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푸티차
[image] [image]
[image] [image]
Распутица.
러시아 일대에서 벌어지는 자연현상으로 10월 초의 가을 장마철과 3월 말의 해빙기에 토양이 뻘로 변해 통행이 힘든 시기를 말한다. 슬랴카트(Слякоть)라고도 부른다.
겨울에 접어들면서 눈 대신 내리는 비로 땅이 젖으면서 한 번, 겨울이 지나간 뒤 토양이 녹으면서 또 한 번 발생하며 이후 더 추워져서 땅이 얼어붙거나, 도로 따뜻해져서 토양이 마를 때까지 이어진다. 그냥 흙이 좀 젖는 정도가 아니라 완전히 진창이니 도로를 잘 정비한 곳이 아니면 자동차는 사실상 비포장도로를 달릴 방법이 없다.[1] 심지어는 무한궤도를 장착한 군용 전차나 장갑차조차도 진흙탕에 빠지는 수준이다. 때문에 이 시기에는 차량 대신 다른 교통수단도 쓴다. 제정 러시아 때부터 러시아 지역의 교통 체계가 철도에 크게 의존한 것도 이 라스푸티차로 도로를 유지하기가 매우 어려웠기 때문이다. 철도 노반도 라스푸티차의 영향을 받지만 사전 조치로 어느 정도는 예방이 가능했다. 이런 도로 상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그냥 우회하든지, 아니면 다리를 만드는 것 뿐이다. 그래도 상술된 것처럼 전차가 못 다니는 수준은 아닌지 MT-LB 장갑차를 개조한 마을버스가 돌아다니기도 한다.
여기까지 보면 알겠지만 '''1년내내 쉬지 않고 비나 눈이 꾸준히 오는 기후'''에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 가운뎃자리에 '''f(feucht)'''가 들어가는 냉온대기후에 속하는 경우다. 북한이나 대한민국의 강원도 내륙, 중국 북부지방에서 이런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겨울~봄에 극단적으로 건조해지기 때문. 대신 도로에서 먼지가 풀풀 날린다. 2014년, 이런 도로상황을 체험할 수 있는 게임이 나왔다.
그렇다보니 러시아에서 생산되던 라다 쥐굴리, 라다 니바 같은 국민차들은 저런 라스푸티차 돌파를 위해 저속에서 풀토크가 발휘되도록 세팅된 차량들이 많으며 우아즈 헌터, 우아즈 부한카는 21세기에서도 기계식 수동변속기를 채택하고 있는 차량이다. 러시아 수출용 모델들에도 4WD는 꼭 들어간다.
[image] [image]
이 단어가 유명해지게 된 계기는 다름 아닌 독소전쟁이다. 스탈린은 1941년 여름 독일이 무솔리니의 개삽질때문에 발칸 반도로 정예 병력을 파견하자 이 라스푸티차 때문에 1941년 가을 무렵 독일이 침공을 개시할것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긴장을 풀어서 초기 독일군의 전광석화같은 진격속도를 허용하였다. 절체절명의 순간 독일군이 소련 영토 중심부로 진입해서 모스크바 공방전이 벌어질 즈음이었던 1941년 11월부터 라스푸티차로 길이 모두 엉망진창이 되어 버리면서 독일군은 공세 시기를 놓치면서 심하게 애를 먹었다. 라스푸티차는 저 악명 높은 동장군과 함께 1941년과 1942년 독일군의 조기 승전을 막아낸 일등공신이었다. 소련군에게도 라스푸티차는 힘들었겠지만, 그래도 이들에게 라스푸티차는 연례행사마냥 매년 찾아오는 일상이었기에 최소한 어느정도의 대비를 할 수는 있었다. 광폭궤도와 통나무가 대표적인 대비 수단이다. 통나무는 전차마다 달고 다니면서 전차가 빠지면 궤도에 묶어 설피처럼 사용했다. 그렇기 때문에 독일군과 달리 병력 이동과 보급이 잘 이루워졌다. 하지만 이를 생전 처음 겪은 독일군은 그야말로 혼돈의 도가니에 빠진 셈. 이때문에 독일군은 이 라스푸티차때마다 공세를 포기하고 보급도 제대로 받지 못한채 소련군과 게릴라들의 습격을 받고 큰 전력손실을 보았다.피의 기록 스탈린그라드에 따르면 사람들이 말 그대로 진흙에서 수영을 해야 했다고.
지금도 땅만 파면 독소전쟁 당시에 사용되었던 독일군과 소련군의 장비들이 튀어나온다. 2002년에 늪 속에 있는 3호 돌격포를 인양하거나 ISU-152를 끌어내서 움직일 수 있게 복원까지 한 사례도 있다.
현대 러시아에서는 라스푸티차라는 말이 거의 쓰이지 않는다. 원어 발음은 라스뿌찌짜 및 슬랴까쯔가 제일 가깝다.
