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 음악
1. 정의
대기업이 소유하지 않은 소규모의 회사에서 제작하는 음악.
Indie라는 단어는 'Independent'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기서의 독립은 위의 정의와 같이 '대기업의 통제로부터 독립한'을 뜻한다. 많은 사람들이 인디 음악의 정의에 대해 오해하고 있지만(특히 한국에서), 인디 음악의 정의는 이것이 전부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타인의 자본(제작자의 자본)에 종속되지 않고, 자신의 돈으로 직접 앨범을 제작하고, 홍보 역시 자신의 돈으로 하는 등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뮤지션이 인디 뮤지션이고, 이들의 음악이 인디 음악이다. 다만 대개 큰 돈이 없다보니 앨범이나 홍보에 큰 돈을 쏟아부을 수 없어, 앨범을 거창하거나 화려하게 제작하지 못하고 소박하게 만들어 소량으로 찍어내며, 홍보 역시 소박하게 이루어지는게 보통이다.
대표적인 인디 뮤지션의 예로 국카스텐의 데뷔 초기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데뷔 전 강원도에서 합숙하며 포장마차를 하며 번 돈으로, 자신들의 데뷔앨범을 직접 제작했다. 이후에는 기획사(제작자)와 전속 계약을 맺게 되어 현재는 인디 뮤지션이 아니지만, 국카스텐의 데뷔는 전형적인 인디 뮤지션의 모습이었다.
최근에는 심지어 "비주류 음악을 하는 뮤지션"을 인디 뮤지션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많다. 가령 잔잔하고 어쿠스틱한 음악을 하는 뮤지션을 인디 뮤지션으로, 그런 음악을 인디음악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꽤 많다. 심지어 일부 인터넷 찌라시 기자들 중에도 그렇게 오해하고 있는 경우가 너무도 많다.
2. 역사
인디 음악이 정확히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나마 대중음악의 역사에서 인디 음악의 정의인 '독립성'이 하나의 흐름으로 나타나는 것은 70년대의 DIY(Do It Yourself) 원칙에 입각한 개러지 록 음악들로 추정된다. 브리티시 인베이전로 감명받은 일련의 젊은이들이 집 차고에서 되든 안되든 일단 밴드를 하기 시작했는데, 이런 '차고'에서 만든 음악이 거칠고 단순한 모습을 보여 '차고에서 만든 록'이라는 의미에서 개러지 록이라 불리기 시작했다. 이 개러지 록은 벨벳 언더그라운드 같은 밴드들이 선험한 프로토펑크와 연계되면서 펑크 록의 중요한 단초로 남게 된다.
이후 펑크 록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면서 '인디'라는 유통 방식이 본격적으로 정착하게 되었으며, 러프 트레이드나 4AD, IRS, SST, 팩토리 레코드, 도미노 레코드, 크리에이션 레코드 같은 전국구급 인디 레이블들이 속속이 등장하게 된다. 이들의 발전은 록 음악의 역사의 한 축으로 자리잡게 된다. 영국의 경우는 펑크 록의 시대를 거쳐 80년대 중후반부터 인디 밴드들이 본격적으로 수면 위로 부상하기 시작했으며, 그 후 마침내 인디 밴드들이 메이저에 대거 진출해 흥행하게 되는데, 그것이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90년 초중반의 브릿팝 밴드들이다. 미국의 경우는 영국보다는 다소 늦게 인디 그룹들이 메이저에 올라오게 된다. 이는 모타운, MTV 등으로 대표되는 메이저 음악의 상업화와 조직화가 영국보다 훨씬 더 빠르게 진행되었고, 워낙 땅덩이가 넓다 보니 각지의 로컬 씬만으로도 어느 정도 규모가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국에서도 90년대를 강타한 얼터너티브나 2000년대에 전면적으로 등장하는 포스트록 등은 모두 인디에서 올라온 장르들로, 인디 음악은 오버그라운드에 새로운 장르를 수혈하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었다.
인터넷과 SNS의 등장은 인디 그룹들이 자신들의 인지도를 폭발적으로 높이는 것에 크게 기여하였다. 2000년대 초중반이 되면 아케이드 파이어를 필두로 하여 오버그라운드의 지원 없는 인디 그룹들이 속속 빌보드의 문을 두드리고 세계적으로 자신들의 인지도를 높이기 시작하게 된다. 영국에서도 악틱 몽키즈가 인터넷을 통한 엄청난 인기로 데뷔함으로써 미국과 비슷한 현상을 보여주었다. 당시에는 마이스페이스를 활용한 마케팅이 유행하였으며, 이는 점차 SNS의 등장과 함께 페이스북 등으로 대체되기 시작하였다.
