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행정조직/대한민국/역사
1. 개요
역대 정부의 중앙행정조직들. 중간에 조직개편이 있는 경우도 있는데, 정부조직법상의 순서만 바뀌는 경우는 생략한다. 또 동일 행정부 내에서 이름만 바뀐 경우에는 'A → B' 식으로 기술한다.
현정부 이외에는 행정각부만 기재한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정부 부처 변천사(2013. 2. 1)
2. 역대 행정각부
2.1. 이승만 정부 중앙행정조직
정부에 좌의 행정각부를 두고 부에 장관 1인을 둔다.
- 내무부
- 외무부
- 국방부
- 재무부
- 법무부
- 문교부
- 농림부
- 상공부
- 사회부
- 교통부
- 체신부
2.2. 윤보선/장면 정부 중앙행정조직
국무원의 통할하에 다음의 행정각부를 두고 부에 장관 1인을 둔다. 61년까지 이어졌다.
- 외무부
- 내무부
- 재무부
- 법무부
- 국방부
- 문교부
- 부흥부
- 농림부
- 상공부
- 보건사회부
- 교통부
- 체신부
2.3. 박정희 정부 중앙행정조직
2.3.1. 61.5 ~ 62.6
- 외무부
- 내무부
- 재무부
- 법무부
- 국방부
- 문교부
- 농림부
- 상공부
- 보건사회부
- 교통부
- 체신부
- 공보부
2.3.2. 62.6~68.7
- 외무부
- 내무부
- 재무부
- 법무부
- 국방부
- 문교부
- 농림부
- 상공부
- 보건사회부
- 교통부
- 체신부
- 공보부
- 건설부
2.3.3. 68.7~77.12
- 외무부
- 내무부
- 재무부
- 법무부
- 국방부
- 문교부
- 농림부 → 농수산부
- 상공부
- 건설부
- 보건사회부
- 교통부
- 체신부
- 문화공보부
2.3.4. 77.12~81.12
- 외무부
- 내무부
- 재무부
- 법무부
- 국방부
- 문교부
- 농수산부
- 상공부
- 동력자원부
- 건설부
- 보건사회부
- 교통부
- 체신부
- 문화공보부
2.4. 전두환 정부 중앙행정조직
2.4.1. 81.12~84.1
- 외무부
- 내무부
- 재무부
- 법무부
- 국방부
- 문교부
- 농수산부
- 상공부
- 동력자원부
- 건설부
- 보건사회부
- 노동부
- 교통부
- 체신부
- 문화공보부
- 체육부
2.4.2. 84.1~89.12
- 외무부
- 내무부
- 재무부
- 법무부
- 국방부
- 문교부
- 농수산부 → 농림수산부
- 상공부
- 동력자원부
- 건설부
- 보건사회부
- 노동부
- 교통부
- 체신부
- 문화공보부
- 체육부
2.5. 노태우 정부 중앙행정조직
- 외무부
- 내무부
- 재무부
- 법무부
- 국방부
- 문교부 → 교육부
- 문화부
- 체육부 → 체육청소년부
- 농림수산부
- 상공부
- 동력자원부
- 건설부
- 보건사회부
- 노동부
- 교통부
- 체신부
2.6. 김영삼 정부 중앙행정조직
2.6.1. 93.3~94.12
- 외무부
- 내무부
- 재무부
- 법무부
- 국방부
- 교육부
- 문화체육부
- 농림수산부
- 상공자원부
- 건설부
- 보건사회부
- 노동부
- 교통부
- 체신부
2.6.2. 94.12~96.8
- 외무부
- 내무부
- 법무부
- 국방부
- 교육부
- 문화체육부
- 농림수산부
- 통상산업부
- 정보통신부
- 환경부
- 보건복지부
- 노동부
- 건설교통부
2.6.3. 96.8~98.2
- 외무부
- 내무부
- 법무부
- 국방부
- 교육부
- 문화체육부
- 농림부
- 통상산업부
- 정보통신부
- 환경부
- 보건복지부
- 노동부
- 건설교통부
- 해양수산부
2.7. 김대중 정부 중앙행정조직
- 재정경제부
- 통일부
- 외교통상부
- 법무부
- 국방부
- 행정자치부
- 교육부
- 과학기술부
- 문화관광부
- 농림부
- 산업자원부
- 정보통신부
- 보건복지부
- 환경부
- 노동부
- 건설교통부
- 해양수산부
2.8. 노무현 정부 중앙행정조직[2]
- 재정경제부
- 교육인적자원부
- 과학기술부
- 통일부
- 외교통상부
- 법무부
- 국방부
- 행정자치부
- 문화관광부
- 농림부
- 산업자원부
- 정보통신부
- 보건복지부
- 환경부
- 노동부
- 여성부 → 여성가족부[3]
- 건설교통부
- 해양수산부
2.9. 이명박 정부 중앙행정조직
감사원은 대통령 직속기관이지만 헌법기관이기도 하다.
- 특임장관실
- G20정상회의 국민지원단
- 국가건축정책위원회
- 국가브랜드위원회
-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 국가교육과학기술 자문회의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녹색성장위원회
-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 방송통신위원회
- 지역발전위원회
- 국가원로자문회의
- 원자력안전위원회
위키 작성원칙에 따라 가나다 순으로 정리되었지만, 정부조직법에서는 행정각부의 순서를 정하고 대한민국 대통령의 유고시에 국무총리 다음으로 그 직무를 대신할 순서를 정해놓고 있다. 그럴리야 없겠지만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같은 일이 있을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정부조직법에 따른 순서는 기획재정부-교육과학기술부-외교통상부-통일부-법무부-국방부-행정안전부-문화체육관광부-농림수산식품부-지식경제부-보건복지부-환경부-고용노동부-여성가족부-국토해양부 순서이다.
줄여서 행복청. 행복청은 그 존속기간이 명시되어있지 않지만, 행정중심복합도시인 세종특별시의 건설이 완료되고 나면 당연히 사라지거나 세종특별시청에 흡수될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한시조직으로 구분된다.
2008년 폐지됨.
2.10. 박근혜 정부 개편 중앙행정조직
부총리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미래창조과학부(2위)와 교육부(3위)의 서열이 조정되었다. 기획재정부 장관은 경제부총리를 겸임하며, 교육부 장관은 사회부총리를 겸임한다.
2.11. 문재인 정부 개편 중앙행정조직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