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름/체급

 


1. 개요
2. 천하장사
2.1. 남자부
2.2. 여자부
2.3. 세계부(세계특별장사)
3. 어린이 씨름왕
4. 미성년자/대학부/일반부
5. 아마추어
6. 남성 프로 씨름
6.1. 백두장사
6.2. 한라장사
6.3. 금강장사
6.4. 태백장사
7. 여자부
7.1. 매화장사
7.2. 국화장사
7.3. 무궁화장사
7.4. 사라진 체급
7.4.1. 난초장사
7.4.2. 대나무장사
7.4.3. 장미장사


1. 개요


체급은 다음과 같이 나뉘며 모든 체급을 통합한 경기를 천하장사라고 칭한다.
자세한 내용은 대한씨름협회 공식 홈페이지 씨름 경기 규정 및 체급 정보를 참조.
이 체급 명칭은 한국 국적을 가진 씨름인에게만 적용되며, 남성 외국인 경기의 경우 체급 구분 없이 진행한다. 여성 외국인의 경우에는 여자부에 통합한다.
예전에는 몸무게에 제한이 없었으나 지금은 몸무게 상한선이 생겼다.

2. 천하장사


프로 씨름의 상위 리그로 체급에 따른 장사[1] 급수가 정해져 있는 것과는 다르게 모든 체급을 하나로 통합한 장사다.

2.1. 남자부


구분
성명
소속팀[A]
경기일
경기장
1대
이만기
경남대학교
1983년 4월 17일
서울 장충체육관
2대
1983년 10월 3일
3대
장지영
인하대학교
1984년 3월 8일
4대
이만기
경남대학교
1984년 6월 5일
5대
이준희#s-2
일양약품 원비
1984년 9월 13일
6대
이만기
현대 코끼리
1985년 3월 18일
7대
1985년 6월 26일
전주실내체육관
8대
이준희#s-2
일양약품 원비
1985년 10월 4일
서울 잠실실내체육관
9대
이만기
현대 코끼리
1986년 3월 2일
부산 사직실내체육관
10대
이봉걸
럭키금성 황소
1986년 6월 8일
대구실내체육관
11대
이만기
현대 코끼리
1986년 9월 11일
서울 장충체육관
12대
이봉걸
럭키금성 황소
1987년 3월 16일
부산 사직실내체육관
13대
이준희#s-2
일양약품 원비
1987년 10월 26일
14대
이만기
현대 코끼리
1988년 5월 25일
부산 KBS홀
15대
1988년 10월 10일
수원실내체육관
16대
1989년 3월 12일
대전 충무체육관
17대
김칠규
1989년 9월 12일
서울 잠실학생체육관
18대
강호동
일양약품 원비
1990년 3월 12일[2]
성남실내체육관
19대
1990년 7월 17일
춘천실내체육관
20대
1990년 10월 29일
인천 도원체육관
21대
황대웅
삼익가구 사자
1991년 3월 25일
부산 구덕체육관
22대
1991년 6월 24일
이리 원광대학교 체육관
23대
강호동
일양약품 원비
1991년 9월 24일
대구실내체육관
24대
1992년 3월 23일
서울 장충체육관
25대
임용제
부산조흥금고 호랑이
1992년 6월 29일
전주실내체육관
26대
김정필
1992년 9월 13일
부산 사직실내체육관
27대
1993년 3월 21일
28대
백승일
청구 청룡
1993년 7월 5일
춘천실내체육관
29대
1993년 10월 3일
대구실내체육관
30대
신봉민
현대 코끼리
1994년 3월 14일
청주실내체육관
31대
백승일
청구 청룡
1994년 6월 19일
전주실내체육관
32대
이태현
1994년 9월 21일
부산 사직실내체육관
33대
김경수
LG증권 황소
1995년 11월 21일
서울 장충체육관
34대
1996년 11월 25일
제주 한라체육관
35대
신봉민
현대 코끼리
1997년 9월 18일
부산 사직실내체육관
36대
김영현
LG증권 황소
1998년 11월 29일
영천실내체육관
37대
1999년 12월 12일
인천 선인체육관
38대
이태현
현대 코끼리
2000년 12월 10일
안양실내체육관
39대
황규연
신창건설 코뿔소
2001년 12월 16일
울산 동천체육관
40대
이태현
현대 코끼리
2002년 11월 24일
구미 박정희체육관
41대
최홍만
LG투자증권 황소
2003년 12월 14일
인천 도원체육관
42대
김영현
신창건설 코뿔소
2004년 12월 5일
구미 박정희체육관
43대
윤정수[3]
수원시청
2008년 12월 11일
남해실내체육관
44대
황규연
현대 코끼리
2009년 12월 13일
경주실내체육관
45대
이슬기
2011년 11월 27일
김천실내체육관
46대
윤정수
2012년 12월 2일
영광 국민체육센터
47대
이슬기
2013년 11월 12일
서산 농어민 문화체육센터
48대
정경진
창원시청
2014년 11월 16일
김천실내체육관
49대
정창조
현대 코끼리
2015년 11월 22일
청양 군민체육관
50대
장성복
양평군청
2016년 11월 22일
서울 장충체육관
51대
김진
증평군청
2017년 11월 26일
나주종합스포츠파크 다목적체육관
52대
박정석
울산 동구청
2018년 11월 26일
안동실내체육관
53대
장성우
영암군 민속씨름단
2019년 11월 24일
예산 윤봉길체육관
54대
2020년 12월 13일[4]
정읍 국민체육센터