현 시대의 인디 음악은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규모와 접근성이 커졌다. 물론 상업적인 지분은 그리 크지 않지만, 최근 들어서는 인디 그룹들만의 자체적인 페스티벌을 열 수 있는 정도에 이르게 되었으며, 세계 투어를 다니면서 인디 레이블에 속해 있는 밴드들도 여럿 있다.
3. 특징
일반적으로 대규모 레이블이 아닌 인디 레이블을 통해 음반을 발매하며, 최근에는 홈레코딩 기술의 발전 등으로 아예 뮤지션 스스로가 직접 음반 발매까지 도맡는 경우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우리나라 최초의 홈레코딩 음반으로 불리는 롤러코스터 1집. 다만 '인디 레이블'의 정의를 내리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인디 음악으로서 성공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는 요즘의 특성 상 인디 음악의 정의도 점차 모호해지고 있다.
음악적으로는 유통사의 입김이 적잖이 작용하는 대규모 레이블에서 나오는 음반들에 비해 창작자의 개성이 잘 살아있는 특징이 있다. 상업성보다는 창작자의 의도를 더 우위에 두는 편이며, 이로 인해 메이저 레이블에서 나오는 음악들에 비해 상당히 다양하고 개성 있는 음악들을 많이 접할 수 있다. 다만 상업성이 우선 순위에서 밀리는 만큼 상업적으로 성공하는 경우는 메이저 레이블에서 나오는 음악들보다 적은 편이다. 물론 페이브먼트나 아케이드 파이어처럼 엄청난 성공을 거두는 경우도 있다.
이런 창작자의 개성이 보존되는 인디 음악은 역사적으로 대중음악의 발전을 '밑에서' 이끌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록 음악의 경우 인디 음악의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가장 단적인 예가 너바나를 위시한 얼터너티브 붐으로, 흔히 '시애틀 그런지'라 불리는 너바나를 비롯한 그룹들은 모두 인디에서 출발한 그룹들이다. 이 외에도 소닉 유스, 페이브먼트와 같은 그룹들은 인디에 남아 있었지만[2] 록 음악의 역사에 한 획을 그은 밴드들이고, 최근에도 아케이드 파이어, 애니멀 콜렉티브 같은 밴드들이 활동하고 있다.
2000년대 후반에 들어서는 소프트웨어의 발달로 개인이 전자음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비교적 록 음악에 치우쳐져 있던 예전보다 다양한 장르의 음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고, 인디 음악 자체가 매우 활성화되어 있다. 비치 하우스나 그리즐리 베어처럼 인디 그룹임에도 불구하고 빌보드 차트 상위권에 오르고 세계적인 인지도로 월드 투어를 다니는 뮤지션들도 여럿 존재하며, Sub Pop 같은 인디 레이블은 인디 레이블임에도 불구하고 꽤 높은 인지도를 가진 뮤지션들을 여럿 산하에 두고 있기도 하다. 이런 현상으로 인해 최근 들어서는 인디 음악과 소위 '메이저 음악'이라고 불리는 음악 사이의 경계가 점차 모호해지고 있고, 인디 음악이 더욱 직접적으로 대중음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3.1. 한국에서의 역사
현재 한국에서의 '인디 음악'은 보통 1990년대 이후 홍대 앞을 중심지로 하는 록음악들을 지칭하는 용도로 많이 쓰인다.[3] 한국 인디신의 시작은 서구와 마찬가지로 얼터너티브 록, 펑크를 중심으로 한 뮤지션들이 주도했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1970~1980년대 신촌을 중심으로 하는 언더그라운드 뮤지션들도 있지만, 본격적인 '유통 방식'으로서의 인디 음악은 보통 앞서 언급한 것처럼 1990년대의 홍대 앞 뮤지션들을 시초로 본다. 보통 1996년에 발매된 크라잉 넛과 옐로우키친의 스플릿 앨범 <Our Nation 1>을 최초의 인디 음반으로 본다. 하지만 날짜 상으로는 배드 테이스트의 <Bad Taste>앨범이 1996년 1월로 가장 빠르다. [4]
1990년대 말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한 한국 인디 음악은 크라잉 넛과 노브레인로 대표되는 펑크 지향적인 흐름과 델리스파이스나 언니네이발관으로 대표되는 모던 록 지향적 흐름의 2가지로 진행된다. 그 사이에 노이즈가든, 레이니 썬, 어어부밴드처럼 위의 두 분류에 넣기 어려운 독자적인 스타일을 구축한 밴드들도 여럿 있었다. 보통 이 시점의 뮤지션들을 '인디 1세대'라 부르는데, 이후 크라잉 넛, 언니네이발관, 자우림, 체리필터 등이 메이저 시장에서도 인지도와 호응을 얻기 시작하면서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특히 크라잉 넛과 자우림, 체리필터 등은 대중적으로도 성공하게 되었다.
