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무도관
무도관은 무술 경기장으로 일본 각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도쿄도 치요다구에 있는 일본무도관을 지칭하며 본 문서에서는 이 일본무도관에 대해서 기술한다.
[image]
[image]
사진의 왼쪽 아래 팔각형 지붕의 건축물이 일본무도관이다. 윗부분 지역은 천황 일가가 거주하는 고쿄 구역이다. 사진에서 무도관의 오른쪽에 있는 것이 야스쿠니 신사.
1. 소개
일본무도관(日本武道館). 일본어로 닛폰부도칸(にっぽんぶどうかん Nippon Budokan)이라고 읽는다.
도쿄 치요다구에 있는 대형 유도 경기장이다. 최대 14,000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다. 공연장으로 쓰일 경우에는 무대장치 등 여러 문제로 1만 명 남짓한 정도 관객석(2층 이상 관객석과 1층 스탠딩석 정도)만 설치하는 듯하다.
본목적은 1964 도쿄 올림픽 유도 경기 개최를 위해서였지만, 1960년대 당시에는 일본무도관 만한 크기의 대규모 공연장은 없었기 때문에 일본 대중음악계에 있어서 상징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장소가 되었다. 또한, 일본 프로레슬링 역사에서도 중요한 역사를 차지한다. 특히나 전일본 프로레슬링, 프로레슬링 NOAH와 신일본 프로레슬링 등 다양한 프로레슬링 단체의 황금기를 경험했고 코라쿠엔 홀, 도쿄돔, 료고쿠 국기관 등과 더불어 또 다른 일본 프로레슬링계의 성지로 통하기도 한다.
2020 도쿄 올림픽에서도 유도 경기장으로 채택됨으로써, 2019년부터는 공연장으로서의 일을 잠시 멈출 듯 싶다.
2020년에는 리뉴얼을 가졌다. 조명을 모두 LED로 바꿨으며, 휠체어가 들어설 자리도 마련하였으며, 여자 화장실도 늘렸고, 2020 도쿄 올림픽의 유도와 가라테 경기에 참전하는 선수들이 대기할 장소인 중도장(中道場)이라는 이름의 별관도 신축했다. 다만, 휠체어가 들어설 자리를 늘리느라고 수용 인원은 11,000명 정도로 줄었다.
2. 공연장으로서의 무도관
[image]
[image]
사진의 주인공들은 Aqua Timez.
공연장으로 쓰이는 경우에는 '라이브 하우스 무도관'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듯 하며, 무수히 많이 피고 지는 일본 록 밴드들의 염원은 바로 언젠가는 이곳에 서서 공연을 하는 것이다.
사실 무도관의 객석 규모는 엔드 스테이지시 7~8000석, 센터 스테이지(360도 개방)시[1] 10000여 석의 공연장이다. 신인들이 공연하는 라이브 하우스나 홀에 비하면 훨씬 큰데다가 무도관이라는 건물 자체의 지명도도 높기 때문에, 여기서 공연한다는 것은 "이제부터 우리도 메이저 가수다!"임을 선언하는 상징적 행위인 것이다. 스포츠로 비유하면 세계 선수권 대회 내지 올림픽 출전 정도같은 느낌이다. 'LIVE AT BUDOKAN'의 이름을 한 라이브 비디오가 많다는 것은 일본 대중음악계에서 상징적인 위상을 보여주는 것을 상징한다.
락밴드 뿐만 아니라 다른 장르 뮤지션들에게도 일종의 '통과의례'나 자신들의 출세를 알리는 축포같은 위치를 지니는 공연장인데, Perfume이나 동방신기도 이곳에서 콘서트를 가졌던 적이 있다.[2] 도쿄돔[3] 이나 닛산 스타디움[4] 처럼 더 큰 규모의 공연장이 생긴 지금도 무도관 단독 공연의 상징적 의미는 크다. 물론 일본 대중음악계의 성지이기 때문에 외국 뮤지션들도 이곳에서 공연을 하면 제대로 일본에서 공연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처럼 무도관이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 공연장이 된 것은 대중음악계에서 단 하나의 그룹만 꼽으라면 1순위로 꼽힐 전설의 그룹 비틀즈가 1966년에 방일 공연을 했던 장소이기 때문이다.[5] 당시 귀축영미가 일본의 자존심을 짓밟으려 한다는 음모론에 낚인 군국주의자들의 반발과 협박이 이어졌지만 비틀즈 이후 레드 제플린, 에릭 클랩튼, 퀸, 오지 오스본, 프랭크 시나트라 등 수많은 이들이 무도관을 거치게 되면서 공연장의 상징적인 위상은 더욱 올라게 된다.
