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각 지역별 올스타/TOP20
1. 개요
2018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에 출전할 각 지역별 프로게이머 2인을 뽑는 인기투표 후보군에 대해 정리하는 문서.
한국 서버를 이용하는 소환사들의 경우 10월 18일부터 오픈되는 라이엇 코리아에서 특설 투표 사이트를 이용하는 방식이었고, 투표 마감 시간은 한국 기준으로 10월 25일 새벽 2시. 투표 가능 리그는 LCK를 포함한 총 10개 리그[1] 인데, 문제는 TOP20이라고 해 놓고서는 대놓고 후보군이 20명이 아닌 리그가 제법 존재한다는 것.
2. 상세
라이엇에서 사전 공지한 인기투표 후보자 선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 아래 기준에 따라 선정된 후보자들을 가지고 투표를 실시하여, 소속팀이나 포지션과 관계없이 최종적으로 가장 많은 표를 얻은 2명이 올스타전에 참가한다.
- 지역별 서머 시즌 1부 리그 소속팀 선수들을 대상으로, 라이엇이 선정한 2018 활약상 TOP20 선수들이 인기투표 후보자 명단에 오른다.[2]
- 리스트에는 각 포지션별로 최소 2명씩 10명이 기본 선정되며, 나머지 10명은 불균형하게 선정될 수 있다.
- CBLOL (브라질)
- CLS (남미)
- EU LCS (유럽)
- LCK (한국)
- LCL (독립국가연합)
- LJL (일본)
- LLN (중미)
- NA LCS (북미)
- OPL (오세아니아)
- TCL (터키)
3. 리그별 후보자 명단
인물 정렬 순서는 투표 홈페이지의 기준인 영문 닉네임 알파벳 순서에 따른다.
3.1. 5대 메이저 리그
개별 인기투표를 실시하는 LMS와 LPL을 제외한 나머지 3개 리그가 투표 대상이 되었다. 그런데 어째서인지 EU의 경우 후보자가 22명이 되었다.
3.1.1. LCK
- 롤드컵 2018 참가팀 소속: 10명
- KT 소속: Deft, Mata, Score, Smeb
- AFs 소속: Kiin, Kuro
- GEN 소속: Ambition, CoreJJ, Cuvee, Ruler
- 2019 스프링 2부 강등팀 소속: 2명
- MVP 소속: Max
- bbq 소속: IgNar
3.1.2. EU LCS
- 롤드컵 2018 참가팀 소속: 12명
- FNC 소속: Broxah, Bwipo, Caps, Rekkles, sOAZ
- G2 소속: Jankos, Perkz, Wadid, Wunder
- VIT 소속: Attila, Jizuke, Kikis
- 2019 스프링 프랜차이즈 탈락팀 소속: 5명
- GIA 소속: Djoko
- H2K 소속: sheriff
- ROC 소속: Memento
- SPY 소속: Nisqy
- UOL 소속: Kold
3.1.3. NA LCS
- 롤드컵 2018 참가팀 소속: 8명
- C9 소속: Jensen, Licorice, Sneaky
- TL 소속: Doublelift, Olleh, Xmithie
- 100 소속: aphromoo, Ssumday
3.2. 마이너 리그
가레나 올스타즈에 참가하는 리그인 SEA와 VCS를 제외한 나머지 7개 리그가 투표 대상이 되었다. 그런데 통합 리그로 재출범할 예정인 CLS와 LLN은 17명밖에 안 뽑혔다. 덧붙여 LCL 투표창은 알파벳 정렬도 아니고 팀별 정렬도 아닌 무근본 정렬[3] 이었으나, 나무위키에서는 알파벳 순으로 정리한다.