2.2. 여자부


구분
성명
소속팀[A]
경기일
경기장
1대
임수정
콜핑
2009년 6월 28일
구례 실내체육관
2대
2010년 9월 6일
3대
송송화
경상남도
2011년 9월 4일
4대
박미정#s-3
경기도
2012년 8월 26일
5대
임수정
콜핑
2013년 9월 2일
6대
2014년 8월 31일
7대
2015년 8월 31일
8대
조현주
구례군청
2016년 9월 4일
9대
임수정
콜핑
2017년 11월 24일
나주종합스포츠파크 체육관
10대
최희화
안산시청
2018년 11월 25일
안동체육관

2.3. 세계부(세계특별장사)



3. 어린이 씨름왕


2016년도에 신설된 체급명으로 통합씨름협회에서 주관하며, 각 초등학교에 소속된 초등학생 씨름선수들을 대상으로 하는 체급명이다. 개인전에서 적용받으며, 단체전은 아래의 아마추어 체급을 적용받는다. 체급 명칭은 야생동물들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아래 체급은 남자 어린이 프로선수에게만 적용하며 여자 어린이는 성인 여자부에 통합된다.
체급
무게
기타
어린이씨름왕
천하장사
통합

다람쥐
45 kg 이하

사슴
55 kg 이하

반달곰
55 kg 이상
[5]

4. 미성년자/대학부/일반부


남자부 중에서 초.중.고등부~대학부와 일반부의 체급은 다음과 같이 명칭한다. 결승전의 경우 3판 2선승제를 취한다. 어린이의 경우는 단체전에서 이 체급을 적용받는다.
체급
무게
기타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대학부/일반부
경장#s-4
40 kg
60 kg
70 kg
75 kg

소장
45 kg
65 kg
75 kg
80 kg

청장
50 kg
70 kg
80 kg
85 kg

용장
55 kg
75 kg
85 kg
90 kg

용사
60 kg
80 kg
90 kg
95 kg

역사
70 kg
90 kg
100 kg
105 kg

장사#s-3
120 kg
130 kg
135 kg
140 kg


5. 아마추어


아마추어의 경우 다음과 같이 명한다. 2007년에 대한씨름협회가 정한 아마추어 체급명으로 당시 프로팀.실업팀 등에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관련 기사
체급명
무게
기타
천하장사
통합

