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린(포켓몬스터)
[clearfix]
1. 정보
2. 개요
1세대부터 존재하던 마스코트 급 포켓몬. 모티브는 도감 그대로 (살아있는) 풍선이며, 애니 및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에서의 성우는 카나이 미카. 애니메이션 한국판 성우는 차명화.
일본어로 プリン인데 푸딩 역시 저렇게 부르기 때문에 일본 웹에서 푸린을 검색하면 검색 결과로 푸딩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1] 이 포켓몬을 검색하고 싶다면 앞이나 뒤에 ポケモン(포켓몬)을 붙여주자.
3. 포획
4. 대전
주로 프렌드가드 특성을 이용한 더블배틀 요원으로 활약하는데, 진화 전 단계라 진화의휘석이 필수다. 근데 휘석을 달아도 내구가 좋지 않다.[2] 그래도 프렌드가드를 가지고 있는 몇 안 되는 유닛이기 때문에 푸크린과의 차별화가 가능하나 특수내구는 핑복한테 밀린다. 결국 선택하는 사람의 취향인 듯.
일단 빛의장막, 리플렉터 같은 방어력, 특수방어력 강화 기술, 도우미, 희망사항, 치료방울 같은 다른 포켓몬을 보조하는 기술, 전기자석파, 천사의키스, 맹독 같은 상태이상 기술을 배우니 보조용으로 만들어서 써 보자.
그 외에 2:2대전에서 멸망의노래와 방어를 넣어서 마자용과 함께 멸망의노래 파티에 이용되기도 한다.
포켓몬스터 X·Y에서는 6세대부터 기존 노멀 타입에 새로운 타입인 페어리 타입이 추가되었다. 아예 노말 타입을 잃은 라이벌 삐삐와 달리 노멀 자속을 잃지 않고 고스트가 무효가 되는 점에서 차별화해야 할 듯. 일단 노말 타입의 메이저 약점인 격투가 1배가 된다는 점은 다행.
5.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5.1. 포켓몬스터 SPECIAL
포켓몬스터 SPECIAL에서는 블루의 첫 포켓몬으로 나온다.
5.2. 애니메이션
시리즈 레귤러로 노래하는 푸린이 나온다. 푸린(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항목 참조.
오리지널편 56화 <포켓몬 검정시험!?>에서 포켓몬 실루엣 퀴즈로 동그랗고 검은 원이 출제되었는데, 지우는 찌리리공, 로사는 붐볼, 로이는 몬스터볼을 생각했지만, 정답은 '''위에서 본 푸린'''이었다. 사실 다른 문제는 포니타의 불꽃 갈기, 발챙이의 소용돌이무늬 등 그래도 설정을 잘 읽고 포켓몬을 많이 접한 골수 포덕이라면 나름대로 정답에 근접할 수는 있는 문제지만 아무리 그래도 원을 푸린이라고 우기는 것은 너무 심했기 때문에 포켓몬 팬덤에서도 강렬한 인상으로 남았다. 그래서인지 간혹 포즈를 이상하게 꼬아 실루엣을 다른 포켓몬으로 보이게 만든 포켓몬 실루엣 퀴즈를 내는 유머가 간혹 돌기도 하며, 마침 아이캐치 역시 실루엣 퀴즈였기 때문에 이것과 엮이기도 한다. 훗날 푸린을 포함한 포켓몬들이 3D가 되고 나서 팬들이 확인했더니 결국 거짓말이었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후 썬&문 56화에서 푸린이 나온 에피소드의 아이캐치는 이를 패러디해 아래에서 본 푸린이 나왔다.
위의 푸린 이외에 다른 푸린이 DP에서 등장했지만 포켓몬 리그를 등록하는 단역 트레이너의 포켓몬으로 나온 것 빼고는 없다. XY에서는 오히려 진화형인 푸크린이 간호순의 파트너 포켓몬으로 등장했다.
5.3. 포켓몬 GO
포켓몬 GO에서는 애초에는 푸린이 2km 알에서 일정 확률로 부화했으나, 2016년 12월 2세대 아기 포켓몬 추가 업데이트 이후 푸푸린이 등장하면서 푸린이 더는 알에서 부화하지 않게 되었으며, 그 뒤 푸푸린은 푸린과 마찬가지로 2km 알에서 일정 확률로 부화하게 되었다.
