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고등여학교

 



舊制高等女學校


1. 소개


메이지 유신 이후 2차대전 패전 이전까지 일본 제국의 본토와 각 식민지에 설치되어 있던,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중등교육기관을 말한다. 현재의 여자중학교여자고등학교에 해당된다.
본래 고등여학교는 일본인을 위한 학교였고, 조선인을 위한 학교로는 '''여자고등보통학교'''가 따로 있었으나[1], 1938년 양자 모두 고등여학교로 통일시켰다.
당시 과목은 1, 2학년 때 수신, 국어 및 한문, 외국어[2], 역사, 지리, 수학, 박물, 도화, 창가, 체조 10과목이었고, 3학년에서 창가가 빠지는 대신 물리 및 화학이 추가되고 4학년에는 실업이 추가돼 11과목이었다가 5학년에서 박물이 빠지고 법제와 경제가 추가되었다. 당시의 박물은 현재의 생명과학과 지구과학이었다. 여기에 구제고등여학교는 가정 과목이 추가돼 11~12과목이었다. 조선어는 수의과목이었다.
연령대는 보통 13~14세였으나, 늦게 들어간 경우도 많아 16, 17살에 1학년인 경우도 은근 많았다.

2. 목록


'공립'이란 단어가 없으면 사립학교이다. 여자고보였던 학교는 #표시. 목록출처는 일어위백.

2.1. 경기도



2.1.1. 경성부


  • 경성제1공립고등여학교
  • 경성제2공립고등여학교: 現 수도여자고등학교. 수도여자중학교도 있었으나 폐교되었다.
  • 경성제3공립고등여학교: 現 창덕여자중학교, 창덕여자고등학교.
  • 경성무학공립고등여학교: 現 무학중학교, 무학여자고등학교. 무학중은 본래 무학여자중학교였으나, 남녀공학으로 전환되었다.
  • 경기공립고등여학교# : 現 경기여자고등학교. 경기여자중학교도 있었으나 중학교 입시 폐지와 함께 폐교되었다. 평준화 이전 경기여중고는 한국 최고의 명문학교였고, 공부 잘 하는 여학생은 경기여중고를 거쳐 서울대학교로 진학하는 게 당연한 코스였다. 이것을 KS#s-3마크라고도 했다. (남학생은 경기중학교-경기고등학교-서울대학교)
  • 용곡고등여학교
  • 진명고등여학교#: 現 진명여자고등학교. 진명여자중학교도 있었으나 폐교되었다.
  • 숙명고등여학교#: 現 숙명여자중학교, 숙명여자고등학교. 본래 숙명여자대학교와 함께 숙명학원에 속해 있었으나, 숙명여중고는 2013년 명신여학원이라는 재단으로 독립했다.
  • 이화고등여학교#: 現 이화여자고등학교. 본래 이화여자중학교도 있었으나 중학교 입시 폐지와 함께 폐교되었다. 이화학당으로 시작, 1943년에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의 재단(학교법인 이화학원)[3]이화여자전문학교의 재단(학교법인 이화학당)[4]이 분리되었다.
  • 배화고등여학교: 現 배화여자중학교, 배화여자고등학교. 배화여자대학교는 1978년에 개교되었다.
  • 동덕고등여학교: 現 동덕여자중학교, 동덕여자고등학교. 동덕여자대학교는 1950년에 개교되었다.

2.2. 강원도


  • 춘천공립고등여학교
  • 철원공립고등여학교[5]
  • 강릉공립고등여학교

2.3. 충청북도



2.4. 충청남도


  • 대전공립고등여학교
  • 대동공립고등여학교#[6]
  • 조치원공립고등여학교
  • 강경공립고등여학교[7]

2.5. 전라북도



2.6. 전라남도



2.7. 경상북도


  • 대구공립고등여학교[8]
  • 경북공립고등여학교#
  • 김천공립고등여학교
  • 포항공립고등여학교
  • 안동공립고등여학교

2.8. 경상남도



2.9. 황해도


  • 해주욱정(旭町)공립고등여학교
  • 해주행정(幸町)공립고등여학교#
  • 사리원공립고등여학교
  • 겸이포공립고등여학교
  • 안악공립고등여학교

2.10. 평안남도


  • 평양공립고등여학교
  • 평양서문(西門)공립고등여학교#
  • 진남포공립고등여학교
  • 순천공립고등여학교
  • 정의고등여학교(평양)[9]

2.11. 평안북도


  • 신의주공립고등여학교
  • 신의주남(南)공립고등여학교#
  • 정주공립고등여학교

2.12. 함경남도


  • 함흥공립고등여학교
  • 함남공립고등여학교#
  • 흥남공립고등여학교
  • 원산공립고등여학교
  • 루씨고등여학교(원산)[10][11]
  • 영생고등여학교(함흥)[12][13]

2.13. 함경북도


  • 청진공립고등여학교
  • 나남공립고등여학교
  • 나남동(東)공립고등여학교#
  • 회령공립고등여학교
  • 성진공립고등여학교
  • 나진공립고등여학교

[1] 고등보통학교 문서 참조.[2]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3] 이화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팔렬중학교, 팔렬고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4] 이화여자대학교, 이대부속유치원, 이대부속초등학교, 이대부중, 이대부고, 이대병설영란여중, 이대병설미디어고를 운영하고 있다.[5] 지금의 철원여자고등학교는 공립이긴 한데 1945~1950년 사이에 철원 땅이 소련군정북한 치하를 겪으면서 역사가 단절되어버렸고, 1979년에 새로 개교한 학교다. 그리고 위치도 철원읍이 아닌 동송읍에 있다.[6] 일어위백에는 대전여고가 대전고등여학교의 후신으로 되어있다.[7] 구 고등여학교가 남녀공학으로 전환(1992.03)한 흔치 않은 사례[8] 다른 고녀들과는 달리 3년제 대구여자중학교(교명변경:1946년 2월) → 남녀공학{대구일중학교}(2002년 3월) 테크를 탄 경우[9] 일제 말에는 남산(南山)고등여학교로 잠시 개명되기도 한다.[10] 본래 미국인 개신교 선교사가 세운 사립 미션스쿨이었으나, 일제 말에는 공립으로 몰수되어 원산항(港)공립고등여학교로 변신당했다.[11] 소설 상록수의 여주인공 '채영신'의 모델이 된 최용신 선생, 박정희의 내연녀였던 이현란 등이 루씨고등여학교 출신이다.[12] 일제 말에는 함흥일출(日出)고등여학교로 변신당했다.[13] 조선어학회 사건과 관련이 있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