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
1. 개요
2021년 4월 25일에 개최될 예정인 아카데미 시상식.
2. 상세
원래 2021년 2월 28일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19의 여파로 인해 2달 뒤인 2021년 4월 25일로 연기되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일정도 약 2달 가까이 미루어졌는데, 출품 자격을 위한 개봉 기한이 2020년 12월 31일이 아닌 2021년 2월 28일까지로 바뀌었다.# 즉, 원래는 2020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일주일 간 상영해야 아카데미상 후보 자격이 생기므로 늦어도 크리스마스인 12월 25일에는 개봉한 영화들만 후보 자격이 있었다면, 이제는 2021년 2월 22일에 개봉한 영화까지도 후보 자격이 있는 것이다. 아카데미 시상식 출품 자격 기한이 두 해에 걸치게 된 것은 제6회 아카데미 시상식 이후 처음이다.
시상식 연출에 <컨테이젼>, <오션스 일레븐>의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 그래미상을 연출한 제시 콜린스와 <장고: 분노의 추적자>를 제작한 스테이시 셰어가 참여한다.
2.1. 일정
- 2021년 3월 5일 ~ 3월 10일: 후보작 선정 투표
- 2021년 3월 15일: 후보작 공개
- 2021년 4월 15일 ~ 4월 20일: 수상작 투표
- 2021년 4월 25일: 수상작 발표
3. 분야
제93회 아카데미상 시즌에서 유력 주자들로 거론되는 영화들은 다음과 같다.#,#
- 1968년 시카고 폭력사태를 다룬 에런 소킨의 법정 영화 <트라이얼 오브 더 시카고 7>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생겨난 미국의 현대판 유목민들의 이야기를 다룬 제77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황금사자상, 제45회 토론토 국제 영화제 관객상 수상작 <노매드랜드>
- 시나리오 작가 허먼 J. 맹키위츠의 전기 영화이자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6년만의 신작인 <맹크>
- 여성 대상 성범죄를 다룬 배우 에머랄드 펜넬의 감독 데뷔작 <프라미싱 영 우먼>
- 아메리칸 드림을 다룬 제36회 선댄스 영화제 심사위원대상 & 관객상 수상작 <미나리>
- 배우 채드윅 보즈먼의 유작 <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 배우 레지나 킹의 감독 데뷔작 <마이애미에서의 하룻밤>
- 남북전쟁 직후 미국의 모습을 다룬 영화 <뉴스 오브 더 월드>
- 청각 장애인이 된 드럼 연주자의 이야기를 담은 <사운드 오브 메탈>
- 흑표당 일리노이 지부장 프레드 햄튼의 전기 영화 <유다와 검은 메시아>
- 치매 노인의 이야기를 담은 <더 파더>
- 흑인 베트남 전쟁 참전 용사들의 이야기를 담은 스파이크 리 감독의 <Da 5 블러드>
- 삶의 의미를 다룬 철학 애니메이션 <소울>
3.1. 작품상
후보군으로는 <트라이얼 오브 더 시카고 7>, <노매드랜드>, <맹크>, <프라미싱 영 우먼>, <미나리>, <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마이애미에서의 하룻밤>, <뉴스 오브 더 월드>, <사운드 오브 메탈>, <더 파더>, <유다와 검은 메시아>, <Da 5 블러드> 등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트라이얼 오브 더 시카고 7>은 골든글로브 작품상, 배우조합상 앙상블상, 크리틱스 초이스 작품상에 모두 후보로 올랐다. <노매드랜드>, <맹크>, <프라미싱 영 우먼>은 골든글로브 작품상과 크리틱스 초이스 작품상에, <미나리>, <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마이애미에서의 하룻밤>, <Da 5 블러드>는 배우조합상 앙상블상과 크리틱스 초이스 작품상에 후보로 올랐다. <더 파더>는 골든글로브 작품상에만, <사운드 오브 메탈>과 <뉴스 오브 더 월드>는 크리틱스 초이스 작품상에만 후보로 올랐다.
최종 수상작으로는 <트라이얼 오브 더 시카고 7>과 <노매드랜드>가 가장 유력하다.