5.4.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image]
6. 그 외
- 애니메이션에서의 푸린은 눈 색이 묘하게 초록빛을 살짝 띠는데, 이 때문인지 포켓몬스터 메인 시리즈가 아닌 다른 게임에 푸린이 등장할 때에는 초록 눈의 푸린이 등장한다. 그런데 눈이 초록빛인 푸린은 색이 다른 모습이다![3]
- 포켓몬스터 청 인트로에서는 적녹의 니드리노를 대신해서 팬텀에게 몸통박치기를 시전하고 있다. 팬텀의 할퀴기를 피하는 모습이 때려주고 싶을 정도로 깜찍(?)하다.
- 풍선 포켓몬이다 보니 배배 꼬는 길쭉이 풍선을 보고 기겁하는 만화도 있다.[4]
-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의 마이크테스트에서 푸린의 모습을 볼 수 있다.
- 대학생들 사이에서는 수면제 같은 강의를 하는 교수에 대한 멸칭으로도 사용된다. 입만 열면 다 잠재운다고...
- 국가별로 푸린의 노래가 다른 것을 보여주는 동영상이 있다.
- 홍대 앞 길거리에서 어느 유투브 사용자가 바이올린으로 푸린의 노래를 연주해서 화제가 되었다. 연주를 들은 지나가는 사람들이 잠드는 척을 하는 재미있는 모습이 보인다.
- 팬아트에서 커비와 엮이는 경우가 은근히 많다. 둘 다 분홍색에 청색 눈, 귀여운 이미지에 동그란 몸, 몸을 부풀릴 수 있는 점 등 공통점이 많아서 그런 듯.
- 명탐정 피카츄(영화) 예고편에서 마이크를 들고 노래했는데 듣는 사람이 자자 뾰로통해지는 푸린이 등장.
- 웃어? 짤도 애용되는 편이다. #
[image]
6.1. 타 팬덤 모에화
1세대부터 포켓몬스터의 마스코트 캐릭터로 쓰인 점, 대충 동글동글한 눈과 다양한 표정 등 귀엽고 단순한 요소들로 인해 각종 팬덤의 인기 연예인, 멤버, 인기 캐릭터의 별명, 모에화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푸린과 별로 닮지 않았는데도 그냥 귀여운 거 적당히 끌어와서 미화하고 싶은 심리인 듯하다. 비슷한 예시는 역시 1세대부터 귀여운 이미지로 인기를 끌었던 메타몽, 피카츄, 이브이나 전기 쥐 포켓몬인 피츄, 에몽가, 데덴네. 다만 이 때문에 일부 포켓몬 팬덤이나 포덕들은 남의 장르에 자기 장르를 비비지 말라고 비판을 하기도 한다. 실제로 트위터나 인터넷 등지에서 푸린이나 이브이를 검색하면 연예인이나 타 장르 캐릭터가 뜨는 건 일상다반사.
[image]
- 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의 팬덤은 마리아 카덴차브나 이브와 자주 엮는다. 이쪽은 색깔과 노래를 부른다는 점 때문.
[1] 질소가 들어 있는 화합물 푸린(1번 항목)도 이렇게 쓴다.[2] B252, D252로 풀투자할 시 실수치가 208, 223으로 대략 최종진화형 포켓몬 평균에 간신히 도달한다. 50레벨 기준 내구력으로 환산하면 각각 50189/53442.[3] 6세대에 와서는 거의 차이가 안 나게 되었지만, 5세대까지만 하더라도 일반 푸린의 피부색은 진한 분홍색, 색이 다른 푸린은 일반 푸린에 비해 연한 분홍색이었다. 이것 또한 애니메이션의 푸린과 비슷한 부분.[4] 친구들이랑 풍선 가게 갔다가 배배 꼬는 길쭉이 풍선을 보고는 배배 꼬이는 자신을 떠올려 기겁해 도망쳤다. 출처는 포켓몬스터 개그 극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