청룡
105.1 kg 이상
프로부에서의 백두장사에 해당하는 체급명이다
백호
105 kg 이하
프로부에서의 한라장사에 해당하는 체급명이다
거상
90 kg 이하
프로부에서의 금강장사에 해당하는 체급명이다
백마
80 kg 이하
프로부에서의 태백장사에 해당하는 체급명이다

6. 남성 프로 씨름


프로 씨름의 체급은 다음과 같이 명칭한다.
★ 남자부 프로 씨름의 체급 명칭은 한반도 4대 산(금강산, 태백산, 한라산, 백두산)에서 따온 것이며 높이 순서대로 체급이 결정된다. 결승전의 경우 5전 3선승제를 취한다.
체급
무게
대표 선수[6]
천하장사
통합

-
140.1kg 이상
김상중[7]
백두
140kg 이하
이태현, 김영현, 윤정수, 강호동, 박영배[8]
한라
105 kg 이하
이만기[9], 김용대, 모제욱, 김선창
금강
90kg 이하
이주용[10], 임태혁, 손상주, 최정만
태백
80kg 이하
구봉석, 윤필재, 이진형

6.1. 백두장사


계체체중 - 140kg 이하
백두장사 역대 최다 우승
이태현 20회
백두장사 + 천하장사 역대 최다 우승
이만기 28회 (백두장사 18회 + 천하장사 10회)

6.2. 한라장사


계체체중 - 105kg 이하
한라장사 역대 최다 우승
김용대 17회 (한라장사 16회 + 금강-한라 통합장사 1회)
한라장사 + 백두장사 + 천하장사 역대 최다 우승
이만기 35회 (한라장사 7회 + 백두장사 18회 + 천하장사 10회)

6.3. 금강장사


계체체중 - 90kg 이하
금강장사 역대 최다 우승
임태혁 18회 (금강장사 16회 + 태백-금강 통합장사 2회) - 현역/수원시청
금강장사 + 한라장사 역대 최다 우승
이주용 18회 (금강장사 8회 + 태백-금강 통합장사 1회 + 한라장사 9회) - 현역/수원시청

6.4. 태백장사


계체체중 - 80kg 이하
태백장사 역대 최다 우승
윤필재 9회 - 현역/의성군청
태백장사 + 금강장사 역대 최다 우승
구봉석 11회 (태백장사 2회 + 금강장사 9회)

7. 여자부


여자부 씨름 체급의 명칭은 다음과 같이 명칭한다.
★ 여자부 씨름 체급 명칭의 경우에는 장미와 무궁화를 제외하고는 사군자에서 등장하는 꽃과 나무 등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여자부의 경우 미성년자/아마추어/프로부 상관없이 다음과 같이 명한다.
단 이 체급의 경우는 정확한 것은 아니며 여기에서 3체급 혹은 2체급 등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여자부의 경우에는 결승전도 3판 2선승제를 취한다. 또한 국민생활체육회가 주관하는 대회는 실력이 좋은 비룡부와 그보다 낮은 비호부로 나눠지며 대통령배와 대한씨름협회가 주관하는 대회는 실력에 따라 나눠지지 않는다.
또한 한국 여성과 통합하는 외국인 여성이나 여자 어린이들의 경우에도 아래 체급명을 적용받는다.
아래 표의 빈 공간은 해당 단체가 주관하지 않는 체급이다.
체급
무게 및 주관 단체
기타
대표 선수
국민생활체육 주관
대한씨름협회 주관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대학부
일반 아마추어
프로
천하장사
통합


매화
60 kg
35kg
45kg
55kg


국화
70 kg


임수정, 박선
무궁화
80 kg
60 kg
70kg
80 kg
75 kg

이다현,임혜미
송송화, 박미정

7.1. 매화장사


여자 체급 중에서 가장 가벼운 체급이며, 양윤서, 이연우 등이 속해있다.