3.2. 감독상
후보군으로는 <노매드랜드>의 클로이 자오, <맹크>의 데이비드 핀처, <프라미싱 영 우먼>의 에머랄드 펜넬, <트라이얼 오브 더 시카고 7>의 에런 소킨, <마이애미에서의 하룻밤>의 레지나 킹, <미나리>의 아이작 정, <Da 5 블러드>의 스파이크 리 등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자오, 핀처, 펜넬, 소킨, 킹은 골든글로브와 크리틱스 초이스에서 모두 노미네이트되었다. 정과 리는 크리틱스 초이스에서만 노미네이트되었다.
최종 수상자로는 여러 비평가협회 시상식을 휩쓸어온 자오가 유력시되고 있으나, 핀처가 다크호스가 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아카데미 시상식 역사상 여성이 감독상 후보에 노미네이트된 것은 다섯 차례 뿐이며 최종 수상까지 이어진 것은 2010년 제8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캐서린 비글로우가 <허트 로커>로 수상한 것이 유일하다. 따라서 만약 자오가 실제로 수상하게 된다면 역대 두번째로 아카데미 감독상을 받은 여성이 된다. 또 자오는 중국인이므로 수상하면 이안, 봉준호에 이어 세번째로 아카데미 감독상을 받은 아시아계 영화인이 된다.
3.3. 남우주연상
후보군으로는 <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의 채드윅 보즈먼, <더 파더>의 안소니 홉킨스, <사운드 오브 메탈>의 리즈 아메드, <맹크>의 게리 올드만, <미나리>의 스티븐 연, <Da 5 블러드>의 델로이 린도 등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보즈먼, 홉킨스, 아메드, 올드만은 골든글로브, 배우조합상, 크리틱스 초이스에서 모두 후보로 올랐다. 연은 배우조합상과 크리틱스 초이스에서, 린도는 크리틱스 초이스에서 후보로 올랐다.[1]
최종 수상자로는 보즈먼이 가장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으나, 아메드나 홉킨스가 다크호스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만약 보즈먼이 최종 수상할 시 93년 아카데미 역사상 5번째 흑인 남우주연상 수상자가 된다. 또한 피터 핀치, 히스 레저에 이어 역대 3번째로 사후에 연기상을 수상한 사람이 된다.
3.4. 여우주연상
후보군으로는 <프라미싱 영 우먼>의 캐리 멀리건, <노매드랜드>의 프란시스 맥도맨드, <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의 비올라 데이비스, <그녀의 조각들>의 바네사 커비, <더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vs. 빌리 홀리데이>의 안드라 데이, <힐빌리의 노래>의 에이미 애덤스, <전혀아니다,별로아니다,가끔그렇다,항상그렇다>의 시드니 플래니건, <맬컴과 마리>의 젠데이아 등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멀리건, 맥도맨드, 데이비스, 커비는 골든글로브와 배우조합상, 크리틱스 초이스에서 모두 후보로 올랐다. 데이는 골든글로브와 크리틱스 초이스에서, 아담스는 배우조합상에서, 플래니건과 젠데이아는 크리틱스 초이스에서 후보로 올랐다.
최종 수상자로는 멀리건과 맥도맨드가 가장 유력하다.
3.5. 남우조연상
후보군으로는 <유다와 검은 메시아>의 대니얼 칼루야, <트라이얼 오브 더 시카고 7>의 사샤 바론 코헨, <마이애미에서의 하룻밤>의 레슬리 오덤 주니어, <Da 5 블러드>의 채드윅 보즈먼, <The Little Things>의 자레드 레토, <On the Rocks>의 빌 머리, <사운드 오브 메탈>의 폴 레이시 등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칼루야, 바론 코헨, 오덤은 골든글로브, 배우조합상, 크리틱스 초이스에서 모두 후보로 올랐다. 보즈먼은 배우조합상과 크리틱스 초이스, 레토는 골든글로브와 배우조합상, 머리는 골든글로브와 크리틱스 초이스에서, 레이시는 크리틱스 초이스에서 노미네이트되었다.[2]
최종 수상자로는 칼루야와 바론 코헨이 가장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다.
칼루야의 수상이 현실화될 시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역사 85년만에 7번째로 흑인이 남우조연상을 수상하는 것이다.
