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2AC 시리즈/기체

 



1. 개요
2. 설명
3. 기체 규격
3.1. 제원
3.2. 기판
3.3. 출력물
3.4. 스피커
3.5. 조명
3.6. 입력부
3.7. 기타
4. CRT 모니터 보정
5. 리파인 기체
5.1. 기존 기체와의 차이점
6. 공식 기판 사양 목록
6.1. 1세대
6.1.1. 초기 (1999~2000년)
6.1.2. 중기 (2000~2003년)
6.1.3. 후기 (2003~2007년)
6.2. 2세대
6.2.1. 전기 (2007~2014년)
6.2.2. 후기 (2014~2015년)
6.3. 3세대
6.3.1. 초기 (2015~2016년)
6.3.2. 중기 (2016~2017년)
6.3.3. 현재 (2017년~)
7. 비공식 커스텀 사양 기판
7.1. 메인보드, CPU, 램
7.1.1. 945칩셋
7.1.2. G31칩셋
7.1.3. G41칩셋
7.2. 그래픽 카드
7.3. 파워 서플라이
7.4. 케이스
7.5. 저장장치
8. 여담
8.1. 시스템 부팅 과정
8.2. 성능 개선 방안
8.2.1. 게임 엔진 개량
8.2.2.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8.2.2.1. ISA to PCI 또는 PCI Express 또는 USB 컨버터
8.2.2.2. ISA 슬롯이 탑재된 다른 메인보드
8.2.2.3. PCI 슬롯 타입의 사운드 카드
9. 관련 문서


1. 개요


[image]
EZ2AC 기체와 기판의 상세 사양에 대한 문서이다.

2. 설명


EZ2DJ의 기체는 2001년 4월분을 마지막으로 MINI 기체를 제외하면 더 이상 출고되지 않았으나, '''10,120대'''라는 어마어마한 물량을 생산한 덕분에 2010년대가 끝나가는 시점까지도 수백대가 넘는 새 기체가 잔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아무리 새 기체라고 해도 생산된 지 최소 20년이 다 되어가는 물건이라서 EZ2DJ AEIC의 발매 이후로는 오래되어 마모되고 부식된 철판 프레임, 찢어진 우퍼 등의 기체 대부분의 부품들을 바꾼, 이른바 리파인 기체들이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기계를 이렇게 다시 정돈하여 내보내는 곳의 주체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SQUARE PIXELS라는 추측이 있다.
아케이드 게임 기판이 PC 기반으로 제작되는건 요즘에는 흔한 일이지만, 1999년 당시엔 PC 베이스의 기판이 꽤 드문 편이었다. 그래서 부팅 과정이나 블루스크린 등을 본 적이 있는 일반인들에게는 Windows로 돌아가는 오락실 게임기라며 특이해하는 반응이 많았다. PC 기반인 덕분에 퀄리티가 뛰어나지만, 초기 버전은 HDD에서 실행 파일 등이 쉽게 덤프될 수 있고, 약간의 커스텀만 가해도 일반 PC에서 구동할 수 있어서 복돌이 문제에 취약하다는 건 아쉬운 부분이다.
EZ2DJ 1st와 1st S/E는 Windows 98 기반, 2nd부터 EVOLVE 1.2a 버전까지는 Windows 98 Second Edition 기반에 ISA 슬롯에 I/O 카드를 장착한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EV 1.3c 이후로는 Windows XP 기반 PC에 기존 I/O 카드를 장착한 시스템을 사용한다. 기판은 시리즈 전체로 봤을 때 크게는 2번 업그레이드 되었으며 이후 RAM그래픽 카드 교체 등 작은 규모로는 6번 정도 업그레이드 되었다. 메인보드는 3종류 규격(AGP, PCI, ISA)의 확장 카드 슬롯들을 지원해야 하기 때문에 비교적 확장 슬롯이 많은 ATX 규격의 폼팩터를 사용하고 있다. 만약 AGP 호환 그래픽 카드를 구할 수 없는 상황일 경우 충분한 PCI 슬롯 개수와 간격이 된다면 AGP 대신 PCI 호환 그래픽카드 + PCI 호환 사운드카드 + ISA 호환 I/O 카드 조합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그런데 요즘은 PCI가 칩셋 자체의 미지원은 물론 외부 써드파티 컨트롤러 지원조차 없어지는 추세에 확장카드는 PCI Express로 통일한지라 메인보드 업그레이드에 제한이 있다.
기판에 대한 공식 네이밍이 없기 때문에 구기판, 신기판으로 나누어 부른다. 1세대는 구기판, 2세대는 EZ2AC 버전에 따라 EC 이하에서 언급한다면 신기판, EV에서 언급한다면 구기판. 3세대는 신기판이라고 부른다.
내부 기판이 아닌 기체 외형은 1999년 첫 출시 이후로 한 번도 변경되지 않았다. 2003년에 MINI 기체를 출시하기는 하였으나, 정식 아케이드용 기체가 아니다. 또한 2001년 이후로 생산이 완전 중단되었기 때문에 상태가 나쁜 기체들도 상당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내부의 CRT 컨트롤러가 고장나서 화면이 심하게 떨려서 정상적인 플레이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예전 기체가 리파인 기체가 되거나, 수리를 거치면서 변경되는 부분은 기체 내부의 기판, 모니터 위의 포스터 형식의 상판, 모니터 하단에 부착되는 띠지 정도다. 본래는 기계 위에 올리는 안내판, 양쪽에 날개 모양으로 달아두는 안내판도 따로 있었지만, 15년이 넘게 지나면서 파손되거나 분실되다보니 지금은 대부분 소실되었다. 두 종류 모두 2013년 EZ2AC : ENDLESS CIRCULATION부터는 아예 만들지도 않는다.
관리가 잘 되는 곳은 최신 버전이 가동될 즈음에 S/W가 담겨진 HDD 뿐만 아니라 상판도 같이 교체되고 오락실 자체적으로 업그레이드 킷에서 제공하지 않는 키판을 부착하기도 한다. 대체적으로 최신 버전의 키판이 부착되어 있다면 기체를 들인 지 얼마 되지 않았거나 관리가 잘 되는 오락실이라는 반증이기도 하다.

