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산

 




[image]
'''가야산'''
伽倻山
Gayasan

}}}

'''위치'''
[image] '''경상북도 성주군'''
[image] '''경상남도 합천군
경상남도 거창군'''
'''높이'''
'''1,433m (칠불봉)'''
'''산맥'''
'''소백산맥'''
'''좌표'''
'''북위 35° 49′ 20″'''
'''동경 128° 07′ 05″'''
'''면적'''
'''76.256㎢ '''
'''위성사진'''
[image]
'''가야산 국립공원'''
'''지정일'''
'''1972년 10월 13일 (9호)'''
'''관리주체'''

'''사무소'''
'''경남 합천군 가야면 가야산로 1200'''(야천리 886번지)
055) 930-8000
'''깃대종'''
[image]

[image]
가야산은분취
'''홈페이지'''
실시간 탐방통제정보

1. 개요
2. 경상남도의 산
2.1. 개요
2.2. 탐방
2.2.1. 오는 길
2.2.2. 주요 탐방 코스
2.2.2.1. 해인사 코스
2.2.2.2. 가야산 소리길 코스
2.2.2.3. 만물상 코스
3. 충청남도의 산
3.1. 개요
3.2. 주요 명소
3.3. 여담
4. 전라남도의 산


1. 개요


대한민국에 자리한 산으로, 전국에 여러 곳이 존재하는데, 그 중 대표적인 곳은 아래의 경상남도충청남도의 산들이다.

2. 경상남도의 산



2.1. 개요


경상북도 성주군경상남도 합천군, 거창군에 걸쳐 있는 으로 1972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높이는 1,433m이다. 삼국시대 부터 신성한 산으로 여겨져서 우두산(牛頭山)이라 불렸고 가야의 산신제 때는 소를 제물로 바쳤다는 기록이 전한다. 신라에 편입된 뒤에도 국가에서 제사를 지낸 전국의 명산대천 가운데 하나였다.
다만, '''2007년까지만 해도 접근성이 극히 불량'''할 정도로 말 그대로 오지였지만, 옆으로 중부내륙고속도로가 개통되고, '죽음의 도로'로 악명이 높았던 옛 88올림픽 고속도로가 확장되면서 광주대구고속도로가 된 지금은 접근성이 매우 좋은 편이다. 부산에서는 2시간 내외, 창원에서는 1시간 30분 내외, 대구에서는 30분이면 들머리로 가장 인기있는 백운동 주차장에 도달할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수도권이나 충청권에서의 접근성은 성주부터 국도 고갯길을 넘거나 고속도로를 이용해도 한참 우회해야 해서 여전히 어려운 편이다.

2.2. 탐방



2.2.1. 오는 길


각 코스별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해인사로 들어서는 루트 기준으로 설명하면, 각 지역별로 다소 차이가 있긴 하지만, 권역별로 루트롤 보면, 다음과 같다. 다만 어디서 오든 북쪽의 경우, 중부내륙고속도로 성주IC-33번 국도(성주군 수륜면 수륜교차로까지[1])-59번 국도의 험한 고갯길을 이용[2]해야 하며, 남쪽에서 오는 경우는 광주대구고속도로 해인사IC-1084번 지방도-59번 국도를 이용해야 한다.
  1. 수도권 : 경부고속도로 또는 영동고속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 성주IC
2. 강원도&충청북도(북부 지역)&경상북도(단, 대구광역시 근교와 동해안 남부(포항시, 경주시) 지역들은 제외한다.) : 영동고속도로 또는 평택제천고속도로(충청북도 북부 지역)-중앙고속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광주대구고속도로 해인사IC
3. 충청도(단, 충청북도 북부 지역은 제외) : 경부고속도로/당진영덕고속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 성주IC[3]
4. 전라북도 : 새만금포항고속도로(익산-장수 구간)-통영대전고속도로-광주대구고속도로 해인사IC
5. 광주, 전라남도, 경상남도 북서부(거창군, 함양군) : 호남고속도로/순천완주고속도로-광주대구고속도로 해인사IC
6. 대구-경상북도(대구광역시 근교 & 포항시, 경주시) : (새만금포항고속도로(대구-포항 구간) 및 경부고속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광주대구고속도로 해인사IC
7. 부산, 울산 : 경부고속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광주대구고속도로 해인사IC
8. 경상남도 : 남해고속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4]/통영대전고속도로[5]-광주대구고속도로 해인사IC

2.2.2. 주요 탐방 코스



2.2.2.1. 해인사 코스

해인사에서 시작해 상왕봉(정상)과 우두봉을 오르는 코스. 과거에는 가장 산객들이 많이 찾던 가야산의 대표코스였다. 해인사와 장경각을 같이 둘러 볼 수 있으며 난이도도 높지 않다.

