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16
1. 노선 정보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36.5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예전에는 하단교차로와 동아대승학캠퍼스의 중간에 있는 에덴공원에서 출발했고 영신여객에서 운행했다.
- 2005년 경 구 하단차고지를[2] 매각하면서 엄궁으로 이전하였고 동시에 사하4번 마을버스(엄궁아파트단지~하단역)와 통합해 엄궁동 수요를 그대로 흡수하여 현재 노선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3.1. 구.사하구 4번
- 동원교통에서 운행하였으며 '하단역 - 하단교차로 - 에덴공원 - 동아대입구 - 엄궁동 - 엄궁아파트단지' 구간을 운행했다. 당시 엄궁아파트단지에서 하단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었던 덕분에 고정수요가 꽤 있었으며 중형버스로 운행했다.
- 2005년에 16번과 통폐합 되었다.
- 2008년 7월에 하단SK아파트 주민들의 대중교통 신설 민원[4] 으로 '하단SK뷰아파트 후문 - 하단SK뷰아파트 정문 - 에덴공원 - 동아대입구 - 하단교차로 - 하단역' 구간을 신설하였다. 동원교통에서 운행을 했으나 1대로 운행해 간격도 길 뿐더러 수요마저 없어 공기수송을 일삼다가 소리소문 없이 폐선되었다.
4. 특징
- 2019년 6월 초에 커뮤니티 일각에서 용화여객이 영신여객의 16번을 인수했다는 소문이 있었는데 승무원과 정비직원이 말하는 내용이었기에 신빙성이 낮다는 이유로 함구되었다. 하지만 6월 26일에 자로 정보공개포털을 통해 시내버스 사업계획 변경에 의한 일부 양도양수 문건이 올라왔으며# 6월 30일에 부산시가 제공하는 버스도착시스템에 16번 운수사가 용화로 바뀌며 소문이 사실임이 밝혀졌다. # 무슨 모종의 사유로 영신여객이 16번 노선과 차량들을 용화여객에 양도했는지는 알려진바 없으며 지나친 억측은 삼가주길 바란다.
- 16번 인수 이후 41번과 더불어 용화여객의 주력노선이 되었다. 용화여객 노선들 중에서 가장 배차간격이 좋고 인가대수가 많으며, 승객수와 운송수입금도 꽤 높다. 부산 전체에서도 꾸준히 10위 내에 들고 있다.
- 16번의 면허 중 일부는 과거 17번, 17-1번 출신이다. 게다가 한때 17번의 막장시절에 운행했던 면허들이 거기에 다 있었다.
- 이 노선도 67번과 마찬가지로 기점인 엄궁동과 종점인 구덕운동장 간 거리는 불과 6~7km로 상당히 짧은 편이지만 하단, 괴정, 감천, 송도윗길로 구불구불 돌아가는 굴곡 노선이다.
- 엄궁아파트단지에서 동아대, 하단역, 괴정역으로 유일하게 가는 노선이라[5] 하단방향으로 가는 수요가 상당히 많으며 무엇보다 반대편인 감천동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6] , 송도윗길에서도 유일하게 괴정역과 하단동,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로 가는 노선이라 수요가 상당하다. 감천에서 괴정역이나 그 근처 뉴코아아울렛까지 가는 수요까지 몰리면 가끔 버스 가득 사람을 채워 갈 때도 있다. 때문에 67번과 마찬가지로 우회노선 치고는 엄청 짧은 배차간격을 자랑한다.
-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와 서구청환승센터에서 송도윗길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감천 방면으로 운행하는 노선이기에 161번과 나란히 수요를 분담하고 있다.
- 롯데마트 엄궁점 맞은 편에서의 수요도 상당한데 아파트단지에서 하단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기에 롯데마트엄궁점에서 아파트단지로 올라가는 유일한 노선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엄궁동 롯데마트 맞은편[7] 에서 16번 버스를 보면 손에 뭔가 하나씩 쥐고 있거나 마트 포장 박스를 갖고 타는 승객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그리고 엄궁동아파트단지가 지대가 높은 관계로 이 정류소에서 환승하여 올라가는 승객들도 상당수 많다.
