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전문학교

 


1. 개요
6. 고등수산학교
6.1. 관립
8. 한반도에 위치한 학교의 목록
8.1. 관립[1]
8.2. 공립
8.3. 사립
9. 하위 문서


1. 개요


전문-학교(專門學校)

2. 교육 일제 강점기에, 중등학교 졸업생에게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을 가르치던 학교. ≒전문8.

구제전문학교(舊制專門學校)란 당시 일본 제국에서 공포된 전문학교령(專門學校令)에 의거하여 설립된 고등교육기관을 일컫는다. 일본 내지는 물론 외지 조선대만, 관동주에 널리 설치되었다. 1920년대 이전까지 일본제국은 사립대학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소케이와 같이 일본의 오래된 사립대학들은 당시 모두 구제대학이 아닌 전문학교의 지위였다. 일본에서도 최초로 사립대학이 인가된 것이 1920년 2월 5일이다.[2]
조선에 설립된 전문학교로는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1905년 개교/1921년 인가)나 연세대학교의 전신 중 하나인 연희전문학교(1915년 개교/1917년 인가)[3] 등이 대표적이다.[4]
일제강점기에 전문학교는 대개 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나서 들어가는 학교였다.[5] 당시 전문학교를 졸업해도 공식 학위는 없었으며 구제전문학교의 졸업증을 가지고 구제대학 본과로 편입해야 했었다. 혹은 구제대학예과를 거쳐 해당 대학 본과로 진학하거나, 구제고등학교에 입학해서 제국대학에 진학하여 학사 학위를 받는 것도 가능했다.[6] 그래서 일제시대 조선에서는 경성제국대학이 '''유일한 대학'''이자 최고 학부로서 기능하였다.
한편, 1952년 교육법 시행령이 제정되면서 문교부에서는 구제전문학교 졸업자들의 대학원 입학을 불허했다. 대학 졸업자와 동등한 자격은 줄 수 없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7]
참고로 구제전문학교에는 대학 승격 이전의 게이오기주쿠와세다대학의 전신인 도쿄전문학교처럼 여러분야의 학과로 구성된 학교도 있었던 반면, 의학전문학교, 약학전문학교, 고등공업학교, 고등상업학교, 고등사범학교, 고등농림학교, 고등수산학교처럼 전문 분야로 특화된 학교도 있었다.
구제전문학교는 일본 본토, 외지를 가리지 않고 설치되었으며, 그 수는 수백개에 달한다. 각 전문학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신 대학의 페이지를 참고할 것. 사립보다는 공립, 공립보다는 관립을 상급으로 쳤으며 관립 구제전문학교 중 최상급 학교들은 관립대학의 모체가 되기도 했다. 항목 참조.


2. 의학전문학교



3. 고등공업학교



4. 고등상업학교



5. 고등농림학교



6. 고등수산학교



6.1. 관립


  • 하코다테고등수산학교(1935년)[8] : 현 홋카이도대학 수산학부.
  • 조선총독부 부산고등수산학교(1941년)[9] : 현 대한민국 부경대학교일본 수산대학교[10]

7. 고등사범학교


사범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기관이었던 고등사범학교는 구제전문학교의 근거법령인 전문학교령(1903년)에 의거해 설립된 교육기관이 아니라 사범학교령(1886년)과 사범교육령(1897년)의 해석과 실행을 통해 설립 운영되었기 때문에 엄밀하게 따지면 구제전문학교는 아니었으나 구제전문학교에 상응하는 교육기관으로 쳤다(상세내용 항목 참조)

8. 한반도에 위치한 학교의 목록



8.1. 관립[11]


'''명칭'''
'''후신'''
'''인가연도'''[12]
'''소재지'''
경성의학전문학교
(京城醫學專門學校)

1916[13]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65 (연건동)[14]
경성고등공업학교
(京城高等工業學校)

1916[15]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86 (동숭동)[16]
수원고등농림학교
(水原高等農林學校)

1918[17]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로 166 (서둔동)[18]
경성법학전문학교
(京城法學專門學校)

1922[19]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64 (동숭동)[20]
경성고등상업학교
(京城高等商業學校)

1922[21]
서울특별시 성북구 월곡로 36 (종암동)[22]
경성광산전문학교
(京城鑛山專門學校)