3. 기체 규격


EZ2DJ, EZ2AC의 아케이드 기체의 규격에 대해 서술한다.

3.1. 제원


  • 면적 : W 1,100 × D 1,061 × H 1,917 (mm)
  • 무게 : 250 kg (CRT 모니터 기준)[1]
  • 사용 전원 : AC 220(±10) V, 50 ~ 60 Hz
  • 소비 전력 : 220 W ~ 880 W

3.2. 기판


[image]
EZ2AC를 구동하는 컴퓨터이다.
기체의 하단부에 위치해 있으며 금고 문을 통해서 기체 전원, 파워 서플라이 전원, 테스트 버튼, 서비스 버튼 등을 조작할 수 있고 뒷부분 뚜껑을 열면 모니터 케이블, 사운드 케이블, IO 케이블 등이 있다.
기판의 옆부분에는 220볼트를 사용하는 120 mm의 팬이 장착되어 기판 내부의 열을 바깥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2]
기판 내부에는 일반 PC처럼 메인보드, 램, 사운드카드, IO카드, 파워 서플라이, 하드 디스크가 들어 있고, 전면부 전원 스위치를 올리면 기체와 기판에 전원이 공급되고 자동으로 컴퓨터가 부팅된다. 뒷부분에는 USB 단자[3], 병렬 단자[4], PS2 단자[5], D-SUB 단자, 사운드 단자, IO 단자가 있다.
대부분의 오락실들은 편하게 정비하기 위해 케이스 커버가 없는 상태에서 구동을 하는데, 이렇게 하면 메인보드에 먼지가 쌓여 성능이 저하되고 냉각도 불량해지니 케이스 커버를 장착하는 것이 좋다.