한류 가수들이 언플용으로 무도관 공연을 남발하는데, 일본의 한류 팬들은 소위 '잡팬' 성향이 강해서 한국 가수라면 특별히 팬이 아니라도 공연도 보러 가고 CD도 사기 때문에, 무도관 공연을 했다고 해서 일본에서 그 정도의 인기를 누린다고 곧이 곧대로 받아들이기는 힘들다. 겨울연가로 대표되는 한류현상 이전에 이 곳에서 공연했던 한국인 가수는 딱 둘뿐이다. 가왕 조용필과 신바람 이박사.
근래 들어서는 대중적 인지도가 떨어지는 매니악한 분야의 가수나 밴드들도 무도관에 서기 때문에 그 위엄이 예전만 하지는 못하지만 여전히 무도관은 자신들의 이름이 높아졌다는 사실의 방증이며, 반대로 말하면 매니악한 분야만으로도 1만 이상의 관객을 동원할 수 있다는 일본 대중음악계의 넓은 시장성을 보여주는 일면이기도 하다.
물론, 일본 가수들 중에서도 언플용으로 무도관 공연을 잡는 경우는 매우 많아서 대중적인 인지도가 전혀 없는 듣보잡 아이돌이나 가수가 느닷없이 무도관 공연을 하는 경우도 많다. 보통 이런 경우 티켓 떨이판매나 티켓에 이벤트[6] 를 집어넣는 경우가 대다수고, 좌석 일부에 암막을 쳐서 가리는 경우도 왕왕 있다. 때문에 보통 '무도관 콘서트를 성공시켰다'는 기준은 8000석 이상[7] 매진일 경우이다.
사실, 공연장으로서의 기능은 딱히 좋지는 않다. 아레나가 푹 꺼진 상태이기 때문에 2층 스탠드로 올라가게 된다면 밴드의 정수리만 구경하게 되며 의도한 무대와 조명 연출도 제대로 보기 어렵다. 그리고 소리도 기대하기 어려운 것도 마찬가지인데. 세계 정상급의 사운드 엔지니어들을 보유하고 있는 일본이지만, 음향 관련으로 여러번 뜯어 고쳤어도 소리가 지금도 라이브홀에 비해서 한참 쳐진다.
8,000석에 맥스로 1만석 규모 가까이 되지만 화장실이 남녀 합쳐서 겨우 6개 밖에 없다. 2020년 리모델링 후 추가되었다.구식 공연장이라서 관객석에서 이동의 불편함도 상당하다.
공연을 하지 않을 때는 이름답게 각종 무도대회가 열리거나, 대학교의 입학/졸업식이 치러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도쿄대학이 일본무도관에서 입학식을 치른다.
여전히 아티스트 활동을 하는 사람이라면 언젠가 가고 싶은 꿈의 장소로서도 유명한 편이었다. 물론, 최근 많은 아티스트들이 무도관에 차례로 입성하면서 명성이 과거와 같지는 않으나 갈 수 있는 사람이 많아진 것일 뿐이고 더 쉽게 가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일본 서브컬쳐 업계에서 무도관을 애니메이션 관계 공연장으로 쓰기 시작하면서 무도관 공연을 너무 쉽게 하게 되었다는 비아냥도 어느정도 있다. 물론 이는 자본이 개입했고 서브컬쳐 시장에서 라이브가 중요해짐에 따라 발생한 일이므로, 여전히 무명 밴드에서 출발에서 무도관까지 가는건 거의 꿈에 가까운 일이다.