1939[23]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로 232 (공릉동)[24]
부산고등수산학교
(釜山高等水産學校)

1941[25]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 (대연동)[26]
평양공업전문학교
(平壤工業專門學校)


1944[27]
평양직할시 중구역 보통문인근[28]
대구농업전문학교
(大邱農業專門學校)

1944[29]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310 (수성동2가)[30]

8.2. 공립


'''명칭'''
'''후신'''
'''인가연도'''[31]
'''소재지'''
평양의학전문학교
(平壤醫學專門學校)

평양의학대학
1933[32]
평양직할시 중구역 동흥동
대구의학전문학교
(大邱醫學專門學校)

1933[33]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 680 (동인동2가)[34]
함흥의학전문학교
(咸興醫學專門學校)
함흥의학대학
1944[35]
함경남도 함흥시 이화동
광주의학전문학교
(光州醫學專門學校)

1944[36]
광주광역시 남구 백서로 13 (양림동)[37]

8.3. 사립


'''명칭'''
'''후신'''
'''인가연도'''[38]
'''소재지'''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세브란스醫學專門學校)

1917[39]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0 (남대문로5가)[40]
연희전문학교
(延禧專門學校)

1917[41]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신촌동)
보성전문학교
(普成專門學校)

1921[42]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안암동5가)[43]
숭실전문학교
(崇實專門學校)

1925[44]
평양직할시 중구역 보통문 인근[45]
이화여자전문학교
(梨花女子專門學校)

1925[46]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대현동)[47]
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
(京城齒科醫學專門學校)

1929[48]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39 (남대문로3가)[49]
경성약학전문학교
(京城藥學專門學校)

1930[50]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39길 40 (을지로6가)[51]
혜화전문학교
(惠化專門學校)

1930[52]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로 63 (명륜1가)[53]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
(京城女子醫學專門學校)

1938[54]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265 (명륜2가)[55]
숙명여자전문학교
(淑明女子專門學校)

1938[56]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47길 100 (청파동2가)[57]
대동공업전문학교
(大東工業專門學校)

[image] 김책공업종합대학
1939[58]
평양직할시 중구역 보통문인근
명륜전문학교
(明倫專門學校)

1939[59]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 (명륜3가)[60]

