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N62
1. 노선 정보
2. 개요
경성여객과 도원교통에서 운행하는 심야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2.3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13년 9월 12일에 신설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노선경로는 신설당시 602번, 163번,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경로로 신설된 노선인데 같이 신설된 N13, N16, N61번과 다르게 수요가 애매한 구간이 대부분이라 실적이 그다지 좋지는 않았다. 그리고 신촌 구간 역시 잘 경로 파악하고 타야하며 양천차고지 방향은 신촌로터리.연세대입구(명물거리)를 경유하여 연대앞으로 가고 면목동 방향시에는 경의선 신촌역을 경유하여 이대역으로 갔었다.
- 2013년 9월 28일~2013년 12월 31일까지 신촌 대중교통 전용지구 조성공사로 양천 방향시에도 신촌역(경의선)을 거쳐 이대부고를 경유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어 다녔지만 중간에 노선이 변경되었다.
- 2013년 12월 12일에 신촌, 홍대입구, 합정역 / 종로2~6가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주 수요처를 면밀히 알지 못하고 직선위주의 지하철역 연계만 짜여진 탓인지. 양 회사 버스 이용객을 합쳐도 510명대밖에 되지 않아 신설 석 달도 안 돼서 장거리 중에서도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노선[5] 이라는 오명이 드러나자. 2013년 12월 12일 부로 노선을 변경하게 되었다.
- 변경된 구간은 성산대교~연대~신촌역(경의선)~이대역에서 양화대교~합정역~홍대입구역~신촌로터리~이대역구간 및 을지로1가~6가에서 종로2가~6가~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구간으로 노선이 변경 되었다. 아마도 서울 버스 N26번 과밀 해소용으로 노선변경한 듯. 추가로, 양천구에서도 심야에 홍대, 종로, 동대문, 왕십리, 건대등으로 오가는 노선이 생긴 셈이 되었다.
- 2016년 11월 28일 8대로 증차된다. 171번과 271번에서 증차분으로 투입된다.
4. 특징
- 전 차량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 홍대-신촌-이대 쪽을 다니는만큼 금,토일 밤에는 술에 만취해 쓰러지기 직전인 사람들이 한가득이다. 특히 겨울에 창문도 안열고 탑승하면 버스안에 알코올 냄새가 빠지지를 않는다.
- 변경 뒤 수요는 신촌 쪽에서 폭발하더니, 홍대~건대 구간에서는 가축수송을 하게 되었다. 이렇게 되다 보니, 서울 승객이 준심야버스로 운행되다시피 하는 서울 버스 9403을 이용하여, 오리역까지 갈 수 있게 되며, 합정역에서 양천 쪽으로 가는 N62를 못 타는 승객까지 발생할 정도로 대변신에 성공했다!!! N26을 백업하는 노선으로 바뀌었으나, 어떤 날에는 N26 보다 승객이 많을 때가 있다. 등촌역~종로 구간이 겹치긴 해도, 영일고등학교~양천공영차고지까지의 수요가 더 많기 때문에 당연한 일. 또한 홍대.신촌에서 602번과 6716번이 끊어져도 이 노선이 거의 심야시간을 대체하기 때문에 굳이 양천구 가는 두 노선에 목을 메고 갈 필요도 없어졌다.
- 이로써 노선 경로는 602번, 서울 지하철 2호선(종로제외), 서울 지하철 7호선 코스로 운행한다.
- 첫차는 본 노선이 먼저 시작하여 26번과 번갈아서 2~15분 간격으로 다녀서 앞문 못 열정도로 심한 나날을 줄였으며 마지막에 본 노선인 양천측 차량이 돌아갈때는 마지막을 장식하지만 중랑지역으로 돌아갈 때는 26번이 마지막을 장식한다.