[image] [image]
1. 소개
Распутица.
러시아 일대에서 벌어지는 자연현상으로 10월 초의 가을 장마철과 3월 말의 해빙기에 토양이 뻘로 변해 통행이 힘든 시기를 말한다. 슬랴카트(Слякоть)라고도 부른다.
겨울에 접어들면서 눈 대신 내리는 비로 땅이 젖으면서 한 번, 겨울이 지나간 뒤 토양이 녹으면서 또 한 번 발생하며 이후 더 추워져서 땅이 얼어붙거나, 도로 따뜻해져서 토양이 마를 때까지 이어진다. 그냥 흙이 좀 젖는 정도가 아니라 완전히 진창이니 도로를 잘 정비한 곳이 아니면 자동차는 사실상 비포장도로를 달릴 방법이 없다.[1] 심지어는 무한궤도를 장착한 군용 전차나 장갑차조차도 진흙탕에 빠지는 수준이다. 때문에 이 시기에는 차량 대신 다른 교통수단도 쓴다. 제정 러시아 때부터 러시아 지역의 교통 체계가 철도에 크게 의존한 것도 이 라스푸티차로 도로를 유지하기가 매우 어려웠기 때문이다. 철도 노반도 라스푸티차의 영향을 받지만 사전 조치로 어느 정도는 예방이 가능했다. 이런 도로 상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그냥 우회하든지, 아니면 다리를 만드는 것 뿐이다. 그래도 상술된 것처럼 전차가 못 다니는 수준은 아닌지 MT-LB 장갑차를 개조한 마을버스가 돌아다니기도 한다.
여기까지 보면 알겠지만 '''1년내내 쉬지 않고 비나 눈이 꾸준히 오는 기후'''에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 가운뎃자리에 '''f(feucht)'''가 들어가는 냉온대기후에 속하는 경우다. 북한이나 대한민국의 강원도 내륙, 중국 북부지방에서 이런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겨울~봄에 극단적으로 건조해지기 때문. 대신 도로에서 먼지가 풀풀 날린다. 2014년, 이런 도로상황을 체험할 수 있는 게임이 나왔다.
그렇다보니 러시아에서 생산되던 라다 쥐굴리, 라다 니바 같은 국민차들은 저런 라스푸티차 돌파를 위해 저속에서 풀토크가 발휘되도록 세팅된 차량들이 많으며 우아즈 헌터, 우아즈 부한카는 21세기에서도 기계식 수동변속기를 채택하고 있는 차량이다. 러시아 수출용 모델들에도 4WD는 꼭 들어간다.
2. 독소전쟁
[image] [image]
이 단어가 유명해지게 된 계기는 다름 아닌 독소전쟁이다. 스탈린은 1941년 여름 독일이 무솔리니의 개삽질때문에 발칸 반도로 정예 병력을 파견하자 이 라스푸티차 때문에 1941년 가을 무렵 독일이 침공을 개시할것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긴장을 풀어서 초기 독일군의 전광석화같은 진격속도를 허용하였다. 절체절명의 순간 독일군이 소련 영토 중심부로 진입해서 모스크바 공방전이 벌어질 즈음이었던 1941년 11월부터 라스푸티차로 길이 모두 엉망진창이 되어 버리면서 독일군은 공세 시기를 놓치면서 심하게 애를 먹었다. 라스푸티차는 저 악명 높은 동장군과 함께 1941년과 1942년 독일군의 조기 승전을 막아낸 일등공신이었다. 소련군에게도 라스푸티차는 힘들었겠지만, 그래도 이들에게 라스푸티차는 연례행사마냥 매년 찾아오는 일상이었기에 최소한 어느정도의 대비를 할 수는 있었다. 광폭궤도와 통나무가 대표적인 대비 수단이다. 통나무는 전차마다 달고 다니면서 전차가 빠지면 궤도에 묶어 설피처럼 사용했다. 그렇기 때문에 독일군과 달리 병력 이동과 보급이 잘 이루워졌다. 하지만 이를 생전 처음 겪은 독일군은 그야말로 혼돈의 도가니에 빠진 셈. 이때문에 독일군은 이 라스푸티차때마다 공세를 포기하고 보급도 제대로 받지 못한채 소련군과 게릴라들의 습격을 받고 큰 전력손실을 보았다.피의 기록 스탈린그라드에 따르면 사람들이 말 그대로 진흙에서 수영을 해야 했다고.
지금도 땅만 파면 독소전쟁 당시에 사용되었던 독일군과 소련군의 장비들이 튀어나온다. 2002년에 늪 속에 있는 3호 돌격포를 인양하거나 ISU-152를 끌어내서 움직일 수 있게 복원까지 한 사례도 있다.