9. 하위 문서


[1] 조선총독부제학교관제(1944.4.6) 참조.[2] 당시 전문학교였던 와세다대학게이오기주쿠대학이 사립대학으로 승격.[3] 연세대학교에서는 개교 연도를 1885년이라고 주장하는데, 이는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의 전신인 제중원의 설립일자까지 거슬러 올라간 것이다. 참고로 세브란스의전은 연희전문학교와 같은 해인 1917년에 전문학교로 인가받았다. 자세한 내용은 제중원 문서 참고.[4] 일본 내지에서도 와세다대학, 게이오기주쿠대학 같은 학교들은 당시 전문학교의 지위를 갖고 있었고 1920년대에 들어서야 대학으로 승격되었다. 일본의 대학령 자체가 1919년 이전까지는 사립대학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개정 대학령에 의거하더라도 재정조건 등 구제대학의 요건이 워낙 까다로웠기 때문에 조선에서는 1945년 종전까지 사립대학이 단 한 곳도 승격하지 못했다. 경성제국대학을 설립한 조선총독부는 비록 제국대학이긴 했지만 법문학부와 의학부 2개 학부로만 구성된 경성제대가 조선총독부 전체 교육예산의 1/3~1/2 가량을 소비하는 데 경악했고, 이 때문에 1920년대 후반으로 계획했던 이공학부의 설치는 10년 이상 지연되었으며, 같이 계획했던 농학부 설치는 1945년 종전 때까지 이뤄지지 못했을 정도다. 그만큼 대학이라는 게 당시 기준에 따르면 고급 교육기관이었으며 설치와 유지를 위해 엄청난 비용이 들었던 것이다.[5] 1938년부터는 고등보통학교구제중학교로 인정.[6] 현준혁이 바로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 예과에 입학하여 경성제국대학으로 진학했다. 다만 이 테크는 고등보통학교 졸업 후 바로 진학하는 루트보다 졸업때까지 시간이 훨씬 오래 걸리므로 생활을 지탱할 만한 물질적 여유가 있어야만 가능.[7] # 참고. 이전 교육법 시행령에는 구제전문학교 졸업자를 전문대학 졸업자와 동등한 자격쯤으로 인정하고 있었는데 이를 인정하지 않은 것. 다만 당시에는 전문대과정이란게 없었고 일본 내 제국대학에 전문부라는 과정이 존재했는데 이는 대학 예과나 구제고등학교와 동일한 과정이었다.[8] 삿포로농학교가 전신으로 도호쿠제국대학 농과대학 (부설) 수산학과와 홋카이도제국대학 부속 수산전문부를 거쳐 1935년 하코다테고등수산학교로 분리독립. 1944년 하코다테수산전문학교.[9] 수업연한 4년에 어로학과, 제조학과, 양식학과 3개과로 구성. 1944년 부산수산전문학교로 개칭되고 1945년 4월 수업연한 5년의 원양어업과를 설치[10] 부산고등수산학교의 일본인 재학생들을 도쿄 수산강습소(현 도쿄해양대학)로 전학시키던 농림성은 부산과 연계가 강하고 수산업과 해운업이 성행한 지역이면서 일본인 학생 상당수가 해당지역 출신이라는 점에 착안해 시모노세키에 1946년 수산강습소 시모노세키 분소를 설치했으며 1947년에는 도쿄의 수산강습소를 제1수산강습소로 삼고 시모노세키 분소를 제2수산강습소로 승격시켰다. 제1수산강습소는 1949년 도쿄수산대학으로 승격했으나 1950년 신제대학 전환심사에 통과한 제2수산강습소는 야마구치대학 수산학부가 되라는 문부성의 방침을 거부하고 농림성 소속으로 계속 남아있다가 1963년 수산대학교가 되었다.[11] 조선총독부제학교관제(1944.4.6) 참조.[12] 전문학교령에 따른 구제전문학교로 인가를 받은 연도[13] 1899년 대한제국 관립의학교로 설립되었으며, 1909년 대한의원 의육부, 1910년 조선총독부의원 부속 의학강습소를 거쳐 1916년 경성의학전문학교가 되었다. 해방 이후 1946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으로 개편될 때 의과대학 전문부로 흡수되었다. 참조.[14] 현재 KT 혜화타워 및 홍익대학교 대학로캠퍼스 자리이다.[15] 1899년 대한제국 한국상공학교로 설립되었으며, 1904년 농상공학교가 되었다. 1907년 농상공학교 공과가 경성공업전습소가 되었으며, 1916년에 경성고등공업학교로 승격되었다. 1944년 경성공업전문학교가 되었고, 해방 이후 1946년 서울대학교에 흡수되었다.[16]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자리이다.[17] 1904년 대한제국 농상공학교로 설립되었으며, 이 중 농과가 1906년 농림학교로 독립하였다. 1910년 조선총독부 농림학교가 되었으며, 1918년 수원농림전문학교로 승격했다. 1922년에 수원고등농림학교로 개칭하였으나 1944년 다시 수원농림전문학교가 되었고, 해방 이후 1946년 수원농과대학으로 개편되었다가 서울대학교에 흡수되었다.[18] 현재 경기도업사이클플라자 자리이다. 2003년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이 있었다가 관악캠퍼스로 이전하였다.[19] 1895년 대한제국 법관양성소로 설립되었으며, 1909년 한성법학교로 개편되었다가 1911년 경성전수학교가 되었다. 1922년 경성법학전문학교로 승격하였고, 해방 이후 1946년 서울대학교에 흡수되었다.