3.6. 여우조연상
후보군으로는 <미나리>의 '''윤여정''', <힐빌리의 노래>의 글렌 클로즈, <더 파더>의 올리비아 콜먼, <보랏 속편>의 마리아 바칼로바, <맹크>의 아만다 사이프리드, <뉴스 오브 더 월드>의 헬레나 쳉겔, <그녀의 조각들>의 엘런 버스틴 등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클로즈, 콜먼, 바칼로바는 골든글로브, 배우조합상, 크리틱스 초이스에서 모두 후보로 올랐다.[3] 윤여정은 배우조합상과 크리틱스 초이스, 사이프리드는 골든글로브와 크리틱스 초이스, 쳉겔은 골든글로브와 배우조합상에서 후보로 올랐으며 버스틴은 크리틱스 초이스에서만 후보로 올랐다.
최종 수상자에 대한 예측은 그야말로 혼전 양상이다. 당초 선두 주자로 평가 받던 사이프리드가 배우조합상에서 노미네이트에 실패하는 이변이 벌어지자 과거 무려 일곱 차례나 아카데미 후보에 오르고도 매번 고배를 마셨던 클로즈가 탄력을 받는 분위기다. 한편으로는 각종 비평가 시상식을 휩쓴 윤여정의 수상 가능성을 점치기도 한다.
만약 윤여정이 수상에 성공한다면,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역사 85년만에 2번째 아시아계 수상자가 된다.
3.7. 각본상
후보군으로는 <트라이얼 오브 더 시카고 7>의 에런 소킨, <프라미싱 영 우먼>의 에머랄드 펜넬, <맹크>의 잭 핀처, <미나리>의 아이작 정, <사운드 오브 메탈>의 다리우스 마더 & 에이브러햄 마더, <유다와 검은 메시아>의 윌 버슨 & 샤카 킹 등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트라이얼 오브 더 시카고 7>과 <프라미싱 영 우먼>은 골든글로브와 크리틱스 초이스, 작가조합상에서 모두 후보로 올랐다. <맹크>는 골든글로브와 크리틱스 초이스, <사운드 오브 메탈>은 크리틱스 초이스와 작가조합상, <미나리>는 크리틱스 초이스에서 후보로 올랐다.[4]
소킨은 2011년 제83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소셜 네트워크>로 각색상을 탄 바 있어 만약 수상하게 되면 역대 11번째로 오스카 각본상과 각색상을 둘 다 수상한 사람이 된다.
3.8. 각색상
후보군으로는 <노매드랜드>의 클로이 자오, <마이애미에서의 하룻밤>의 켐프 파워스, <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의 루벤 산티아고 허드슨, <뉴스 오브 더 월드>의 폴 그린그래스 & 루크 데이비스, <더 파더>의 플로리언 젤러 & 크리스토퍼 햄튼 등이 거론되고 있다. <노매드랜드>와 <더 파더>는 골든글로브와 크리틱스 초이스에서 후보로 올랐으며, <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와 <마이애미에서의 하룻밤>, <뉴스 오브 더 월드>는 크리틱스 초이스와 작가조합상에서 후보로 올랐다.[5]
3.9. 음악상
후보군으로는 <소울>, <맹크>, <뉴스 오브 더 월드>, <미드나이트 스카이>, <테넷>, <미나리> 등이 거론되고 있다. <소울>, <맹크>, <뉴스 오브 더 월드>, <미드나이트 스카이>, <테넷>은 골든글로브와 크리틱스 초이스에서, <미나리>는 크리틱스 초이스에서 후보로 올랐다.
최종 수상자로는 <소울>이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2월 9일 1차 후보로 선정된 15편의 목록이 공개됐다.
- <암모나이트>
- <블리자드 오브 소울>
- <Da 5 블러드>
- <인비저블 맨>
- <징글 쟁글: 저니의 크리스마스>
- <자기 앞의 생>
-
- <맹크>
- <미드나이트 스카이>
- <미나리>
- <뮬란>
- <뉴스 오브 더 월드>
- <소울>
- <테넷>
- <트라이얼 오브 더 시카고 7>
3.10. 주제가상
2월 9일 1차 후보로 선정된 15편의 목록이 공개됐다.