하지만 2000년대 초,중반까지 기존 인디 밴드 역시 인기를 잃었고 후발 주자로서 대중의 인기를 끌만한 밴드들도 부재했다. 시기적으로 대중 음악 전체에서는 MP3가 유포되며 앨범 위주의 음반 시장이 침체되었고, 대중의 관심이 영화와 드라마, TV 예능 산업에 쏠리면서 기존 대중 가수들도 수입이 줄어드는 시기였다. 한국 인디 밴드들의 원류가 될 수 밖에 없는 영미권 록음악에서는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 붐이 일었지만 90년대 얼터너티브 붐에 비하면 규모가 적었고, 이를 타개하고 대중적으로 어필이 될만한 특출난 인디 밴드도 없었다. 음악 시장 전체가 침체된 분위기 속에서 입지가 좁던 인디 음악은 더욱 설 자리를 잃게 된다. 또한 생방송 음악캠프 알몸노출 사건으로 인해 인디 음악에 대한 대중의 시선이 부정적으로 바뀌며, 입지는 더욱 줄게 되었다.
생방송 음악캠프 알몸노출 사건이 얼마나 파장이 컸냐면 사실상 2000년대 인디 밴드들의 모든 희망을 불살라 버렸다고 해도 좋을만큼 상당히 인디밴드계에 영향을 미친 사건이었다. 생방송에서 갑자기 알몸 퍼포먼스를 해대니 모든 인디가 저렇다는 인식까지 생기기도 할 정도였다.
정리하자면 1990년대 말에 인디 공연장이 합법이 되고 "대안 음악"이라는 언론의 관심 아래 기존 가요 음악과 다른 몇몇 밴드 음악에 대중의 관심이 잠깐 쏠리기는 했으나, 그시기 이후부터 대중의 관심을 끌만한 "매력적인 인디 밴드"가 전무했고, 2000년대 중반이 오면 ,앞서 말한 일부 달달한 팝 밴드를 제외하면, 1990년대 홍대펑크에서부터 관심 있던 사람들까지 손을 놓은 상황이 되었다. 그래도 이 무렵 NELL, Pia, 피터팬 컴플렉스, 바닐라 유니티, 바세린 등등이 활동했고 넬과 Pia는 메이저로 올라가게 되었다. 이 무렵에는 특히 라디오헤드에 경도된 밴드들이 많이 등장했는데, 이는 동시대의 영국에서도 나타나는 특징이다.[5]
2007~2008년 즈음 개성 넘치는 여러 록 밴드들이 등장했다. 국카스텐, 브로콜리 너마저, 장기하와 얼굴들, 갤럭시 익스프레스, 검정치마 등이 이 무렵에 데뷔한다. 평론계나 대중계에서도 여러 인지도를 얻게 되면서 인디 음악이 이전보다 조금 관심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 2000년대 후반의 아이돌 붐으로 대중의 관심이 전부 아이돌에 쏠리면서 인디 음악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낮았다. 과거와 달리 거대 기획사와 온라인 음원 서비스 등에 의해 인디 음악 시장의 양적인 규모는 1세대 시절에 비해 많이 위축되어 있는 상태였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도 몇 인디 밴드들의 대중적인 호응이 증가하면서, 인디 음악 전체가 침체기였던 2000년대 초,중반과 달리 2000년대 후반과 2010년대 현재 인디 음악의 대중적 인지도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대중적으로는 톱밴드나 밴드의 시대, 온 스테이지처럼 인디 음악, 인디 밴드들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미디어도 생기고 있고, 국카스텐의 나는 가수다 2 출연이나 10cm, 장미여관, 장기하와 얼굴들 등 인디 밴드들의 지상파 출연이 활성화 되고 있다. 음악적으로는 한국대중음악상이나 네이버 뮤직의 '이주의 음반', 웨이브 등 음악 평론 커뮤니티에서도 나쁘지는 않은 호평을 듣는 인디 음악들이 많이 존재한다. 이러한 대중적, 평론적인 움직임과 더불어 외국에서도 'K ROCK', 'K INDIE' 등의 이름으로 인기를 얻고 있으며 다양한 밴드들이 미국 최대 음악 페스티벌 SXSW 등에 참가하면서 한국 인디 음악은 그 자리를 점점 만들어 가고 있다. 즉, 현재 인디 음악은 다시금 생명력을 얻고 있다 볼 수 있다.