3.3. 출력물


  • 기체 최상단 간판 : 기체 위에 얹는 간판이다. EZ2DJ 7thTRAX ~Resistance~를 마지막으로 출고가 되고 있지 않다.
  • 상단 포스터 : 네온 사이에 있는 출력물이다. 구작은 유광재질이였다가 BE 부터 PET 재질로 변경되었다. 사이즈는 버전마다 약간 다르지만 최신 기준으로 가로 245mm, 세로 380mm 이다.
  • 모니터 하단 스티커 : 모니터와 주입력부 중간에 길게 붙어 있는 가로 755mm, 세로 60mm의 스티커.
  • 모니터 좌, 우측 날개: 간단한 모드 설명과 신규 시스템 등이 적혀있다. EZ2DJ 7thTRAX BONUS EDITION revision A부터 단순히 타이틀 화면을 캡처한 이미지를 사용하다가 EZ2AC : ENDLESS CIRCULATION부터 출고가 끊겼다.[6]
  • 입력부 조작법 설명 : 알루미늄판 부식 인쇄. 오래된 기체는 키판 아크릴에 자국이 찍혀있는 경우가 많다. 리파인 기체에는 각 버전에 해당하는 출력물이 부착되어 나오며, 기존에 철판이 부착되어 있는 오락실도 자체적으로 교체한 경우가 있다. 사이즈는 가로 560mm, 세로 315mm.
  • 턴테이블 부착 철판 : 알루미늄판 부식 인쇄 후 접착제 부착. 턴테이블부 나사를 정확히 가리고 있기에 정비의 편의를 위해 없애는 곳이 많다.
  • 우퍼 상, 하단 : 상단 "Double Woofers"와 하단 "AMUSE WORLD"가 적혀 있는 부분. 알루미늄판 부식 인쇄. EZ2AC : ENDLESS CIRCULATION 이후 제작된 리파인 기체는 하단 알루미늄판에 아무것도 인쇄되어 있지 않다.
  • 페달 상단 : "Push the PEDAL"이 적혀 있는 부분. 알루미늄판 부식 인쇄. 초기형과 후기형이 존재한다. 초기형은 1P와 2P가 구분되어 있는데, 현재는 보기 힘들다. 싱글 기체와 함께 제작된 후기형은 플레이어 구분이 없으며, 현재 오락실에서는 거의 이 후기형을 사용한다. 리파인 기체 일부는 이 부분에 아무것도 인쇄되어 있지 않다.
  • 페달 하단 : 실제 발로 누르는 부분으로, EZ2DJ 로고가 그려져 있다. 알루미늄판 부식 인쇄. 다른 부식형 인쇄물과 달리 이쪽은 잉크 처리가 되어 있지 않다. 리파인 신형 페달에는 아무런 무늬도 글자도 없다.

3.4. 스피커


  • 상단 포스터부 : 4 인치 및 6.5 인치
  • 입력부 좌, 우측 : 5.25 인치
  • 하단 우퍼 : 8 인치
  • 임피던스 : 8 Ω(ohm)
기본적으로 스테레오 사운드를 지원하며[7], 부품 관리가 잘 되어 있다면 웬만한 현 세대 기체 뺨치는 사운드를 경험할 수 있다.

2인 동시 플레이시에는 좌/우측이 각각 1P, 2P 사운드를 따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데, 간혹 좌우가 바뀌어 출력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자신의 소리보다 상대방의 플레이 소리를 더 가까이서 들어야 하기 때문에 정도는 개인마다 다르지만 플레이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이어폰 포트가 두 개 설치되어 있어 2인 플레이에서 모니터링을 따로따로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사실은 외부 스피커와 동일한 소리를 출력하기 때문에 별 의미가 없다. 이 기능까지 구현하려면 6채널 이상의 다채널 설계를 하여야 한다.