- <올 인: 더 파이트 포 데모크라시>의 “Turntables”
- <벨리 오브 비스트>의 “See What You’ve Done”
- <보랏 속편>의 “Wuhan Flu”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파이어 사가 스토리>의 “Husavik”
- <우리의 목소리가 울려 퍼지면>의 “Never Break”
- <징글 쟁글: 저니의 크리스마스>의 “Make It Work”
- <유다와 검은 메시아>의 “Fight For You”
- <자기 앞의 생>의 “Io Sì (Seen)”
- <미나리>의 “Rain Song”
-
의 “Show Me Your Soul” - <뮬란>의 “Loyal Brave True”
- <더 원 앤 온리 아이반>의 “Free”
- <마이애미에서의 하룻밤>의 “Speak Now”
- <사운드 오브 메탈>의 “Green”
- <트라이얼 오브 더 시카고 7>의 “Hear My Voice”
3.11. 시각효과상
2월 9일 1차 후보로 선정된 10편의 목록이 공개됐다.
- <버즈 오브 프레이(할리 퀸의 황홀한 해방)>
- <블러드샷>
- <러브 앤 몬스터즈>
- <맹크>
- <미드나이트 스카이>
- <뮬란>
- <더 원 앤 온리 아이반>
- <소울>
- <테넷>
- <웰컴 투 체첸>
3.12. 음향상
93회 아카데미 시상식부터는 음향편집상과 음향효과상이 한개의 부문으로 통합될 예정이다.#
3.13. 의상상
<맹크>, <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프라미싱 영 우먼>, <뮬란> 등이 크리틱스 초이스와 미술감독조합상에서 모두 후보로 올랐다.
3.14. 미술상
<맹크>, <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뉴스 오브 더 월드>, <테넷> 등이 크리틱스 초이스와 미술감독조합상에서 모두 후보로 올랐다.
3.15. 분장상
후보군으로는 <힐빌리의 노래>, <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맹크>, <엠마>, <버즈 오브 프레이(할리 퀸의 황홀한 해방)>, <피노키오(2019년)>, <징글 쟁글: 저니의 크리스마스> 등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힐빌리의 노래>와 <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맹크>는 크리틱스 초이스와 분장사조합상[6] 에서 모두 노미네이트되었다. <엠마>는 크리틱스 초이스에서, <버즈 오브 프레이(할리 퀸의 황홀한 해방)>, <피노키오(2019년)>, <징글 쟁글: 저니의 크리스마스>는 분장사조합상에서 노미네이트되었다.
2월 9일 1차 후보로 선정된 10편의 목록이 공개됐다.
- <버즈 오브 프레이(할리 퀸의 황홀한 해방)>
- <엠마>
- <더 글로리아스>
- <힐빌리의 노래>
- <징글 쟁글: 저니의 크리스마스>
-
- <마 레이니, 그녀가 블루스>
- <맹크>
- <마이애미에서의 하룻밤>
- <피노키오(2019년)>
3.16. 편집상
3.17. 촬영상
3.18. 단편 애니메이션상
2월 9일 1차 후보로 선정된 10편의 목록이 공개됐다.
3.19. 장편 애니메이션상
2월 9일 국내 언론에서 국산 애니메이션 <레드 슈즈>가 1차 후보에 포함되었다거나,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 편>이 최종 후보에 노미네이트되었다는 보도가 나왔는데, 모두 오보로 보인다. 오스카 측이 2월 9일 발표한 1차 후보 목록은 음악상 등 9개 부문에 대한 것이었으며, 장편 애니메이션상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았다. 다만 같은 날 오스카 측에서 장편 애니메이션상에 출품된 작품 27편을 공개했는데, 한국 기자들이 출품작 목록을 후보작 목록으로 착각해 잘못된 기사를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7] 참고로 현재 미국의 언론이나 골드더비 등 오스카 예측 전문 매체들 중에는 <레드 슈즈>나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 편>의 노미네이트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는 곳이 없다. 지금까지 오스카에서 TV 애니메이션의 극장판 영화에 상을 준 적이 없기도 하고. 참고로 일본이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 편>을 장편 애니메이션상 후보에 올리기 위해 미국에 한정적으로 개봉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현재 노미네이트가 유력한 작품으로는 <소울>, <온워드: 단 하루의 기적>, <울프워커스>, <크루즈 패밀리: 뉴 에이지>, <오버 더 문>, <트롤: 월드 투어>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도 최종 수상은 <소울>이 가장 유력하게 꼽히고 있다. 다만 <소울> 다음으로 비평가 시상식들에서 강세를 보인 <울프워커스>가 다크호스가 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
3.20. 국제영화상
<더 헌트>의 토머스 빈터베르 감독과 매즈 미켈슨 배우가 다시 호흡을 맞춘 블랙 코미디 <어나더 라운드>가 호평과 함께 최종 수상이 유력시되는 가운데, 2월 9일 1차 후보로 선정된 15편의 목록이 공개되었다. 대한민국 측 후보로 출품됐던 <남산의 부장들>은 후보에 오르지 못했다.