'''무도관에 입성한 아티스트의 다음 목표는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와 도쿄돔'''이다. 여기까지 가면 정말로 '스타'라는 것이 증명된다. 다음으론 '''닛산 스타디움''' 정도가 있는데,[8] 여기까지 가는 아티스트는 극히 드문 편으로 보통은 국민적 지지를 받는 관록있는 대가수나 신드롬을 불러 일으킨 스타 정돈 되어야 한다.[9]
3. 프로레슬링 경기장으로서의 무도관
일본무도관에서 최초로 열린 프로레슬링 흥행은 1966년에 일본 프로레슬링[10] 이 가졌으며 당시의 메인이벤트는 자이언트 바바 vs. 프리츠 본 에릭의 인터네셔널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이었다. 이후 역도산 추모 대회라든가 안토니오 이노키부터 무하마드 알리에 이르기까지 내로라하는 프로레슬링 내외부 인사들까지 일본무도관 등을 두루 거쳤고, 이후에는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중후반으로 넘어가면서 신일본 프로레슬링과 전일본 프로레슬링 등이 무도관에서의 흥행을 거듭하여 성공시키며, 일본 프로레슬링의 황금기를 함께 거쳐간다.
이후 2000년대로 넘어오면서부터는 프로레슬링 NOAH가 주도적으로 이 곳에서 정기적으로 대회를 열었으나 이후 프로레슬링 NOAH는 미사와 미츠하루의 사망 이후 몰락을 거듭함과 더불어 일본 프로레슬링 시장 전체에 침체기와 암흑기가 찾아오며 몇 년에 한번씩 아주 특별한 이벤트[11] 를 제외하고는 대회가 거의 열리지 못했으며 대신 일본 프로레슬링계는 료고쿠 국기관 등으로 장소를 옮겨 대회를 열고 있는 상황이다. 사실 이런 현상에는 무도관의 비싼 대관료가 이유로 꼽히기도 하는데 경기장 규모 자체는 신일본 프로레슬링 등이 나서서 대회를 열기에 무난할 정도이기는 하지만 일본 프로레슬링 시장은 침체기를 거듭하며 쇠락기를 거쳐 이제 점차 회복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 자칫 이 곳에서 비싼 대관료를 주고 대회를 열었다가 흥행에서 실패라도 한다면 그것은 곧 단체의 부담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결국 이러저러한 이유로 대회가 열리지 못하다가 신일본 프로레슬링이 2018년 G1 클라이맥스 28 최종 3연전을 일본무도관에서 개최하기로 전격 발표하며 모처럼 일본무도관에서 일본 프로레슬링 단체의 주요 흥행이 열리게 되었다. 참고로 G1 클라이맥스 대회가 일본무도관에서 열리는 것은 G1 클라이맥스 대회가 개최된 이래 최초이며, 신일본 프로레슬링이 무도관에서 대회를 가지는 것 자체가 지난 2003년 6월 이후 15년만에 있는 일이라고 한다. 신일본 측에서도 신경을 많이 써서 A조 최종전은 오카다 카즈치카 vs 타나하시 히로시를, B조 최종전은 케니 오메가 vs 이부시 코타[12] 를 메인 이벤트로 선정하며 매치 배치에 공을 들였다. 이런 영향에서인지 8월 11일 B블록 최종전과, 8월 12일 결승전의 예매표가 개최를 며칠 앞두고 전석이 매진되어 추가 티켓을 판매하는 결정을 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호조로 2019년에 열리는 G1 클라이맥스 29의 최종 3연전도, 그리고 2020년에는 월드 태그 리그 2020 & 베스트 오브 더 슈퍼 주니어 27의 더블 결승전이 무도관에서 치뤄진다.
2021년에는 프로레슬링 NOAH가 2월 21일 대회를 무도관에서 열기로 결정지으며 약 11년만에 무도관으로 돌아오게 되었으며, 여자 프로레슬링 단체인 스타덤 프로레슬링도 단체 10주년 기념 흥행을 창단 이래 최초로 무도관에서 2021년 3월 3일에 개최한다. 신일본은 2020년 코로나의 영향으로 열지 못한 창단기념일 흥행을 3월 4일에 무도관에서 열기로 결정했다.
4.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만화 러브히나에서도 일본무도관이 나온다. 우라시마 케이타로가 평생 쓸 운을 도쿄대 입학에 써버린 탓인지, 무도관 지붕에서 떨어진 빛나는 구조물에 깔려 다리가 부러지는 바람에 휴학을 하는 참사를 겪는다.