[20] 현재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여자중학교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 자리이다.[21] 구 한국 농상공학교에도 상업전문과가 있었으나, 개별 전문학교로 발전한 농과, 공과와 달리 상과는 일제의 상업 억제 정책으로 인해 독자적인 전문학교로 발전하지 못하고 농상공학교 폐지와 함께 모든 시설 등이 신규 설립된 선립상업학교로 이관되었다. 이와 별도로 1907년 설립된 사립 동양협회 전문학교 경성분교가 1915년 동양협회 식민전문학교 경성분교로 개칭하였고, 1918년 동양협회 경성전문학교로 독립하였다. 1920년 조선총독부, 조선은행, 남만주철도 3자가 출자한 재단법인 소속의 사립 경성고등상업학교를 거쳐 1922년 조선총독부에 인수되어 관립 경성고등상업학교가 되었다. 1944년 경성경제전문학교가 되었으며, 해방 이후 1946년 서울대학교에 흡수되었다.[22] 현재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학교 자리이다.[23] 1916년 설립된 경성고등공업학교 광산과를 모체로 하며, 1939년 경성광산전문학교로 독립하였다. 해방 이후 1946년 서울대학교에 흡수되었다.[24]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자리이다.[25] 부산고등수산학교로 설립되었으며, 1944년 부산수산전문학교로 교명이 변경 되었다. 1946년 부산대학교인문학부와 수산학부로 통합하였으나 상호간 이질감으로 다시 부산수산대학으로 결별하였고, 1961년 군사정권에 의해 다시 부산대학교와 강제 통합하였다가 1963년 부산수산대학으로 결별하였다. 1996년 부산공업대학교와 통합하여 부경대학교가 되었다.[26] 현재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자리이다.[27] 폐교된 숭실전문학교의 자산을 대동학원이 인수하여 설립한 대동공업전문학교를 모체로 하며, 1944년 조선총독부로 이관되어 관립 평양공업전문학교가 되었다. 해방 이후 1946년 평양의학전문학교와 함께 김일성종합대학을 만드는 데 모체가 되었다. 1948년 평양공업대학으로 다시 분리되었고, 1951년 김책공업종합대학으로 이름을 바꾸었다.[28] 숭실전문학교, 대동전문학교와 같은 자리이다.[29] 대구농업전문학교로 설립되었으며, 해방 이후 1946년 대구농과대학을 거쳐 1951년 경북대학교에 흡수되었다.[30] 현재 대구은행 본점 자리이다.[31] 전문학교령에 따른 구제전문학교로 인가를 받은 연도[32] 1905년 4월 동인회 파견 평양의학교가 시초로 평양동인의원 부속 의학교에사 교육이 이뤄지다가 1911년 폐교되었다. 이후 다시 자혜의원 의학강습회를 모체로 1923년 평안남도 지방비로 운영되는 도립 의학강습소가 창설되었고, 1929년부터 전개된 평양의전 설립운동 결과 1933년 예산은 도에서 지방비로 충당하되 교수진 인선 등 인사는 총독부 학무국에서 하는 공립 평양의학전문학교가 설립되었다. 해방 이후 평양의과대학이 되었다가 1946년 김일성종합대학 의학부로 흡수되었다. 1948년 평양의학대학으로 독립하으나, 2010년 다시 김일성종합대학 내의 단과대학이 되었다가 2019년 재차 독립하였다.[33] 1923년 대구자혜의원 의학강습소가 창설되어 1924년 4월 경상북도 도립 대구의학강습소를 거쳐 1929년 경상북도 도립의학강습소가 되었다. 평양의전과 함께 1933년 3월 공립 대구의학전문학교로 승격되었고, 1945년 대구의과대학이 되었으며 1951년 경북대학교에 흡수되었다.[34] 현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자리이다.[35] 2차대전에 따른 군의관 충원을 목적으로 함흥의 함남도립의원과 연계해 1944년 공립 함흥의학전문학교로 설립되었다. 해방 이후 함흥의과대학이 되었고 1960년 함흥의학대학으로 이름을 바꿨다.[36] 군의관 충원을 위해 광주의 전남도립의원과 연계하여 1944년 공립 광주의학전문학교로 설립되었다. 해방 이후 1946년 광주의과대학을 거쳐 1952년 전남대학교에 흡수되었다.[37] 현재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자리이다. 1948년 학동으로 이전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38] 전문학교령에 따른 구제전문학교로 인가를 받은 연도[39] 광혜원제중원을 모체로 하며, 1899년 제중원의학교가 되었다. 1909년 세브란스의학교에 이어 1913년 세브란스연합의학교로 개편하고, 1917년 전문학교로 인가받았다. 1942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아사히의학전문학교가 되었다가 해방 이후 세브란스의과대학으로 승격, 1957년 연희대학교와 합병하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이 되었다.