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곡동(서울)

 



'''내곡동'''
內谷洞
Naegok-dong

}}}

'''국가'''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서초구
'''행정표준코드'''
3210057
'''관할 법정동'''
내곡동, 신원동, 염곡동
'''인구'''
18,013명[A]
'''면적'''
12.68㎢
'''세대수'''
7,305가구[A]
'''인구밀도'''
1,432.01명/㎢
'''행정복지센터'''
청계산로15길 77 (신원동 265)
내곡동 주민센터
1. 개요
2. 법정동 일람
2.1. 내곡동
2.2. 신원동
2.3. 염곡동
3. 상권
4. 교육
5. 환경
6. 주변 시설 및 문화재
7. 교통
7.1. 철도교통
7.2. 도로교통
7.3. 버스노선
8. 사건사고
9. 기타

내곡열린문화센터[1]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동부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이다. 행정동으로서의 내곡동은 법정동 내곡동신원동, 염곡동을 관할한다. 내곡동 주민센터는 청계산로 15길(신원동)에 있다[2].
과거 광주군 언주면 내곡리에서 1963년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어 서울특별시 성동구 내곡동이 되었다.[3] 1975년 강남구가 신설되어 강남구 소속이 되었다가, 1988년 강남구에서 서초구가 분리 신설되면서 현재의 서초구 내곡동에 이르렀다.
관할 법정동의 지명 유래에 대해서는 해당 문단 참조.

2. 법정동 일람


행정동 내곡동에서 관할하는 법정동에 대해 서술한다.

2.1. 내곡동


[image]
''' 內谷洞 / Naegok-dong '''
과거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의 일부로서 본촌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안골’, ‘안말’로 불리던 것이 한자로 내곡동이라 된 것이다.출처
내곡동 지역에는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서울특별시 농업기술센터, 안골마을[4], 능안마을[5], 강남서초예비군훈련장, 강동송파예비군훈련장, 헌인가구단지, 헌릉, 인릉, 그리고 '''국가정보원'''이 있다. 특히 내곡지구 아파트단지 옆에는 서울시 경계 안에서도 드문 집성촌이 자리잡고 있고, 홍씨가 많이 살아 홍씨마을이다. 참고로 행정동 내곡동의 면적은 '''중구'''와 맞먹는 크기다.
서울내곡공공주택지구의 서초 더샵 포레, 서초 포레스타 2단지가 입주하고 있다.

2.2. 신원동


[image]
''' 新院洞 / Sinwon-dong '''
조선시대 원터[6] 아래쪽에 새로 조성된 마을이므로 「새원」이라 하던 것을 한자명으로 신원동이라 한 것이다. 출처
법정동 원지동과 바로 인접해 있다.
청계산입구역과 내곡동 주민센터가 위치해 있으며, 집성촌과 본마을, 새정이마을 등 전원주택 동네가 있다.
서울내곡공공주택지구의 서초 포레스타 3/5/6/7단지와 힐스테이트 서초 젠트리스[7]가 입주하고 있다. 청계산입구역 역세권 부지에는 신축 오피스텔이 다수 들어서 있다.

2.3. 염곡동


[image]
''' 廉谷洞 / Yeomgok-dong '''
동쪽으로는 내곡동, 서쪽으로는 양재동, 남쪽으로는 신원동과 접해 있다. 구룡산이 감싸안은 염곡동은 이곳 지형이 염통(심장)과 같이 생겨서 염통골, 한자명으로 영통곡(靈通谷), 염곡동(廉谷洞)이라 하였다.
KOTRA, IPK(InvestKoreaPlaza), KOTRA종합무역정보연구센터, KOICA, 도로교통공단서울지부, 한국연구재단 서울청사, 염곡마을, 내곡느티나무쉼터[8] 등이 있다.

3. 상권


유동인구가 적고 인구밀도가 낮아 상권의 발달은 미약하다. 최소한의 인프라 정도만 갖춰져 있는 느낌이다. 내곡지구 입주 후 시간이 흐르며 점차 새로운 업종들이 하나둘씩 들어서고 있다. 청계산입구역 주변에 상가가 가장 많이 몰려 있으며 롯데리아, 수영장, 스터디카페, 호텔 등이 들어서 있다. 한적하고 전원스러운 분위기지만 서초구 아니랄까봐 의외로 스타벅스도 입점해 있어서 인근 주민들이 애용하고 있다. 영화, 백화점 등 문화생활을 본격적으로 즐기려면 대중교통을 타고 강남역/양재역이나 판교신도시로 나가야 한다. 청계산 등산로 입구 근방에는 등산객들을 끌어모으는 맛집들과 등산용품 매장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할인마트는 의외로 정말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내곡지구 내에 하나로마트가 두 곳, 할인마트가 한 곳 들어서 있고 내곡동에 속하지는 않지만 염곡사거리 인근에 이마트 양재점, 코스트코 양재점[9], 하나로마트 본점이 있어서 장 보러 갈 때는 선택지가 정말 많다.