3.5. 조명


  • 상단 포스터 형광등 조명: 기체 상단 스피커의 중앙부 포스터 뒤쪽에 있는 조명으로, 상시 점등.
  • 상단 네온 조명: 기체 상단 스피커 둘레에 설치된 원형 조명이다. 타이틀 및 선택 UI에서는 저속 점멸, 스타트 연출시에는 고속 점멸, 게임 플레이시에는 기어의 그루브 라이트와 연동되어 점멸한다.
  • 상단 좌, 우측 할로젠 조명: 기체 상단의 양 사이드에 두 개씩 붙어 있는 작은 크기의 조명이다. 안정기 내장형 MR16 소켓의 램프를 사용하지만 GU10 소켓을 사용하는 기체도 소수 존재한다.[8] 아래쪽은 COOL 이상의 판정이 발생했을 때, 위쪽은 MISS 이하의 판정이 발생했을 때 점멸한다. 다만 할로젠 조명이 전력도 많이 먹을 뿐더러 노트가 많아지고 난이도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된 현재는 COOL 램프가 꺼지지 않아 연출 효과가 반감되고 플레이어의 시선 확보에도 방해를 줄 수 있어 오락실 재량으로 이 부분의 선을 끊어버려서 조명을 비활성화하는 경우가 많다. 리파인 기체는 이 부분을 플라스틱으로 막아두었다.
  • 입력부 내 LED 조명: 버튼 및 턴테이블 내부에 설치된 조명이다. 타이틀 화면[9] 및 UI에서는 일정한 규칙에 의해 점멸된다. 곡 선택 화면에서 이펙터는 각 버튼에 해당하는 옵션이 설정되어 있으면 점등, 옵션이 해제되어 있으면 소등된다. 게임 플레이에서는 각 입력장치의 입력을 시작하면 점등, 입력을 종료하면 소등된다.
  • 하단 우퍼 조명: 기체 하단 양측 우퍼 안쪽에 설치된 조명으로, E26 소켓을 사용하는 형광등이다. 상시 점등. 여기에서 구매할수 있다.

3.6. 입력부


  • 턴테이블: 키판 양 옆에 달린 원판으로, 내부에 베어링과 톱니바퀴가 달려 있으며 이 톱니바퀴의 움직임을 적외선 센서 2개가 감지한다.
  • 스타트 버튼: 406 램프버튼을 사용. 대부분 흰색이다.
  • 이펙트 버튼: 406 램프버튼을 사용하며 보통 빨간색이다.
  • 건반: 405 램프버튼 5개가 M자 배열로 배치되어 있으며 보통 위쪽 2개가 파란색, 아래쪽 3개가 흰색이다.
  • 페달: 기체 아래쪽에 달린 발판이며 마이크로스위치를 사용하여 입력을 받는다.
  • I/O 보드: 키판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기판이다. Atmel사의 8051 계열 마이크로컨트롤러를 비롯한 여러 논리 IC들이 장착되어 있다. 버튼의 입력과 램프 조작 등 각종 I/O 신호를 처리하며 이 신호는 DB-25 케이블을 통해 ISA 카드와 교류한다. 이 부품을 정비할때 전원을 반대로 꼽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잘못 꼽으면 부품이 한방에 죽는다.

3.7. 기타


  • 앰프: PC 보드 위쪽에 위치하며 시스템 사운드를 6개의 스피커로 증폭한다.
  • 조명 릴레이: 고압 릴레이가 여러개 붙은 기판이며 I/O 보드의 신호를 받아 상단 조명을 제어한다.
  • 파워 서플라이: PC 기판을 제외한 모든 부품에 전원을 공급한다.