- 40번과 동일하게 구덕운동장을 한바퀴 돌며 회차하는 형식의 노선이다.
- 서구청 환승센터 기준 엄궁 방면으로는 수요가 매우 많지만 구덕운동장 방면으로는 수요가 많이 없는 편인데 구덕운동장에서 노선이 끊기는 것도 있지만 부민동, 동대신동, 서대신동 일대는 전형적인 주거지역이라 서구를 벗어나는 다른 노선들을 이용하기에 단거리 이용객이 적기 때문이다. 구덕운동장이 목적지인 승객들이나 서구 지역 학교 통학생들만 간간히 이용하는 편. 비슷하게 감천이나 송도윗길에서도 사상까지 이어주는 161번을 이 노선보다 더욱 선호하는 편이다.
- 가스 충전은 운행종료 후 학장동 대도운수 본사에 마련되어있는 대도에너지 CNG충전소에서 한다. 엄궁동영업소와 대도에너지 충전소와의 거리가 먼 편은 아니기에 늦은 밤 시간대에 낙동대로, 학장로와 학감대로를 질주하는 차량들을 여럿 볼 수 있다.
- 용화여객 본사 노선들 중 유일하게 41번과 충무동교차로에서 만난다. 더불어 용화여객 노선들 중에서는 최초로 사하구와 사상구로 진출한 노선이 되었다.
- 원래 이 노선은 괴정사거리에서 하단교차로 방면으로 좌회전하는 유일한 노선이었는데 2017년 4월에 3번 노선이 개통되며 유일이라는 타이틀이 사라졌다. 그러나 3번이 괴정사거리 미경유로 노선이 바뀌게 되면서 다시 유일이라는 타이틀을 이 노선이 가져갔다.
4.1. 차종
- 예전에는 현대차량 일색이었으나 자일대우상용차가 부산 향토기업이라는 이유로 2006~2009년에 부산시에서 대우차량 출고를 장려[8] 하여 차량들의 대차시기였던 2008년에 예비차량을 제외한 모든 차량이 대우차량으로 대차되었다. 현대차량에 익숙했던 16번의 승무원들/엄궁영업소 정비사들 사이에서는 당연히 불만이 터져나왔고 2014년부터 다시 현대차량을 투입하고 있다.
- 영신여객 시절 16번과 상반되게 대우차량 일색이었던 17번도 2011년부터 사실상 현대차량으로 돌아선 상태다. 2014년에 자사노선 161번에 자일대우 NEW BS106을 1대 뽑았으나, 그 이후부터 자일대우 신차소식은 감감무소식이고, 결국 161번에 있었던 자일대우 NEW BS106은 예비차로 강등되었다.
- 2014년 161번 유로6 NEW BS106 출고 이후 요소수 문제로 크게 데여 대우차 소식이 없었던 영신여객에서 다시 대우차량을 출고하였다. 현대차량 주문이 너무 밀려서 차량 주문을 받지 않았던데다 기존 노후차량들이 연장검사에서 불합격하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2007~2008년식 구형 로얄시티가 대차되었으며, 그 NEW BS106 차량들은 특이하게 숏기어에 리타더 브레이크가 달려 있고, 전량 이 노선에 투입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7년에 2006년 4월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 예비차 3857호, 3905호가 대차되면서 영신여객에 디젤 차량은 완전히 전멸하였다. 부산에서는 보통 차량을 늦어도 9년만에 대차하는 추세인데 극히 드물게 11년을 채웠다.[9] 게다가 서울 영신여객은 디젤 차량을 9년 만에 대차했고 서울 영신여객과 더불어 디젤차를 오래 굴린 회사로도 유명해졌다. 다만 서울은 영신여객을 끝으로는 마을버스를 제외하곤 디젤차가 모두 사라졌고 부산은 태영버스 노선에서 디젤차가 아직 운행중이다.
- 영신여객 시절에는 유일하게 유로6 사이드마커 달린 차량으로 전차량 운행하였다.(2015~2018년형) 그러나 2015년식 차량인 3909호와 2014년식 차량인 3928호가 2018년형 스펀지시트 신도색 차량이 대거 출고되자 그대로 예비차로 내려갔다.