4. 교육


언남초등학교가 염곡마을에 위치해 있었으나 내곡지구의 입주에 맞추어 교사를 서초 포레스타 단지 인근으로 신축 이전하였고 기존 부지에는 특수학교인 서울나래학교가 들어섰다. 2018년 내곡중학교가 개교하여 중학교까지는 내곡동 안에서 커버 가능하나 고등학교가 없어 중학교를 졸업하게 되면 대중교통을 타고 양재동/서초동까지 통학해야 한다.

5. 환경



6. 주변 시설 및 문화재


[image]
[image]
[image]
헌릉과 인릉
국가정보원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헌인릉이 존재하고 그 바로 옆에는 국가정보원이 위치해 있다. 그래서 요즈음에는 남산 끌려간다는 말이 무의미해졌다 보니 구룡산으로 끌려간다는 말로 바뀌었다 카더라. 국내 지도에서는 보안상 산으로 가려놓았는데, 구글어스나 해외지도에서는 위성사진에서 버젓이 나오고 있다.[10]
기타 시설로는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강남서초예비군훈련장, 강동송파예비군훈련장 등이 있다.

7. 교통



7.1. 철도교통


법정동 내곡동에는 철도가 없으며, 신원동과 원지동의 경계에 신분당선 청계산입구역이 있다.

7.2. 도로교통


분당-내곡간 도시고속화도로 내곡IC가 있다. 이를 통해 강남구판교, 분당으로 갈 수 있다. 강남구 세곡동과의 경계에 용인서울고속도로 헌릉IC가 있다.

7.3. 버스노선


내곡동 지역 노선은 헌릉로를 따라 운행한다.
  • 모든 정류소 정차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직행좌석}}}
9200
[A] A B 2021년 1월 주민등록인구[1] 내곡동 주민센터[2] 염곡동에서 2019년 7월 22일 현위치인 내곡열린문화센터 건물로 이전하였다.[3] 서초구 지역 중에서는 양재2동과 유이하게 영등포구가 아닌 성동구에 속했다.[4] 박근혜 전 대통령의 자택이 위치하고 있다.[5]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사저 매입 관련 논란이 있던 그곳이다.[6] 원지동(院趾洞)을 말한다. 다만 원지동과 신원동은 이웃해 있음에도 역사적으로 관할 고을이 달랐다(원지동은 과천군시흥군영등포구, 신원동은 광주군성동구).[7] 4단지에 해당하며 내곡지구의 유일한 민간분양 단지이다.[8] 구 내곡동 주민센터[9] 전 세계에서 코스트코 매출 '''1위''' 지점이다![10] 실제로 구글어스가 공개되었을 때 각국의 정보기관에서는 보안노출에 대하여 강한 비판을 한 적이 있지만, 구글은 아랑곳하지 않고 현재까지 서비스를 이어가고 있다. 하기사 세계 최대의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한 시가총액 5위의 초거대기업에게 '일개' 정보기관의 항의 따위는 신경쓸 거리도 아니겠지만.
9400(내곡IC)}}}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9404(내곡IC)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9408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일반}}}
500-5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8em"
간선}}}
440
45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8em"
470(서초포레스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8em"
741

  • 서초포레스타입구, 헌인릉·강남서초예비군훈련장 정차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직행좌석}}}
3002
  • 서초포레스타2단지앞/안골마을 정차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8em"
공항}}}
6600(인천공항)
  • 서초포레스타입구 정차 (용인서울고속도로 방면 편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직행좌석}}}
3007
  • 통과 노선 (용인서울고속도로 방면 편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8em"
광역급행}}}
M5422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직행좌석}}}
110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출퇴근3008

신원동 지역은 청계산로를 따라 운행한다. 청계산입구역을 경유한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지선}}}
4432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일반}}}
341
그 외 마을버스 노선이 음영지역을 보조한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서초09}}} 서초포레스타2,3단지, 서초더샵포레, 강남서초예비군훈련장, 헌인가구단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8em"
서초20}}} 서초더샵포레, 서초포레스타2,3,5,6단지, 본마을노인복지센터

8. 사건사고



9. 기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사저예정지가 위치해 있었으며 이로 인해 투기 논란이 일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박근혜 전 대통령이 구속 후 삼성동 자택을 팔고 이곳에 새로운 자택을 마련하기도 했다. 여러모로 대통령과 인연이 깊은(?) 동네이다. 하지만 결국 둘 다 감옥으로 갔다(...)
한끼줍쇼에서는 은근 야박한 동네로 나왔는데, 상기했듯 이명박근혜와 관계가 깊다보니 노린 거라는 시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