4. CRT 모니터 보정


'''경고'''
'''{{{#red CRT 내부에는 고전압이 흐르고, 밀폐된 브라운관 내부에는 진공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당히 위험합니다.
1. 필요한 부분 이외에는 절대 손대지 마시고,
1. 작업할 때는 반드시 절연장갑을 착용하시기 바라며,
1. 절대로 브라운관을 깨뜨리지 마시고,
1. 가급적이면 응급처치가 가능한 보조 인원을 두고 작업하시기 바랍니다.}}}'''
[1] LCD 모니터를 사용하면 무게가 50~55kg 줄어든다.[2] 위 사진의 쿨러는 12볼트용으로 교체된 것이다.[3] USB 동글을 끼우는 곳이다. 물론 키보드와 마우스도 사용할 수 있다.[4] 하드록을 끼우는 곳[5] 메인보드 설정, 윈도우 설정, 드라이버 설치 작업을 하려면 키보드나 마우스가 필요한데, 여기나 USB 단자에 꼽아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TT 후기형 하드부터는 메인보드 설정만 가능하다.[6] 컨셉 이미지는 존재하고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이걸 구현한 사람도 나왔다.[7] 우퍼는 모노로 출력된다. 즉, EZ2AC의 사운드 시스템은 2.1채널이다.[8] GU10 소켓인경우 조명 통이 약간 다르게 생겼다. 보통 구멍을 다수 뚫는식으로 장식이 되어있다.[9] EZ2AC : ENDLESS CIRCULATION 까지는 일정한 속도로 점멸, EZ2AC : EVOLVE 1.5 이후는 1P 입력부→2P 입력부→전체 점등→이펙터 순으로 계속 반복이지만 FN에 한해서 점멸되지 않고 버튼을 누르면 점등된다.
EZ2AC 기체의 모니터는 1포커스 모델은 PDT, 2포커스 모델은 RCA사의 CRT 모니터를 사용하고 있다. 코인기를 열면 모니터 조정기가 보이는데, 이 조정기를 조작해서 화면 기울기와 위치 등을 조정할 수 있다. 조정기는 4버튼 방식과 LED가 있는 8버튼으로 나뉜다. 8버튼은 모드 LED가 4개 있으며 초록색과 노란색 각각 4개씩 모드가 있다. LED 밑에 아이콘과 함께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고 제일 왼쪽 버튼으로 모드 스위치를 하고 3, 4번째 버튼으로 조절하면 된다. 5, 6번째 버튼은 밝기, 7, 8번째 버튼은 대비 조절이다. 기체 연식이 연식이다 보니 상태가 천차만별에 극과 극을 달리므로 사용하기 전에 버튼이 모두 동작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색감 조절은 기체 뒷면의 뚜껑을 열면 나오는 CRT 기판에서 할 수 있다. 전자총이 달리는 기판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RGB 노브만 달린 모델과, RGB에 RB가 하나씩 더 달린 모델이 있다. 색상 노브 이외에는 초점 노브가 있으므로 테스트 모드의 화면 테스트에 진입한 뒤 화면이 또렷하게 나오는지 확인하면서 돌리면 된다. 가급적이면 커다란 거울을 준비해서 뒤에서도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모니터를 보정하는 데 사용하는 스위치의 내구성이 보통 20~50회 정도 누르면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으므로 필요한 경우만 조절해야 한다.
당연하지만 LCD 모니터로 교체한 경우에는 보정할 필요가 없다.

5. 리파인 기체


2012년 EZ2DJ : AZURE EXPRESSION INTEGRAL COMPOSITION 출시 이후부터는 기존 기체의 부품들을 최대한 새것으로 교체하고 유지보수를 해서 출고하는 리파인 기체가 등장했다.
리파인 기체는 총판이 공식적으로 제조하는 리파인 기체와 타 업체에서 제작하는 리파인 기체(일명 짭파인)로 나뉜다. 타 업체에서 제작하는 리파인 기체끼리의 차이가 있어서 어떤 기체는 EZ2AC : EVOLVE인데도 키판에 EZ2DJ : AZURE EXPRESSION INTEGRAL COMPOSITION의 올송 커맨드가 적혀있는 등 이해도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현재 공식 리파인 기체는 FINAL EX 버전이 280만원에 판매중이다.