- 만화 케이온! 애니메이션 1기 2화에서 타이나카 리츠는 사쿠라고 경음부 부원들에게 목표를 무도관으로 잡아보자고 말했고, 실제로 무도관에서 라이브하는 장면이 나오진 않으나 그 모습을 상상하는 장면은 있다.[13]
- BanG Dream!에서도 종종 나온다. 게임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에서는 Afterglow 밴드 스토리 1장 20화에서 하자와 츠구미가 앞으로 다음 목표를 무도관으로 잡자고 제안했고 멤버들도 좋아했다. 또한 BanG Dream!/애니메이션 2기 7화에서 Poppin'Party 일행이 지나가다 들린 곳이 바로 무도관이었고, BanG Dream!/애니메이션 3기 13화에서 Poppin'Party, Roselia, RAISE A SUILEN이 함께 공연한 공연장으로 나왔다.
- TSUKIPRO THE ANIMATION에서 후배조가 라이브를 할 때 사용한 공연장으로 나왔다.
- 최애가 부도칸에 가 준다면 난 죽어도 좋아에서 이름에 있는 부도칸이 바로 무도관이다.
5. 기타
[image]
콘서트를 하든, 체육대회를 하든, 뭘 하든지 간에 천장 중앙에 항상 커다란 일장기가 걸려있다. 다만 사진과는 다르게 높은 곳에 걸려 있어서 공연이나 행사 때 크게 거슬리진 않는 수준. 일부러 노려서 찍지 않는 이상 무대랑 같이 나오진 않는다.[14]
- 도쿄메트로 도자이선, 한조몬선, 도에이 신주쿠선 쿠단시타역 인근에 있다.
[1] 여담으로 센터스테이지로 공연하면 정말 콜로세움같은 형태가 된다. 이 경우 관객들을 위해 뮤지션들이 계속 움직이거나 해서 한쪽 방향의 관객들만 등지지 않도록 연출에 신경을 쓰는 경우가 많다.[2] 그런데 YMO는 이런 곳에서 해산 공연을 가졌다.[3] 기본으로 4만 명 ~ 5만 명[4] 기본으로 7만 명 ~ 8만 명[5] 다만 비틀즈가 외국 뮤지션으로서 처음 무도관 공연을 한 건 아니었고, 1965년 7월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방일한 지휘자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가 일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지휘한 두 차례의 공연 중 13일 공연을 여기서 개최해 최초 공연을 기록했다.[6] 추첨을 통해 대기실에서 멤버들을 만날 수 있다거나..[7] 즉, 기본 좌석을 모두 개방해서.[8] 한국으로 치면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이나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단독 콘서트하는 셈이다.[9] 참고로 한국에서 유일하게 닛산 스타디움에서 공연을 한 가수는 '동방신기'다. 그동안 닛산 스타디움은 도쿄돔과 달리 해외 가수의 공연기록이 없었는데, 외국인 가수 전체이자 한국인 가수로는 동방신기가 일본에서 외국인 가수 최초로 그리고 유일하게 이틀 대관 공연을 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2018년 Begin Again 투어를 통해 3일 연속 공연을 확정하며 자체 기록을 경신했다. 3일 연속 공연은 일본 및 해외 아티스트를 통틀어 최초. 즉, 개장 이래 역사상 최초 기록을 한국 가수 동방신기가 이뤄낸 셈. 물론 현지화 전략이 통한 측면도 있다.[10] 일본 프로레슬링계를 통틀어서 일컫는 말이 아니라 당시 이 단체의 단체명이 일본 프로레슬링이었다.[11]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자선 대회, 2013년의 코바시 켄타의 은퇴 흥행 등.[12] 두 선수가 DDT 프로레슬링 소속이던 시절에 무도관에서 경기를 가진 적이 있는데, 이때 2층 문설트 같은 미친 짓을 저지르면서 DDT는 '''무도관 영구 임대금지'''라는 엄청난 처벌을 받은 과거가 있다. 이부시 코타 문서 참조.[13] 적어도 일본에서 밴드를 결성한 경우 고교야구에서 코시엔 진출을 외치듯이 누구나 하는 말이라 애니에서 인용한 걸로 추정된다. 후술할 BanG Dream!의 경우도 마찬가지.[14] 스탠딩석에서는 광각렌즈 아니면 거의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