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자연지리
1. 위치와 면적
중국은 동경 73°~135°, 북위 23°~53°32′ 사이에 위치한다.
중국의 국토 면적은 CIA 측정 기준 9,596,960㎢로, 세계에서 4번째로 넓은 나라이다.
2. 기후
대체로 연교차가 크고 건조한 지역들이 많다. 연 강수량은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계절풍 기후(Cwa, Dwa)가 많고 온난 습윤 기후(Cfa)는 남방 해안지역에 국지적으로 존재하며, 몽골과 인접한 중북부와 서부는 아예 건조기후(BS, BW)에 속한다. 중국/환경오염 문서에서도 볼 수 있듯 중국에 물이 부족해지는 원인은 수질오염 탓도 크지만 전반적으로 강수량이 불균형한 상태에서 수요가 늘어났다는 것이 더 크다. 전통적으로 도시 한복판에서 눈이 많이 오는 걸 '''서설(瑞雪)'''이라며 좋아하는 것도 그만큼 눈이 귀해서이다.
중국은 남동부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이 건조한 편에 속하는데, 이 때문에 대부분의 중국인들이 남동부 지역에 몰려 살고 있다. 특히 중국 영토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서부 지역은 인간이 살 수 없는 불모의 땅이 대부분이며, 남서부 지역은 해발고도 또한 4000m 이상으로 매우 높아 인간의 거주가 불가능하다. 한편 중국은 전반적으로 동위도의 타 지역에 비해 한랭한 기후를 나타내며, 이는 대륙의 동안에 위치한 영향과, 서부지역은 높은 고원과 사막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중국 전역의 연평균기온은 섭씨 10도 정도이며, 이는 미국 본토의 연평균기온보다 낮다.
- 동북 지방(허베이,내몽골,랴오닝,지린,헤이룽장)
- 동남 지방(산동,허난,장쑤,후난,후베이,저장,푸젠,광둥,구이저우 등)
- 서북 지방(닝샤 후이 자치구,간쑤,신장위구르 자치구)
인구밀도가 낮으며 주요 도시로는 우루무치 등이 있다. 이 지역은 일교차가 매우 크며, 수시로 모래폭풍이 불어닥쳐 대기 질이 좋지 않다. 산업화로 인해 대기질이 나빠진 동부와 달리 이 지역은 자연적인 원인으로 원래부터 대기질이 나쁘다. 또한 아시아 대륙의 정중앙부에 위치하여 매우 큰 대륙도를 갖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거대한 고원과 북쪽으로는 거대한 시베리아 평원 사이에 있는 내륙지역이라 겨울이 매우 한랭하며 일부 고산지역은 연평균기온이 영하인 곳도 많다.
신장위구르 서부지역에는 파미르 고원과 톈산 산맥,카라코람 산맥 등이 있으며 이 지역의 한겨울은 섭씨 -40도 이하로 떨어지며 몹씨 춥다.
- 서남 지방(티베트 자치구,칭하이,쓰촨,윈난성)
3. 중국 지형의 특성
[image]
중국의 지형은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으며, 높이에 따라 크게 세 단계[4] 로 분류할 수 있다.
- 해발고도 4,000m 이상
- 해발고도 1,000~2,000m
- 해발고도 500~1,000m
- 수심 200m 미만
면적에 비해 평야가 꽤 적다. 물론 다 합치면 한반도와 일본을 합친 것보다 크지만, 비교 대상이 되는 다른 국가(미국, 인도)에 비하면 확연히 적기 때문에, 넓은 국토에 비해 실익이 적은 케이스로 꼽힌다. 게다가 그 평야의 대다수인 화베이 평원은 워낙 오래 전부터 농사를 지어온 터라 현재는 상당히 척박해져 경제적으로 생각보다 낙후된 지역들이 많으며, 오히려 평야가 적고 산지나 고원이 대다수인 남부 지방이 경제의 중심지로 손꼽힌다. 중국의 땅덩이가 넓은데도 한국보다 더한[6] 아파트 천국이 된 원인도 산이 많아서이다.
4. 중국의 자연지리
[image]
4.1. 중국의 강
[image]
- 송화강(쑹화장): 백두산에서 흑룡강까지 만주 지역을 흐르는 강이다.
- 압록강(야루장)
- 두만강(투먼장)
- 그 밖의 강
- 요하(랴오허): 요동 지역을 흐르는 강이다.
- 위하, 위수(웨이허, 웨이수이): 황하의 지류로 장안 주변을 흐르는 강이다.
- 회하, 회수(화이허, 화이수이): 남귤북지라 하여 남방과 북방을 가르는 기준이 되는 강이다.
- 한강, 한수(한장, 한수이): 양쯔강의 지류이다.
- 홍하(홍허): 베트남 북부를 거쳐 흐는 강이다.
4.2. 중국의 산맥
[image]
- 동서로 뻗은 산맥(↔): 천산산맥(톈산 산맥), 곤륜산맥(쿤룬 산맥), 진령산맥(친링 산맥)
- 남서에서 북동으로 뻗은 산맥(⤢): 대흥안령산맥(다싱안링 산맥), 장백산맥(창바이 산맥), 태항산맥(타이싱 산맥)
- 북서에서 남동으로 뻗은 산맥(⤡): 알타이 산맥(아얼타이 산맥), 기련산맥(치롄 산맥), 히말라야 산맥(시마라야 산맥), 소흥안령 산맥(샤오싱안링 산맥)
- 남북으로 뻗은 산맥(↕): 횡단산맥(헝돤산맥), 하란산맥(허란산맥)
4.2.1. 중국의 산
[image]
- 중국의 전통적 오악
- 히말라야 산맥 8,000미터 14좌 및 중국 서남부의 고산#s-1
4.3. 기타 지형
[image]
4.3.1. 중국의 4대 고원#s-1
4.3.2. 중국의 분지
- 타림분지(타리무분지)
- 중가리아분지(준가얼분지)
- 차이담분지(차이다무분지)
- 사천분지(쓰촨분지)
- 투루판분지
4.3.3. 중국의 사막
4.3.4. 중국의 3대 평원
4.3.5. 중국의 호수#s-1
4.3.6. 중국의 3대 폭포
- 덕천폭포(德天瀑布, 더톈폭포): 베트남과 경계에 있는 폭포. 베트남에서는 반족폭포(Thác Bản Giốc)라고 부른다.
- 황과수폭포(黄果树瀑布, 황궈수폭포)
- 호구폭포(壶口瀑布, 후커우폭포): 산시성 이촨현, 황하 유역에 존재하는 폭포, 현장영상 - 연합뉴스
4.3.7. 중국의 섬
[1] 다롄시[2] 대한민국에서도 1월에 온대, 냉대기후를 가르는 기준을 섭씨 -3도로 할 시 경기북부, 강원영서북부, 산간지대를 제외하고는 온대기후이다.[3] 최남단 일대는 열대기후가 나타나며, 많은 비와 한겨울에도 섭씨 20도 이상을 유지하는 지역도 있다.[4] 영해까지 치면 네 단계[5] 티베트와 네팔의 국경을 이룬다.[6] 중국도 낙후된 사합원을 제외하면 도시 한복판에서 단독주택 보기 힘들다.[7] 모두 티베트 고원에서 발원한 강이다.[8] 압록강과 두만강은 북한과 경계[9] 중국 최대 크기의 함수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