5.1. 기존 기체와의 차이점


공식적으로 제조한 리파인 기체들도 출고 시기에 따라서 외형이 다르므로, 아래의 특징이 100% 일치하지 않아도 리파인 기체인 경우가 많다.
  • 새로운 부품으로 갈아 끼울 수 있는 부품들은 모두 새 부품을 사용했다. 철판, 버튼부, 턴테이블의 검은 아크릴, 우퍼 등. 사정상 신품으로 바꿀 수 없는 I/O 보드와 턴테이블 베어링 부분을 제외하면 모두 새 부품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 건반부가 회색 인조가죽 시트지에서 검정색 체크무늬 시트지로 바뀌어 외형이 깔끔해졌다.
  • 키판 시트지가 기본적으로 부착되어 나온다. 초창기에는 AEIC 시트지가 끼워졌으나 이후 버전에 맞는 시트지를 끼워준다.
  • 상단부 할로젠 조명이 플라스틱으로 막혀있다. 당연히 조명도 들어오지 않는다.
  • 측면 EZ2DJ 시트지와 우퍼 쪽 'DOUBLE WOOPERS' 스티커를 제외하면 어뮤즈월드와 EZ2DJ 표기가 대부분 사라졌다. 공식 리파인과 비공식 리파인을 구분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으로, 우퍼 아래쪽의 'AMUSE WORLD' 문자의 잔존 여부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2013년 1분기까지는 공식 리파인 기체라도 어뮤즈월드와 EZ2DJ 표기가 존재했다.
  • 페달의 설계가 바뀌어 소음이 다소 줄어들었다. 대신 페달의 무게가 꽤 무거워졌다.
  • 모니터의 경우에는 원래 기존 CRT 모니터를 수리해서 사용했으나, 수리 불가능한 모니터가 점점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현재는 LCD 모니터로 교체해서 출고한다. 2014년 이후부터 출고되고 있는 리파인 기체들은 모두 32인치 LCD 모니터를 탑재하였다. 공식 리파인 기체에 탑재된 LCD 모니터들은 1360x768이나 1920×1080 FHD 해상도를 지원한다.[10] 규격만 같으면 다른 LCD 모니터로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6. 공식 기판 사양 목록


IBM PC 호환기종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요 하드웨어를 기준으로 구분하며, 세대 구분 기준은 메인보드[11][12] > 그래픽카드[13] > RAM[14] > 나머지 하드웨어 순으로 한다.

6.1. 1세대


AMD K6 마이크로아키텍처 기반 CPU가 탑재된 기판을 사용한다.

6.1.1. 초기 (1999~2000년)


'''사용 시기'''
<colbgcolor=white,#191919>EZ2DJ The 1st TRACKS
EZ2DJ The 1st TRACKS Special Edition
'''CPU'''
AMD K6-2 Chomper Extended 350 ~ 400 MHz
'''메인보드'''
'''모델명'''
SOLTEK SL-56D1 ~ SL-56G5 중에 하나로 추정
'''CPU 소켓'''
슈퍼 소켓 7
'''칩셋'''
VIA Apollo MVP3
'''메인 메모리'''
PC-100 (100 MHz) SDRAM 64 MB
'''보조 저장 장치'''
ATA33 규격의 퀀텀 파이어볼 4 ~ 6.4 GB HDD
'''그래픽 카드'''
인텔 i740 8 MB
'''사운드 카드'''
Creative Sound Blaster Live! CT4670, CT4830
'''I/O 컨트롤러'''
보드 내 ISA 슬롯에 삽입된 I/O 카드
'''인증 장치'''
패러럴 포트형 Hardlock EYE 동글
'''디스플레이'''
33인치 SVGA CRT 모니터[15]
'''운영체제'''
Windows 98[16]
[10] 그 이전에도 일부 오락실들은 자체적으로 LCD 모니터로 교체해서 사용했다. 자체적으로 교체된 모니터들은 당연히 모니터마다 상태 및 성능 차이가 있다. 리파인 기체에 달린 LCD 모니터는 화면 비율의 차이로 인해 남는 공간을 플라스틱으로 막아두었지만, 자체적으로 교체한 경우에는 막혀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11] 단, 실제 상위 모델과 하위 모델을 혼용할 경우, 같은 세대로 취급한다.[12] CPU의 경우 동시기에 같은 메인보드 내에서 여러 모델들을 혼용하기 때문에 세대 구분하기가 모호하지만, 대체로 메인보드 업그레이드에 따라 CPU도 함께 업그레이드되므로 메인보드와 묶어서 구분한다.[13] 메인보드와 마찬가지로 동시기에 실제 상위 모델과 하위 모델을 혼용할 경우, 같은 세대로 취급한다.[14] 메인보드, 그래픽카드와 마찬가지로 동시기에 서로 다른 용량의 RAM을 혼용할 경우, 같은 세대로 취급한다.[15] 모니터 자체는 800×600 해상도까지 지원하지만, 인게임상으로는 640×480 해상도로 구동한다.[16] 대부분 영문 Windows 98을 사용하지만, 일부 물량은 한글 Windows 98이 탑재된 경우도 있다.
1999년 당시의 신형 OS와 메인스트림급 사양의 PC를 오락실 기판에 적용하였기 때문에 당시 오락실 기판 중에서는 상당한 고성능에 속하는 기판이었다. 덕분에 높은 퀄리티를 뽑을 수 있게 되었고, 먼저 나온 beatmaniaDanceDanceRevolution은 물론이고 동세대에 나온 beatmania, 펌프 잇 업보다 더 뛰어난 비주얼 수준으로 평가받았다. 다만, 비주얼 외 데이터나 메모리 등에서는 IIDX한테 크게 밀렸다. IIDX의 경우, 첫 작품부터 30MB 크기의 대용량의 DVD 플레이어와 CD 매체를 활용한 풀 동영상 BGA로 압도하였지만, 5th style까지는 GOLI의 UI 아트 스타일로 인해 호불호가 갈렸다.

