰 세력을 휘둘러서 특권을 유지했다. 문화적으로도 그리 세련되지는 못한 계층이었지만 군사적인 면에서는 상당히 유능했고 자신들의 잇속을 잘 챙겨주는 호엔촐레른 왕조나 국가에 대한 충성심은 강했다. 그 세력은 1871년 독일 제국 수립 후 정점에 이른다.[4] 아예 '제국은 프로이센에 의해 돌아가며, 프로이센은 융커에 의해 돌아간다.'라는 말이 공공연히 표출될 정도.
하지만 절정기란 얘기는 내려갈 일 밖에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고 융커들의 몰락이 시작된 것도 독일 제국 시기의 일이다. 자신들의 토지와 농업에 집착하는 바람에 융커들의 본거지였던 독일 동부지역은 산업화를 통해 눈부시게 성장한 다른 지역에 비해 낙후되었고, 이 곳의 주민들 역시 낙후된 경제사정과 꼴통+꼰대 융커의 착취를 피해 공업지대로 이주해버렸던 것.[5] 여기에 20세기 초반이 되면 미국의 광대한 영토에서 나온 싼 농산품이 독일 본토 시장을 강타하면서 망했어요 테크를 타게 된다. 융커들도 이에 대응해 자신들의 농장을 기계화하려고 노력하는 한편 각종 관세를 매겨서 미국산 농산품의 수입을 억제해보려고 노력했지만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했다. 그들은 결국 권력을 이용해 부유한 서부를 착취했다.
게다가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독일 제국의 상층부를 이루고 있던 융커들은 자신들의 근거지 동프로이센 지방을 방어하기 위해서 슐리펜 계획을 무시하고 막대한 병력을 동부전선으로 빼돌렸으며, 이것이 전쟁장기화와 궁극적으론 독일 제국 붕괴의 한 원인이 되었다.
바이마르 공화국과 히틀러 체제를 거치면서 융커의 몰락은 더더욱 가속화됐지만, 그래도 융커가 지니고 있던 정치적, 군사적 권력이나 융커라는 계급 자체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까지도 어느 정도는 유지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후 소련과 폴란드가 오데르-나이세 선 동쪽을 분할점령함에 따라 그 지역의 융커들은 땅을 잃고 피난민 신세가 되었고, 오데르-나이세 선 서쪽의 융커들도 동독의 토지개혁(Bodenreform)에 의해서 소멸되었다.
3. 출신 인물
조금 과장을 보태자면 이름에 '폰'이 들어가는 근대 독일 역사의 거물들, 특히나 군인들은 다수가 융커출신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 한스 요아힘 폰 치텐
-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자이틀리츠
-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
- 게프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
- 오토 폰 비스마르크
- 헬무트 폰 몰트케
-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 알프레트 폰 슐리펜
- 헬무트 요하네스 루트비히 폰 몰트케
- 파울 폰 힌덴부르크
-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
- 한스 폰 젝트
- 쿠르트 폰 슐라이허
- 프란츠 폰 파펜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발두어 폰 시라흐
-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 페도어 폰 보크
- 귄터 폰 클루게
- 빌헬름 리터 폰 레프
-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 에리히 폰 만슈타인
- 게오르크 폰 퀴힐러
- 발터 폰 브라우히치
- 발터 폰 라이헤나우
-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
- 막시밀리안 폰 바익스
- 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
- 핫소 폰 만토이펠
- 베르너 폰 블롬베르크
- 에리히 폰 뎀 바흐-첼레프스키
-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
- 알렉산더 폰 팔켄하우젠
- 헤닝 폰 트레슈코프
- 빌헬름 리스트
- 에르빈 폰 비츨레벤
- 베르너 폰 브라운
[1] 중세 독일어로는 Juncherre였다. 현대 독일어로는 Jung(젊은) Herr(주인님), 즉 도련님. 영어로 표현하면 Young Sir.[2] 네덜란드어로는 Jonkheer라고 한다. 이 단어에서 나온 유명한 지명이 현대 뉴욕의 용커스(Yonkers) 일대이다. 그리고 현 네덜란드 국왕 빌럼알렉산더르도 아버지 클라우스 폰 암스베르크(Claus von Amsberg)가 무작위 하급귀족이라 융커 작위가 최말단으로 붙는다.[3] 브란덴부르크, 포메른, 슐레지엔, 포젠, 동프로이센, 서프로이센 등지[4] 물론 이런 배타적인 기득권은 기타 독일 지방, 특히 남서부의 바이에른과 라인란트 일대의 부르주아들에게 거센 반발을 사면서 경멸어린 시선을 받는다. 융커에 대한 경멸심을 가장 잘 보여준 인물이 바로 라인란트 출신의 초대 서독의 수상 콘라트 아데나워. 심지어 오늘날에도 남부 독일에서 융커라는 단어는 일종의 멸칭으로 쓰이고 있을 정도이다.[5] 20세기 초 독일에서 미국으로 이민을 가장 많이 갔던 지역도 포젠, 서프로이센, 동프로이센이었다. 1871년 당시 독일의 농어촌인구는 64%였지만 1907년이 되면 33%로 줄어들면서 융커들이 타격을 입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