7.2. 국화장사


국민생활체육에서 주관하는 체급명으로, 대한씨름협회에서는 주관하지 않는다.
여자 이만기라 불리는 임수정과 라이벌 급인 박선 등 유명 여자 씨름선수들이 속해있다.

7.3. 무궁화장사


남성 씨름 경기에서 백두장사에 해당하는 체급명. 즉, 무거운 여성 선수들이 출전하는 경기로, 이다현, 송송화[11], 박미정, 조현주 등이 속해있다.

7.4. 사라진 체급



7.4.1. 난초장사


2013년 이후로 사라진 체급명이며 당시에는 박선 등 유명 여자 씨름선수들이 속해있었다.

7.4.2. 대나무장사


2013년 이후로 사라진 체급명이며 박원미 등이 속해있었다.

7.4.3. 장미장사


대한씨름협회에서 주관하는 체급명으로, 유일하게 명칭이 외국의 꽃인 장미를 사용한다. 65kg ~ 74.9kg 사이의 여자 선수들이 출전하는 경기며, 대한씨름협회 공식 홈페이지 씨름경기 규칙 제 15장 76조 항목에 존재하는 체급명이다.
그렇지만 실제로 경기를 치렸는지는 의문을 가진 체급명으로, 대한씨름협회에 명시된 체급이지만 정작 그 체급의 경기를 포털사이트 등에 검색해도 아예 관련 영상은 안나온다. 인터넷 포털 사이트 뉴스 같은데서 간단히 언급만 하는정도. 우선 국민생활체육회에서는 애초에 이 체급의 경기를 한 적이 없다. 심지어 대한씨름협회조차도 이 체급의 경기를 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없는 체급이나 다름없다.


[1] 남성의 경우 금강, 태백, 한라, 백두장사 4체급, 여성의 경우 국화, 매화, 무궁화 3체급.[A] A B 장사 타이틀 획득 당시 소속팀으로 표기[2] 이 대회 준결승전이 상당한 화제가 된 바 있다. 당시 경기 중계 영상. 이 경기에서 강호동이만기(체육인)가 맞붙었다. 첫 판은 강호동이 이겼는데 두 번째 판 직전 기합을 지르며 분위기를 잡던 강호동의 모습에 빡친 이만기가 강호동에게 '''"깝치지 마라. 이 새끼야."'''라고 욕설을 해서 경기가 잠깐 중단되기도 했다. 결국 강호동이 이만기에게 2:0으로 승리하며 결승에 올랐고 당시로서는 역대 최연소 천하장사에 올랐다. 그리고 정확히 1년 뒤 이만기도 은퇴를 하게 된다.[3] 연예인 윤정수가 아닌 씨름선수이다. 김상중 장사를 모래판에 집어 던진 것으로 유명하다.[4] '''21세기 첫 2연속 우승.'''[5] 남성 성인 프로부에서의 백두장사 혹은 여성 프로부의 무궁화장사에 해당하는 체급명이다.[6] 백두급은 단 1회라도 천하장사에 등극한 선수들만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7] 백두장사는 140kg 이하이다. 그러므로 체중이 140kg 초과인 선수는 아무 제한이 없는 천하장사만 출전이 가능하다.[8] 김영현과 최홍만을 꺾은 골리앗 킬러라는 별명을 가진 선수였으나 아버지와 동일하게 심장마비로 사망했다.[9] 선수시절 초중기의 이야기로, 이봉걸의 씨름에 위협을 느끼고 80년대 중후반 이후로는 백두급으로 체급을 올렸다.[10] 현역 최다 장사 타이틀을 보유한 금강급과 한라급의 살아있는 전설이다.[11] 역대 최고령 여성 씨름선수이자 씨름 감독 겸 대학 씨름선수 김민경의 어머니이다. 제9회/12회 전국생활체육 大장사씨름대회에서 아들 김민경의 감독으로 나서서 아들을 우승시켜 이목을 집중시킨 현직 선수이자 감독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