하지만 10년대 중반이 되니 10년 전처럼 신인의 부재, 기성 인디 음악가들의 부진 혹은 잠적, 주 무대였던 홍대의 상업화, 오디션 프로그램의 부흥으로 인디 음악에 대한 관심 감소 등이 겹치면서 다시 추락한 적이 있었다. 한 때 밴드의 시대를 통해 인디 밴드의 부흥을 꿈꾸고자 했으나 우승팀의 불미스러운 일로 흐지부지 끝났다.
그러다가 2016~17년들어 볼빨간사춘기, 신현희와김루트, 문문, 멜로망스, 혁오 등이 음원차트에서도 대박을 내는데 성공하면서 어느 정도는 분위기가 호전되었으며, 국카스텐의 하현우가 복면가왕에서 9연승을 거두며 밴드의 인지도를 크게 높이기도 했다. 2019년에는 잔나비가 메가히트를 치며 대세 밴드가 되었다.
2020년에는 SURL, 다섯(dassut) 등의 인디 뮤지션들이 점차 수면 위로 올라고 있어 앞으로의 귀추가 주목된다.
3.2. 한국에서의 특징과 문제점
K-Pop이라는 단어가 나오는 현재의 한국은,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기획사의 입김이 대중음악에 미치는 영향이 큰 나라이고, 인디 음악이 대중음악에 미치는 영향력이 적은 나라이다. 물론 온라인 음원 시장의 성장 등의 요인도 있지만, 가장 큰 원인은 1세대 그룹들이 인지도를 올리던 과정에 벌어진 생방송 음악캠프 알몸노출 사건일 것이다. 이는 점차 인지도를 올리고 있던 그룹들의 성장세를 꺾어버리기도 했지만, 인디 뮤지션들이 잠시 방송에서 사라져 있는 동안 거대 기획사들이 내놓는 그룹들이 대중음악 시장을 지배하게 되는 결과도 불러일으켰다. 물론 거대 기획사들이 내놓는 그룹들의 음악의 질이 낮은 것은 절대 아니지만, 인디 음악이 빌보드 차트에도 가끔씩 올라가는 미국과 같은 상황이 한국에서 일어나기 힘들어진 것은 사실이다.
다만 이러한 현상은 인디 음악의 인지도가 과거에 비해 많이 올라간 현재에 와서는 조금씩 해결되고 있으며, 생각보다 많은 인디 뮤지션들이 방송에서 얼굴을 비추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큰 문제는 '라이브 방송 환경의 부재'이다. 보통 록밴드들이 많은 인디 뮤지션들이 방송에 나오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대부분의 가요 프로들이 이런 밴드들의 라이브 무대를 꾸밀 수 있는 환경을 보유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외국과 한국의 가장 큰 차이점이자 문제이다. 외국에서는 밴드 형태의 그룹들도 TV 프로에서 손쉽게 라이브 무대를 보여줄 수 있는 반면에 한국에서는 심지어 인디 뮤지션이 아닌 씨엔블루 같은 그룹들도 가요 프로에서는 여지없이 핸드씽크를 해야 한다.