- 용화여객으로 운행했던 첫 날에는 LED 전광판 표기가 반영되지 않았는지 전광판이 제대로 출력되지 않아 부득이하게 종이로 노선 번호와 행선판을 붙여놓았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111-1번 개통 첫날과 아주 흡사한 일이 벌어진 것이다.
- 영신여객 시절 준저상버스를 1대 운행한 적 있으며, 초저상버스는 아예 운행하지 않는다. 엄궁동 구간 초저상버스 운행은 이미 108번에서 운행 중이라 상관은 없는데 문제는 엄궁차고지의 턱이 높은 탓에 저상버스가 턱에 걸릴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4.2. 이용 시 유의할 점
- 구덕운동장이 목적지인 승객은 엄궁이나 하단 등지에서 이 노선을 타면 안 된다. 괴정에서부터 감천, 송도윗길, 충무동 방면으로 빙빙 우회하여 가기 때문이다. 엄궁에서는 67번[10] 을 괴정, 하단에서는 1호선이나 11번, 123번, 126번[11] 을 이용하여 가자. 2번, 113번도 있으나 대티터널을 통과하지 않고 대티고개로 올라가는 노선이라 소요시간이 제법 걸리기 때문에 추천하지는 않는다.[12]
- 마찬가지로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에서 부민캠퍼스나 구덕캠퍼스로 가려고 하는 경우에도 이 노선보다는 123번이나 126번을 타고 가거나 구덕캠퍼스는 추가로 서대신교차로에서[13] 190번[14] , 서구5번으로 환승해서 가는 편이 훨씬 낫다.
- 여담이지만 '괴정사거리 - 서구청' 구간을 오갈 때 시간이 많다면 좀 돌아가더라도 이 노선을 이용하면 송도해수욕장 밤바다와 송도해상케이블카, 남항대교의 야경을 구경할 수 있다. 영도대교까지 한 눈에 보이기 때문에 나름 절경이다.
4.3. 연간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재구성된 자료이므로, 계산 및 산출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4.4. 노선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1] 토요일 24대 / 공휴일 21대 운행[단독]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2] 현재 그 자리에는 SGI 건물이 들어섰다. 주유소와 함께 사용했었다.[3] 면허도 영신여객 면허 그대로 받아왔으며 차량들과 승무원 모두 용화여객으로 그대로 고용승계되었다. 다만 고용승계된 승무원 중 일부는 민락동 본사 승무원들과 맞트레이드되었다.[4] 하단교차로 방향 정류장이 있지만 엄궁 방향으로는 횡단보도가 없어서 정류장이 존재하지 않는다. 을숙도초등학교에서 도보로 이동을 해야 해서 노선 신설 민원이 들어왔었다.[5] 다른 노선들은 죄다 학장동 방면으로 간다.[6] 6번이 괴정시장까지 이어주긴 하나 이들 지역에서는 하단으로 향하는 16번의 수요가 가장 많다.[7] 엄궁동주민센터 버스정류장 [8] 이는 30번, 51번, 57번, 1001번도 마찬가지다. 그나마 이 노선은 오리지널 로얄시티와 F/L 버전 차량을 투입하였지만 51번과 57번, 1001번의 경우에는 F/L 차량만을 뽑는 바람에 업체 내에서도 운행과 관련해 문제가 되었다고 한다. 30번은 저상버스였다.[9] 보통 10년 이상 굴리는 지역은 수도권을 제외하면 거의 드물다.[10] 학장동 - 구덕터널을 경유하여 구덕운동장까지 바로 이어준다.[11] 대티터널과 서대신교차로를 경유하여 구덕운동장으로 간다.[12] 단 RH시간대 대티터널 정체 시 대티고개가 우회도로 역할을 해 주므로 이 두 노선을 타는 것도 무방하다. 이 노선들은 각각 부산역과 영도로 갈 때 이용해야 한다.[13] 123번은 서대시장에서 하차 후 길 건너서.[14] 동아대학교병원 정류장 하차, 승학캠퍼스 → 구덕캠퍼스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