2.2.2.2. 가야산 소리길 코스

등로라기 보다는 평탄한 산책로에 가깝다. 가야산을 대표하는 계곡인 홍류동 계곡을 따라 나 있는 평탄한 숲길이다. 소리길이란 이름은 걷는 내내 계곡의 물 소리를 들을 수 있기 때문에 붙은 것이다.

2.2.2.3. 만물상 코스

가야산은 영남 지방에서 쉬 보기 힘든 암산이다. 만물상은 기암괴석의 전시장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수많은 암릉이 펼쳐진 가야산의 대표적인 능선이지만....안전사고 위험으로 인해 1972년 가야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출입이 금지되었다. 2010년, 데크와 계단, 난간등의 안전 시설을 완비한 후 개방했으며 이후 가야산의 대표적인 코스가 되었다.
설악산 공룡 능선의 축소판이라고 불릴 정도로 난이도가 높지만[6][7] 기암괴석과 수목이 어우러진 풍광도 설악산 부럽지 않은 수준이라 많은 탐방객이 찾고 있다.
다만, 초반부터 심하게 올려치기 때문에 체력 안배가 중요하며 능선에 그늘이 거의 없으므로 등산 경험이 많지 않은 이라면 한여름이나 한겨울 탐방은 피하는 것이 좋다.

3. 충청남도의 산



3.1. 개요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과 예산군 덕산면에 걸쳐 있는 산[8]이다. 높이는 678m이다.
능선의 가장 아래 쪽으로는 45번 국도가 지나간다.

3.2. 주요 명소


산 경계에 위치해 있는 예산군과 서산시 양 쪽으로 명소들이 많다.
예산군 쪽에는 흥선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가 위치하며, 경기도 연천(혹은 광주)에서 충청도 덕산까지 남연군의 운구 이장에 사용했던 상여가 옆 보호각 내부에 자리하고 있다.[9] 또한, 능선 남동쪽에는 덕산온천예산 윤봉길 의사 유적(사적 229호)가 있다.
서산시 쪽에는 '백제의 미소'라 불리우는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국보 84호)이 가야산 능선 북쪽에 있으며, 주변에 보원사지(사적 316호)와 개심사, 해미읍성(사적 116호)가 자리하고 있다.

3.3. 여담


서산시 해미면에 자리한 '''한서대학교'''와 해미중학교의 교가와 '''제20전투비행단'''의 단가에 등장하는 산이다. 다만, 이들 세 곳 중에서 가야산과 가장 가까운 쪽은 한서대학교(...).

4. 전라남도의 산


전라남도 광양시 중마동광영동에 걸쳐 있는 산으로, 높이는 497m이다. 임진왜란의 와중에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이 곳 일대에서 명나라 수군과 연합해 왜적들을 무찔렸다고 한다.
광양시 중심지의 뒷산이라 시민들이 많이 찾는 곳이며, 암벽장도 있어서 호남 지역의 산악인들이 많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주변에는 광양제철소태인도의 광양 시식지(영모제)가 있다. 날씨가 맑으면, 정상부에서 지리산 천왕봉이 보인다고 한다.

[1] 그나마 최근에 4차로로 확장되었다. 이전에는 좁은 도로였다.[2] 그 고갯길 중간에 최근 뜨로 있는 백운동 지구가 있다.[3] 또는 대전에서 통영대전고속도로-광주대구고속도로 해인사IC를 이용해서 갈 수 있다.[4] 창원시를 중심으로 한 중·동부 지역.[5] 진주시를 중심으로 한 서남부 지역 및 거제시 지역.[6] 일단 초반에 올려치는 경사가 대단하며 상아덤에 도달할 때까지 오르내림이 계속된다. [7] 백운동 기점에서 서성재까지는 길이 두 갈래 있다. 하나는 만물상을 거치는 능선길이고 다른 하나는 서성재까지의 골짜기 길(용기골 코스)이다. 만물상 길은 초반 길이 경사가 심해 쉬이 지칠 수 있으니, 서성재까지는 골짜기 길로 올라간 다음 만물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권한다. 서성재에서부터 칠불봉과 상왕봉의 정상 코스도 가능하다. [8] 정상부에 해당되며, 능선을 따라서는 서산시 운산면과 예산군 봉산면까지 얽혀있다.[9]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31호로 지정된 '남은들상여'는 원래 이장하는 데 마지막으로 도움을 뒀던 덕산면 광천리 남은들마을에 흥선대원군이 기증을 해서 마을 주민들이 사용하다가 1960년대 이후에 보호각을 짓고 관리하고 있었다가 2005년에 상당수 장식품들이 도난을 당했다가 회수한 이후에는 학술 연구 및 관리를 위해서 진품은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이전을 했으며, 예산에는 인간문화재들의 솜씨로 재현한 복제품을 옮겨놓아 남연군 묘 앞에 새로 상여집(보호각)을 지어서 보존하고 있다.관련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