그렇다고 해서 한국의 인디 뮤지션들의 책임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 한국이라는 땅이 좁은 탓도 있겠지만, 한국의 인디 음악들도 결국은 인기 있는 몇몇 장르에 국한되어 있다. 이는 '독립성'을 통한 '다양성'을 전제로 하는 인디 음악의 특징에 맞지 않는다. 또한 한국의 인디 밴드들이 안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로 본인들의 색을 개발하려는 노력 없이 해외 음악들을 레퍼런스로 삼기만 한다는 지적도 있다. 물론 과거 번안곡이 판치던 시대보다야 나아졌겠지만, 다양성을 지향해야 하는 인디 음악에서 레퍼런스가 훤히 보이는 음악을 하면서 '신선한 음악'으로 평가받고, 이중 몇몇은 스스로 그렇게 주장하기까지 한다는 것은 상당히 위선적인 태도라고 할 수 있다. 물론 한국 인디 신 자체가 매우 좁아 몇몇 이슈만으로도 정규 앨범도 내기 전에 지나치게 쉽게 주목받을 수 있는 환경이 인디 뮤지션들에게 본인들의 스타일을 발전시킬 시간을 주지 못한 채 논란의 중심으로 내모는 현상도 한 원인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이는 최근 불거진 혁오의 표절논란에서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한편, 대중들에게 인기를 얻지 못한다고 판단한 인디 뮤지션들은 아예 대중들과의 소통 자체를 포기하고 '그들만의 리그'를 만들어 버리기도 한다. 자립생산음악조합도 이러한 리그에 포함되는데, 정치 성향의 표출과 이권단체적인 모습 때문에 일각에서는 비판하는 여론도 잦다. 특히 [6] 소도라는 음악잡담 커뮤니티에서 자립 하면 청국장 운운하며 이를 갈 정도로 까대거나 유동닉들이 뒷담화를 깐다. 만일 당신이 자립음악생산조합 혹은 조합의 가입 뮤지션 입장을 옹호하는 의견을 보이면 거기서 욕을 한바가지로 얻어먿을 가능성이 높다. 위댄스는 2013년 3월 비트볼 레코드가 영입했다.
반대로 자립에서도 사케르 안티한국인디 여론층, 현재는 소도 유저들의 디스질을 무시하고 있다. 웨이브 게시판 유저를 전신으로 하는 해당 사이트의 고정닉 몇몇과 동 웹진의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기도 했던 해당 조합의 대표뮤지션중 하나인 단편선 간의 악감정[7] 도 한몫했지만. 이러저러한 연유로 한국의 인디 음악은 오버vs인디의 이분법적인 구도로 고착화되었으며, 이는 더 큰 단절감만을 불러일으킬 뿐이다.
마지막으로 음악을 수용하는 대중들의 인식도 잘못되어 있다. 유독 한국에서는 '인디 음악'을 그 자체로 하나의 '음악 장르'로 인식한다는 큰 문제점이 있다. 물론 한국 밖에서도 인디 음악의 중추를 이루는 장르가 록 음악이지만, 헤비메탈과 브릿팝이 같은 '록'이라는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수많은 인디 음악 뮤지션들을 전부 '인디 음악'으로 싸잡에 부르는 것은 어떻게 보면 그들의 수많은 개성을 무시하는 행위이다. 그런데 서구에서도 인디 록 음악 하면 얼터너티브 록 아니면 포스트 록에 기반한 음악이란 인식은 있으며, 원래 얼터너티브 록이 밴드마다 다양한 개성을 보여주기 때문에 그런식의 '싸잡는 방법'이 100퍼센트 틀렸다고 볼 순 없다. 하지만 어쿠스틱 팝 계열의 달달하고 대중적인 10cm같은 뮤지션도, 국카스텐같은 실험적인 록 뮤지션도 인디신 내에서 존재한다는, 그둘 사이에도 차이가 있다는 인식은 필요하다.
4. 참고 사이트
5. 관련 문서
[1] 위키백과에서 이 단어를 항목명으로 사용하고 있다[2] 굳이 따지자면 소닉 유스는 메이저에서 잠시 활동한 경력이 있다.[3] 물론 힙합과 같은 다른 장르의 인디 신 역시 엄연히 존재하였으나 한국에서는 보통 '인디'라는 단어 앞에서는 록 음악을 떠올리는 경향이 있다.[4] 여담으로 배드 테이스트는 현재 딴지일보에 있다.[5] 다름이 아니라 콜드플레이, 뮤즈 등의 밴드들이 이 시절에 데뷔했다.[6] 2013년 분열사태이후 안티-한국인디적인 의견은 소도로 다 빠져나가서 지금은 이런 성향이 사케르 내에서는 많이 줄어들었다. 항목 참조.[7] 웨이브 사이트 리부트 이전 말기부터 이러한 갈등이 많이 표출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