- <쿠오바디스, 아이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요양원 비밀요원> (칠레)
-
(체코) - <어나더 라운드> (덴마크)
- <우리 둘> (프랑스)
- <우는 여인> (과테말라)
- <소년 시절의 너> (홍콩)
- <태양의 아이들> (이란)
- <왕들의 그날 밤> (코트디부아르)
- <나는 여기에 없다> (멕시코)
- <호프> (노르웨이)
- <콜렉티브> (루마니아)
- <친애하는 동지들!> (러시아)
- <아호, 나의 아들> (대만)
-
(튀니지)
3.21. 단편영화상
2월 9일 1차 후보로 선정된 10편의 목록이 공개됐다.
3.22. 단편 다큐멘터리상
2월 9일 1차 후보로 선정된 10편의 목록이 공개됐다.
3.23. 장편 다큐멘터리상
2월 9일 1차 후보로 선정된 15편의 목록이 공개됐다.
- <올 인: 더 파이트 포 데모크라시>
- <보이즈 스테이트>
- <콜렉티브>
- <크립 캠프: 장애는 없다>
- <딕 존슨이 죽었습니다>
- <군다>
-
- <요양원 비밀요원>
- <나의 문어 선생님>
- <야상곡>
- <화가와 도둑>
- <76 데이즈>
- <타임>
- <트러플 헌터스>
- <웰컴 투 체첸>
4. 특별상
4.1. 공로상(Academy Honorary Awards)
4.2. 어빙 G. 솔버그 기념상(Irving G. Thalberg Memorial Award)
5. 기타
[1] 린도는 당초 유력 후보였으나 골든글로브와 배우조합상에서 연속으로 노미네이트에 실패하면서 오스카 캠페인에 치명타를 입었다. 크리틱스 초이스에서는 노미네이트에 성공했지만, 크리틱스 초이스는 남우주연상에 무려 8명을 후보로 올려 <뉴스 오브 더 월드>의 톰 행크스, <더 웨이 백>의 벤 애플렉까지 후보에 올린 터라 린도 입장에서 큰 위안이 되어주지는 못한다.[2] 각종 비평가협회 시상식들에서 남우조연상을 쓸어담다시피 하던 레이시는 골든글로브와 배우조합상에서 연속으로 후보에 오르지 못하며 오스카에서도 노미네이트 여부가 불투명해졌다.[3] 다만 골든글로브에서는 바칼로바가 여우조연상이 아닌 여우주연상 후보로 올랐다.[4] <미나리>와 <맹크>는 작가조합 단체협약의 관할 밖에서 집필된 각본이라는 이유로 작가조합상 후보 자격이 없었다. <그녀의 조각들>, <암모나이트> 등도 같은 이유로 노미네이트에서 배제됐으며, <소울>, <온워드: 단 하루의 기적> 등은 애니메이션이라는 이유로 배제되었다.[5] <노매드랜드>와 <더 파더>는 작가조합 단체협약의 관할 밖에서 집필된 각본이라는 이유로 작가조합상 후보 자격이 없었다.[6] Make-Up Artists and Hair Stylists Guild; MUAHS[7] 시험에 비유하자면 응시생 명단을 1차 합격자, 혹은 최종 합격자 명단으로 착각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