3. 여담
- 언어유희로 라스푸티차를 라스푸틴의 저주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있다. 그래서 과거 만화영화 아나스타샤에서 등장하는 악독한 라스푸틴이 퍼부은 저주가 러시아 혁명이 아니고 라스푸티차 현상으로 러시아의 혈맥이 마비되는 것이라는 개그도 있을 정도...물론 라스푸티차 현상은 라스푸틴이 나타나기 훨씬 전부터 있던 러시아 특유의 자연재해이다. 라스푸ㅌ-(Распут-)하는 어근 자체가 "엉망, 난잡"이라는 의미를 가지기에, 라스푸티차는 '엉망인 도로', 라스푸틴은 '엉망인 사람'이라는 의미,혹은 "방탕도령"정도로 해석이 가능하다. 라스푸틴 문서에도 관련 내용이 있다.
- 자매품으로는 핀란드의 켈리리코(Kelirikko)나 미국 북동부 지역과 알래스카의 머드 시즌(Mud Season) 등이 있다. 이 역시 환절기에 눈이 녹으면서 길이 엉망진창인 시기를 일컫는 말이다. 핀란드의 경우 핀란드어로 10월을 뜻하는 말이 진흙의 달(lokakuu)일 정도이다.
- 대한민국의 경우 1990년대까지만 해도 국도에 비포장 구간이 많았고, 이 때문에 2월 ~ 3월 정도만 되면 국도상에서 라스푸티차가 재현되어 헬게이트가 열렸다. 특히 설날 연휴에는 고속도로 정체를 피해 국도로 차들이 많이 몰려 피해자가 속출하였다.(1:05)
- 지구상의 미개발인 지역들 중에는 사실 이런 토질을 가진 곳들이 꽤 흔하다. 한국에서도 휴전선과 인접한 전방에서 군복무를 하는 사람은 이를 체험할수 있다. 주로 큰 강을 끼고 범람을 자주 겪는 늪지대 지역들 (ex : 나일강 근처)의 경우에는 한국에서 경험할 수 없었던 극악무도한 뻘밭을 경험하게 되며, 사실상 이러한 곳들이 개발되지 못하는 이유 또한 뻘밭을 메울 막대한 자본을 투입할 이유가 없다면 굳이 개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방치되고 있는 셈. 나일강 주변의 아프리카 지역에서 개발이 진척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해당 국가에 자본이나 여유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여유가 있는 나라일지라도 굳이 이득에 비해 터무니없이 막대한 자본을 들여가며 개발을 해야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 이런 현상이 자주 일어나는 국가는 운전면허 취득 난이도가 높으며, 운전자들의 운전실력도 평균적으로 높다.
- 현재에 일반적인 평지 토지들도 인간들이 개발하기 전 과거에는 이런 저습지였던 경우가 적지않다. 독일이나 이탈리아도 지금은 멀쩡한 땅이지만 농업 개발되기 전 과거에는 저습지가 많은 땅이었다. 일본의 홋카이도나 도호쿠 지역의 평야 또한 과거에는 대부분 늪지대였다. 심지어 한국의 경우도 낙동강 하류지역과 남강 일대의 평지는 대부분 개간된 지 100년 남짓 되는 땅이다. 대표적인 곳이 함안군 북부와 창녕군 서남부 지역. 미국 플로리다 일대에도 여전히 저습지가 많고 토지 개발이 바로 그런 저습지에 촘촘하게 관개수로를 내서 토지에서 물을 빼내는 것이다. 강에서 물을 끌어대기 위한 관개수로가 아니고 물을 빼내기 위한 수로라는 점이 다르다.
-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일본의 알래스카 상륙을 막으러 북동부에서 캐나다를 관통하여 알래스카로 향하는 군사도로를 깔려 든 적이 있었다. 전쟁 초기에 일본이 한창 세력을 확장하는 데다 알류샨 방면의 섬들을 빼앗아 위협을 받았기 때문. 도로를 세울 곳에 뻘밭이 많아서 계획해둔 완성 시기를 맞출 수가 없어 문제였다. 곤란하던 차에 미 육군 공병장교 윌리엄 M. 호그 장군이 이미 로마 제국 시대에 있었던 아이디어를 되살려, 주변에 널린 통나무를 잘라와 뻘밭을 메워 가까스로 도로를 완성시킬 수 있었다. 호그 장군은 미 육군 제9군단장으로 6.25 전쟁에도 참전했다. 동부전선의 독일 육군도 피똥싸면서 이렇게 도로를 포장해서 아스팔트 포장도로를 만들었지만 소련군이 득템했다.
4. 언어별 명칭
현대 러시아에서는 라스푸티차라는 말이 거의 쓰이지 않는다. 원어 발음은 라스뿌찌짜 및 슬랴까쯔가 제일 가깝다.
[1] 도심지는 그래도 도로포장이 잘 되어있어서 라스푸티차가 와도 도로가 흙밭이 될 뿐 차가 못 다닐 정도는 아니나 시골길은 그냥 답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