[40] 현재 연세세브란스빌딩 자리이다.[41] 의과대학을 제외한 연세대학교의 직접적인 전신은 1915년 설립된 YMCA 내의 조선기독교대학이다. 1917년 연희전문학교로 인가되었으며 광복 이후인 1946년 연희대학교로 승격하였고, 1957년 세브란스의과대학과 통합하여 연세대학교가 되었다.[42] 1905년 충숙공 이용익이 보성전문학교로 설립하였으며, 1915년 조선총독부의 전문학교규칙이 시행됨에 따라 보성법률상업학교로 교명이 바뀌었다가 1921년 보성전문학교로 인가받았다. 1946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며 교명을 고려대학교로 개칭하였다.[43] 본래 이용익의 설립 당시에는 종로구 조계사 자리에 보성중학교, 보성고등학교와 함께 있었으나, 인촌 김성수가 보성전문학교만 인수한 이후 안암동5가로 확장 이전하였다.[44] 1897년 평양에서 숭실학당으로 설립되었으며, 1906년 대학부를 설치하였다. 1907년에는 합성숭실대학(대학 미인가)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나, 경술국치 이후 1925년 숭실전문학교로 인가받았다. 1938년에는 종교적인 이유로 신사 참배를 거부하고 자진 폐교하였으며, 남은 자산은 대동전문학교와 대동학원에 인수되었다. 6.25 전쟁이 끝나자 영락교회 한경직 목사 등 졸업생들과 교직원들에 의해 1954년 서울에서 재건되었다.[45] 현재 숭실대학교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369 (상도동)에 있다.[46] 1886년 세워진 이화학당을 모체로 하며 1925년 12월부 이화학당 대학부가 전문학교로 인가받아 이화전문학교로 승격되었다. 1946년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다.[47] 1935년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등과 재단이 분리되어 정동에서 신촌으로 이전하였다.[48] 1922년 경성치과의학교로 설립, 1929년 전문학교로 승격[49] 1969년까지 후신인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이 있었다가 연건동으로 이전하였고, 현재는 한국은행 부지가 되어 있다.[50] 1915년 조선약학강습소로 설립, 1930년 전문학교로 승격[51] 현재 서울시 중구 구민회관 자리이다.[52] 1906년 명진학교로 설립되었으며, 1930년 중앙불교전문학교로 승격되었다. 1940년 혜화전문학교로 개칭하였으며, 6.25 전쟁 이후 동국대학교로 승격되었다.[53] 본래 현재 서울창신초등학교 자리의 원흥사에서 개교하였으며, 명륜1가 1번지로 이전하여 보성고등보통학교 등과 함께 있었다. 해방이 되자 1947년 현재 자리인 필동으로 이전하였다. 명륜동 자리는 보성고등학교의 송파구 이전 이후 서울과학고등학교에서 사용 중이다.[54] 1928년 조선여자의학강습소로 설립되었으며, 1938년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로 인가받았다. 1948년 서울여자의과대학으로 승격, 1957년 남녀공학으로 전환하며 수도의과대학으로 개칭, 1966년 국학대학 인수합병 후 종합대학 우석대학교로 개편되었다. 우석대학교 의과대학은 1971년 학교법인 우석학원과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의 합병으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이 되었다.[55] 1991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과 부속병원이 안암동으로 이전하면서 아파트가 세워졌다.[56] 1906년 순헌황귀비 엄씨가 명신여학교로 설립하였으며, 1938년 숙명학원에서 모금운동을 통해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에 이어 숙명여자전문학교를 설립했다.[57] 명신여학교 당시에는 용동궁 자리에 있다가 1938년 이곳으로 이전하였다.[58] 폐교된 숭실전문학교의 자산을 대동학원이 인수하여 설립하였다. 1944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관립 평양공업전문학교가 되었으나, 1946년 김일성대학으로 흡수되었다. 이후 1948년 평양공업대학으로 분리되었으며, 1951년 김책공업종합대학으로 이름을 바꾸었다.[59] 1398년 조선 태조 이성계가 한양으로 천도하며 성균관으로 설립했으며, 1910년 경술국치 이후 조선총독부에 의해 경학원(經學院)이 되면서 교육기능이 폐지되고 규모도 축소되었다. 그러나 1930년 명륜학원(明倫學院)을 설립하였고, 1939년 전문학교로 승격되었다.[60] 성균관이 그대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