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신역

 

東大新驛 / Dongdaesin Station
'''동대신역'''
[image]

'''다국어 표기'''
영어
Dongdaesin
한자
東大新
중국어
东大新
일본어
東大新(トンデシン
'''주소'''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지하 290 (동대신동2가)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1호선
동대신관리역 소속 / 제1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1호선

'''개업일'''
1호선
1990년 2월 28일
'''역사 구조'''
지하 2층(심도: 12.58m)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요금
7. 연계 교통
8. 기타

[clearfix]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08번.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지하 290 (동대신동2가) 소재.
원래 '''동대신동역'''이었으나 2010년 2월 25일에 '''동'''으로 끝나는 역들의 '''동'''이 삭제되어 '''동대신역'''으로 개명하였다. 서구 동대신동1가가 소재지이지만 서대신동1가, 서대신동2가, 동대신동2가와도 걸쳐 있다.

2. 역 정보


동대신역과 서대신역 사이에는 악명 높은 급커브 구간이 조성되어 있다. 그것도 이 급커브는 도로가 아닌 '''주택가''' 밑을 지나간다. 이런 이유로 그 당시에 분쟁이 일어나서 1985년부터 1987년 7월까지 공사가 중단된 적이 있었다. #
드리프트 구간은 대한민국 도시철도 중 '''최악의 통과속도(25km/h)'''를 자랑한다.[1] 서대신역과 동대신역 사이에서만 '''3분''' 가까이 잡아먹는 일도 가끔 있다.
실제 서대신역과 동대신역의 역간거리는 0.7km에 불과하다.
그리고 이 역과 토성역 사이도 약간의 드리프트 구간이 있기 때문에 노포행 열차가 출발할때도 서행한다. 그러니까 말하자면 이 역은 열차가 빠른 속도로 들어오고 출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역내 만남의 광장 맞은편에 정항우 케잌이 들어왔다.

3. 역 주변 정보


이 역에서 북쪽으로 약 500m 정도 떨어진 곳에 구덕운동장이 있다. 서쪽으로는 서대시장, 동쪽으로는 동대시장이 붙어있는 재래시장메카 정도이다. 그리고 동아대학교 순환버스를 이용하여 동아대학교병원이나 동아대학교 구덕캠퍼스를 갈 수 있다. 신평역 방면에서 오는 경우라면 서대신역이 더 가까우며[2] 노포역 방향에서 오는 경우에는 서대신역과 동대신역 중 아무 곳에서 내려도 된다.[3] 그리고 동아대학교 구덕캠퍼스 방향에서 도시철도를 탄다고 하면 이 역에서 환승을 하는것이 좋다. 버스가 동대신역에서 서대신역으로 순환하여 운행하기 때문.
1915년부터 1968년까지 도시철도 노릇을 했던 부산전차의 종점이 이 역 인근에 있다.[4] 전차 모양을 본뜬 버스 정류장[5]과 종점 기념 비석 등을 볼 수 있다.[6]

4. 일평균 이용객


동대신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자료없음
'''16,089명'''
15,193명
14,424명
13,515명
12,704명
11,542명
11,411명
11,244명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11,518명
11,983명
11,824명
12,108명
12,154명
11,959명
12,284명
12,655명
13,028명
13,607명
2020년
10,247명
2020년 기준 하루 평균 10,247명이 타고 내리는 역으로서, '''이 역을 기점으로 동쪽과 서쪽 구간의 수요 차이가 극심하다.''' 더 먼저 개통되어 부산의 핵심 지역을 쑥쑥 훑어주는 동쪽 구간의 이용객이 훨씬 많고, 서쪽의 사하구 구간은 괴정역하단역, 신평역, 낫개역 을 제외하면 일평균 1만 명 미만의 역들이 더 많을 정도로 이용객이 적다. 동대신역의 수요는 토성역의 2/3, 남포역의 1/4 에다가 노선 전체 평균의 절반을 조금 넘는 정도에 그치지만, 그래도 하루 평균 1만 명은 넘기기에 이 역을 중심으로 수요가 갈린다고 봐도 큰 무리는 없다.
역의 위치는 대신동(서대신동&동대신동 포함) 전체의 정중앙에 위치하여 승객을 모으기 좋은 입지를 가졌으나, 남포동중앙동 번화가로 갈 때 타기에는 너무 거리가 짧고, 서면, 해운대구, 동래, 사상구 등등 기타 거점지로 가기에는 열차가 자갈치 방면으로 돌아가기 때문에[7] 역시 메리트가 떨어진다. 전체적으로 훌륭한 선형으로 부산의 주요 지역을 훑어주는 노선으로 칭송받는 1호선이나, 동대신역 입장에서는 사하구 방면으로 가는 게 아닌 이상 어디를 가도 돌아가는 꼴이 된다. 이런 문제로 인하여 출퇴근 시간을 제외하면 이용률이 저조한 편이며, 대신동 주민들을 온전히 끌어오지 못하고 있다.
동대신역의 수요가 역세권 규모에 비해 저조한 이유가 선형 때문이라지만, 무작정 이를 비판할 수 없다. 그 돌아가는 구간은 1호선 승하차 인원 2,3위를 차지하는 남포역, 자갈치역이 있기 때문이다. 즉, 우회 구간에서 부산 원도심 구간을 정확히 뚫고 지나간다는 이야기이다. 그래서 동대신역의 어정쩡한 현 상황은 대신동의 지리적 구조[8]부터 어찌할 수 없었던 셈이다. 더군다나 구덕운동장과의 거리도 멀리 떨어져있어서 부산 아이파크 경기 시즌때 구덕운동장 방문 목적으로 해당 역을 잘 이용하지 않는다.

