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중학교
舊制中學校
1. 개요
메이지 유신 이후 2차대전 패전 이전까지 일본 제국의 본토와 각 식민지에 설치되어 있던 5년제 중등교육기관[1] 을 말한다. 현재의 남자중학교와 남자고등학교에 해당된다.
2차대전 패전 후 6년제로 유지되다가 1951년 폐지되어 중학교(3) + 고등학교(3)으로 재편됐다. 여학교는 중학교라 부르지 않고 고등여학교라 불렸다. 중학교를 졸업하면 구제고등학교, 구제전문학교, 구제대학 전문부, 구제대학 예과에 진학할 수 있었다.
[2]
2. 상세
당시 조선반도에는 전국 각지의 거점 도시지역에 일본인을 위한 중학교가 설립되었으며(대표적인 예가 경성중학교(현 서울고등학교), 대구중학교(현 대구중학교), 광주중학교(현 광주고등학교)[3] 조선인에게는 입학이 허락되지 않았고 대신 격을 낮춘 고등보통학교를 세워 입학시켰다. 당시 중앙, 휘문, 양정, 보성 등의 사립학교들도 마찬가지로 중학교로 인정되지 못하고 고등보통학교 체제로 운영되다가, 1938년 <조선교육령>이 개정되면서 이른바 <내선일체>를 취지로 전국의 고등보통학교를 중학교화 하였다. 해방 후인 1946년 군정청하에서 6년제 중학교로 개편되었다가 1951년 학제 개혁으로 각각 3학년의 신제중학교와 신제고등학교로 분리 개편되었다.
당시 과목은 1, 2학년 때 수신, 국어 및 한문, 외국어[4] , 역사, 지리, 수학, 박물, 도화, 창가, 체조 10과목이었고, 3학년에서 창가가 빠지는 대신 물리 및 화학이 추가되고 4학년에는 실업이 추가돼 11과목이었다가 5학년에서 박물이 빠지고 법제와 경제가 추가되었다. 당시의 박물은 현재의 생명과학과 지구과학이었다. 조선어는 수의과목이었다.
3. 목록
'공립'이란 단어가 없으면 사립학교이다. 고보였던 학교는 #표시. 목록출처는 일어위백.
3.1. 경기도
- 경기공립중학교#
경성고등보통학교(1911년 개교) →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로 개칭(1921년[5] ) → 경기공립중학교 (1938년) → 경기중학교&경기고등학교로 분리(1951년) → 경기중학교 폐교(1971년[A] )
3.2. 강원도
- 춘천공립중학교#
- 철원공립중학교
- 금강공립중학교
3.3. 충청북도
3.4. 충청남도
3.5. 전라북도
3.6. 전라남도
3.7. 경상북도
3.8. 경상남도
3.9. 황해도
- 해주동공립중학교#
- 해주서공립중학교
- 안악공립중학교
3.10. 평안남도
3.11. 평안북도
- 신의주공립중학교
- 신의주동공립중학교#
- 강계공립중학교
- 오산중학교#
- 평안중학교
- 선천중학교
3.12. 함경남도
- 원산공립중학교
- 함흥공립중학교
- 함남공립중학교#
- 북청공립중학교
- 함흥일출중학교(←영생중학교)# :
3.13. 함경북도
- 나남공립중학교
- 경성(鏡城)공립중학교#
- 청진공립중학교
- 나진공립중학교
- 성진공립중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