3.2.1. CBLOL
- 롤드컵 2018 참가팀 소속: 4명
- KBM 소속: dyNquedo, Ranger, Riyev, Titan
- 2019 서머 2부 강등팀 소속: 4명
- RED 소속: Annny, Cabu, LEP, Sacy
3.2.2. CLS
- 롤드컵 2018 참가팀 소속: 4명
- KLG 소속: Fix, Nate, Plugo, Tierwulf
- 2019 Liga Latinoamericana Opening Season 비참가팀 소속: 8명
- DH 소속: Hazard
- EVV 소속: Zeicro
- HAF 소속: Badmilk
- LGT 소속: Helior, Kimi
- RBT 소속: Rakyz, Shadow, Wara
3.2.3. LCL
- 롤드컵 2018 참가팀 소속: 5명
- GMB 소속: Diamondprox, Edward, Kira, Lodik, PvPStejos
3.2.4. LJL
- 롤드컵 2018 참가팀 소속: 5명
- DFM 소속: Ceros, Evi, Steal, viviD, Yutapon
3.2.5. LLN
- 롤드컵 2018 참가팀 소속: 3명
- INF 소속: Arce, Cotopaco, Relic
- 2019 Liga Latinoamericana Opening Season 비참가팀 소속: 7명
- 6SN 소속: DCStar, jer0m
- D9 소속: Grell, Zeypher
- GG 소속: Nobody, Porky
- ZTG 소속: Fenec
3.2.6. OPL
- 롤드컵 2018 참가팀 소속: 4명
- DW 소속: BioPanther, k1ng, Shernfire, Triple
3.2.7. TCL
- 롤드컵 2018 참가팀 소속: 4명
- SUP 소속: fabFabulous, GBM, Stomaged, Zeitnot
4. 투표 결과
여기서는 2위까지의 투표 결과만을 표기하고, 개인 문제나 공약 이행을 위해 출전을 고사해 다른 선수에게 출전권이 돌아간 경우에 대해서는 각주 표기한다.
5. 이모저모
투표 개시 후 4일이 지난 10월 22일에 각 리그별 인기투표 1차 중간결과를 공개했는데, LCK의 경우 역시나 페이커가 압도적 1등을 달리고, 그 뒤에 뱅과 마타가 소수점 레벨의 접전을 벌이고 있었다. 그리고 이 차이는 더욱 벌어져 압도적인 득표율 차이로 페뱅듀오가 선정되었다.
사실 화력집중 이벤트가 아니었다 해도 투표 시스템 자체에 문제가 있어서 이런 경향은 어느 정도 예측이 되었는데, 1인 2표 제한인데다 2명만 올스타전에 갈 수 있다는 제한 구조가 SKT T1에게 극도로 유리한 구조이기 때문이었다. 페이커와 뱅 2명만 후보군에 올랐으므로 SKT 팬덤은 아무 고민할 필요 없이 둘 다 찍으면 되는 상황이며, T1 팬덤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았기에 2018년 한 해 동안 보여 줬던 실제 실력과 전혀 상관 없이 몰표되는 동원력은 그야말로 엄청난 수준이다. 반대로 3~4명이 후보가 된 팀의 팬들은 표가 분산되어 자연스럽게 질 수밖에 없다. 만약 1인 1표였다면 SKT 팬들이 페이커에 몰표를 줬을 것이고, 1인 3표 이상이었다면 남은 한자리를 다른 팀 선수로 채웠을 것이기에 뱅이 지금만큼의 득표율을 기록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실제로 다른 리그에서도 3명 이상 후보로 나온 경우 득표율에 손해를 본 케이스가 나오면서, 2명 제한으로 줄인 것도 문제인데 1인 2표를 행사하게 만든 것도 문제라는 등 라이엇의 시스템 자체를 비판하는 의견이 전세계적으로 제기되었다.
[1] 개별 인기투표를 시행하는 LPL/LMS/VCS/SEA 4개 리그는 여기에서 빠진다.[2] 이 때문에 2019년 1차 스플릿 기준으로 2부 리그로 강등된 팀의 선수들이나, 프랜차이즈 탈락 또는 팀 해체 등으로 후보 등록일 기준 소속팀이 없는 선수라도 올스타 대상에 포함될 수 있었다.[3] 갬빗 5명이 최상단에 올라오고 나머지가 무작위로 섞여 있었다. [4] 출전 고사하여 같은 팀 Broxah가 출전[5] 비자를 받지 못해 같은 팀 Arce가 출전[6] 출전 고사하여 아방가르드의 Pabu가 출전[7] 출전 고사하여 로얄 밴디츠의 Dumbledoge가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