5. 승강장


[image]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image]
역 안내도
서대신




토성

[image]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괴정·하단·신평·다대포해수욕장방면

남포·서면·동래·노포 방면

6. 요금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1
장 림

동대신

서 면

7. 연계 교통



  • 동대신역(정류장 번호: 02-046)
    • 부산 버스 15[심야] - 충무동행
    • 부산 버스 96 - 송도행
    • 부산 버스 103 - 연제공용차고지
    • 부산 버스 126 - 충무동행
    • 부산 버스 161 - 신평행
    • 부산 버스 심야1000 - 서면행
  • 서대시장(동대신역)(정류장 번호: 02-048)
    • 부산 버스 96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113 - 장림공단행
    • 부산 버스 123 - 김해(구산동)행
    • 부산 버스 1001[심야] - 하단행

8. 기타


과거에 부산여자고등학교가 이 근처(서대신동 1가 53)에 위치하고 있어서 1971년 부산 도시철도 계획 초기에는 '''부산여고앞역''' 이라는 가칭을 한동안 사용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부산여자고등학교가 1975년사하구 하단동으로 이전하면서 '''부산여고앞역''' 이라는 가칭은 완전히 흑역사가 되어 버렸다. 하지만 부산여자고등학교가 이전하지 않고 그 가칭이 역명으로 확정되었다면 전국에서 고등학교급 이하의 교육기관의 교명을 역명으로 사용한 유일무이한 사례가 되었을지도 모르는 일이다.[9]
2016년 4월 현재 안전문이 설치, 정상작동 중이다.

[1] 2호선의 경우도 수영역민락역 드리프트구간이 시속 25km/h로 제한 되어있다. 다만 장산 방면일 경우, 드리프트를 지나고 난 후에는 다시 가속을 내기 시작한다. 다만 다음 드리프트 구간은 그렇게 심한곡선이 아니기 때문에 가속을 내는 듯 하다. 양산 방면일 경우에는 시속 30km/h에서 25km/h로 제한 되어있다. 더불어 역번호도 서로 같다!![2] 지하철 - 순환버스 환승 기준[3] 단, 서대신역이 2구간이고 동대신역이 1구간이면(서면역) 동대신역에서 꼭 내리자.[4] 정확히는 지금은 철거되고 없어진 구덕야구장 맞은편의 대신문화아파트 부지에 있었다. 문화아파트방면 횡단보도를 건너면 과거 부산전차종점기념비석이 남아있다.[5] 정확한 명칭은 문화아파트 버스정류장. 이곳에 정차하는 시내버스는 2번, 70번, 190번 세 노선뿐이다. 나머지 노선들은 정차하지 않는다.[6] 정태보존중인 실제 전차 차량은 이전 역 토성역 인근의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에 전시 중이다.[7] 서면으로 갈 때는 부산터널 직통이 가장 빠르고, 남구, 수영구, 해운대구 방면은 여기에 덧붙여 좌천-문현 구간에서 철도 경쟁력이 매우 떨어진다. 사상구, 구포 방면은 구덕터널의 영향으로 도로 교통이 완전히 압도한다. 고로 철도 경쟁력이 있는 곳은 동래구, 금정구, 연제구, 사하구가 전부이다. 문제는 이 지역 주민들이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이나 시청, 사직구장을 가지 않는 이상 이들과의 교류가 거의 없다는 점이다. 그마저도 거의 대다수가 거리가 훨씬 가까운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로 가지 노포동까지 가는 수요는 거의 없다.[8] 직선으로 뚫으려 해도 위쪽에는 구덕운동장구덕산이 가로막고 있기때문에 필연적으로 우회하게 된다. 또한 우회하여 역을 놓을 만한 위치가 서대신교차로가 위치한 서대신역밖에는 없다.[심야] A B 심야포함[9] 부역명의 경우는 담티역에 사용된 전례가 있지만 본역명은 아직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