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대한민국 광역시장
- 관련 항목: 역대 대한민국 도지사, 서울특별시장
- 광역시(직할시)로 승격된 이후만 기재할 것.
- 각 광역자치단체는 행정자치부 지역코드 순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임의로 순서를 변경하지 말 것.[1]
- 서울특별시는 특별시이므로 본 항목에 역대 시장이 기재되지 않습니다. 역대 서울 시장을 찾으시려면 서울특별시장 항목으로 이동해주세요. 세종 역시 특별자치시로 별개의 행정구역이지만, 출범된지 얼마 안된 관계로 본 항목에 서술합니다.
1. 부산광역시장
[image]
※1995년 1월 1일 이전까지는 직할시장
2. 대구광역시장
[image]
※1995년 1월 1일 이전까지는 직할시장
3. 인천광역시장
[image]
※1995년 1월 1일 이전까지는 직할시장
4. 광주광역시장
[image]
※1995년 1월 1일 이전까지는 직할시장
5. 대전광역시장
[image]
※ 1995년 1월 1일 이전까지는 직할시장.
6. 울산광역시장
[image]
7. 세종특별자치시장
[image]
[1] 문단 리다이렉트 등에 큰 영향을 끼친다. 혹여 순서 변경이 필요하다고 여길 시에는 반드시 토론을 활용하도록 하자.[2] 승격 당시 경상남도 울산시장으로 원래는 광역시 신설 때 새로 선출해야 하지만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되는 관계로 울산광역시설치등에관한법률 부칙 제4조 제3항에 의해 울산광역시장이 되었다.[3] 부칙 제4조 (최초의 지방자치단체의 장등에 관한 경과조치) ③이 법 시행당시의 울산시장은 공직선거 및선거부정방지법 제30조제1항제1호의 규정에 불구하고 이 법 시행후 최초의 울산광역시장이 되고, 그 임기는 1998년 6월 30일까지로 한다[4]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울산 남구 을 국회의원 후보로 출마하기 위해 사퇴.[5] 당시 행정부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