- 경성여객 차고지 인근 운행방식은 양사가 다소 차이가 있다. 경성여객은 자사 차고지에서 바로 나와서 출발하며, 도원교통 차량은 경성여객 차고지 내부로 들어오지 않고, 앞에서 유턴한다. 카카오버스 앱에서는 경성여객 차고지 내부로 진입하여 회차하는 것으로, 서울 TOPIS 상에서는 중화중교 교차로 한가운데서 유턴하는 것으로 나오나, 전자는 후술하는 차고지 사정 상 불가능, 후자는 아예 도로교통법 위반이다. 경성여객 차고지 바로 앞에서의 유턴도 사실 도로교통법 위반이긴 하나, 경성여객 차고지 면적 자체가 매우 좁고, 심야 시간대라 차량들도 빽빽히 주차되어 있기 때문에 주간에 운행하는 1213번과 달리 차고지 내부로 도원교통 차량의 진입이 아예 안 되는 관계로 부득이 이런 식으로 회차하는데, 이것도 심야 교통량이 적어서 가능한 것이다. 교통법규를 제대로 지켜서 회차하려면 상봉로와 겸재로를 끼고 P턴 회차해야 한다. 중화중교 교차로 좌회전 후 면목본동파출소(ID 07-315) 정류소 인근에서 대형 저상버스가 유턴하기에는 도로 폭이 좁아 곤란하다.
- 도원교통 노선으론 유일하게 한강을 건너는 노선이며, 경성여객 단독으로는 유일하게 서일대가 아닌 면목4동으로 출발하는 노선이다.[6]
4.1. N62번 출발시간표
N26번과 겹치는 구간이 있는데 이 구간에서 이 두 심야버스는 거의 10~15분 간격으로 다니는 편이다. 이 현상은 다른 노선의 심야버스까지 오는 종로에서 심해져서 거의 10분에 한 대 꼴로 심야버스가 다닌다.
4.2. 일평균 승차인원
- 출처: 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3년 자료는 개통일인 9월 12일부터 12월 31일까지 11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4.3. 노선
5. 연계 철도역
연계하는 철도역은 많지만, 심야시간에 운행하기 때문에 지하철 환승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굵은 글씨'''는 막차가 끊기는 역이다.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 동대문역[A] , 종로5가역, 종로3가역, 종각역, 시청역
-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 건대입구역, 성수역, 뚝섬역, 한양대역, 왕십리역, 상왕십리역, 신당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을지로입구역, 시청역, 충정로역, 아현역, 이대역, 신촌역, 홍대입구역, 합정역
- [image] 수도권 전철 3호선 : 종로3가역
- [image] 수도권 전철 4호선 : 동대문역[A]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image] 수도권 전철 5호선 : 군자역, 왕십리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충정로역, 목동역, 신정역
- [image] 서울 지하철 6호선 : 신당역, 합정역
- [image] 서울 지하철 7호선 : 용마산역, 중곡역, 군자역, 어린이대공원역, 건대입구역
- [image] 서울 지하철 9호선 : 등촌역, 염창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왕십리역, 홍대입구역
-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왕십리역
- [image] 인천국제공항철도 : 홍대입구역
- 일반 철도역: 왕십리역(ITX-청춘)
[1] 도원교통(N62양천) 출발점[2] 경성여객(N62면목) 출발점[3] 경성여객 차량은 1대만 제외하고 나머지 3대만 자사 차고지에서 주박하지 않고(위 사진 참조), 도원교통 차량도 경성여객 차고지 사정으로 진입하지 않음.[4] 경성여객은 271번 소속 예비차를(나머지 3대는 심야노선 전담), 도원교통은 6514번, 6657번 예비차를 공동사용한다. LED도 1213번/1711번에 다니는 것과 비슷하게 앞, 뒤로 부착.[5] 각종 커뮤니티에서는 적자노선이라고 불리었지만 준공영제 하에서는 개별노선의 흑자, 적자 여부는 알 수 없다.[6] 도원교통은 대 개편 이전에는 222번이 정릉 - 강남을 이었지만 대개편을 맞아 서울역으로 잘려 1011번이 되었다가 2005년에 폐선되었다. 경성여객은 대개편을 맞아 신설된 2311번(1기 노선)이 있었지만 2005년 8월에 320번이 신설되면서 폐지되었다. 물론 그 당시에 중곡동까지는 2219번도 다녔지만, 1213번과 통합 이후 기점을 서일대로 변경하면서 중곡동을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A] A B 종로6가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