6.1.2. 중기 (2000~2003년)


'''사용 시기'''
<colbgcolor=white,#191919>EZ2DJ 2ndTRAX ~It rules once again~
EZ2DJ 3rdTRAX ~Absolute Pitch~
EZ2DJ 4thTRAX ~Over Mind~
'''CPU'''
AMD K6-2 Chomper Extended 350 ~ 400 MHz
'''메인보드'''
'''모델명'''
SOLTEK SL-56D1 ~ SL-56G5 중에 하나로 추정
'''CPU 소켓'''
슈퍼 소켓 7
'''칩셋'''
VIA Apollo MVP3
'''메인 메모리'''
PC-100 (100 MHz) SDRAM '''128 MB'''
'''보조 저장 장치'''
ATA33 규격의 퀀텀 파이어볼 4 ~ 6.4 GB HDD
'''그래픽 카드'''
'''NVIDIA RIVA TNT2 M64 32 MB'''
'''사운드 카드'''
Creative Sound Blaster Live! Live! CT4670, CT4830
'''I/O 컨트롤러'''
보드 내 ISA 슬롯에 삽입된 I/O 카드
'''인증 장치'''
패러럴 포트형 Hardlock EYE 동글
'''디스플레이'''
33인치 SVGA CRT 모니터
'''운영체제'''
'''Windows 98 Second Edition'''
EZ2DJ 2ndTRAX ~It rules once again~부터 그래픽카드가 RIVA TNT2 M64로, RAM이 EZ2DJ The 1st TRACKS Special Edition보다 2배 많은 용량인 128 MB SDRAM으로, OS가 Windows 98 Second Edition으로 대폭 업그레이드되었다. 전작에 비해 향상된 시스템 안정성, 화려한 비주얼, 확장된 사운드 볼륨이라는 3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 사실상 "1.5세대" 기판이라고 봐도 좋을 정도.
이러한 성능 잠재력은 EZ2DJ 3rdTRAX ~Absolute Pitch~에서 진가를 발휘하게 되어 모든 면에서 정점을 찍을 수 있었다. 2D 그래픽 비주얼 한해서는 당시에 출시된 모든 리듬 게임들 중에서도 최고의 퀄리티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니다. 비슷한 시기에 가동된 beatmania IIDXbeatmania IIDX 6th style부터 그래픽 디자이너가 GOLI에서 HES로 교체되면서 비주얼 퀄리티가 크게 향상되었고 CD에서 DVD 매체로 변경되면서 BGA 화질과 퀄리티도 향상되었지만 EZ2DJ 3rdTRAX가 한 수 위였다. 펌프 잇 업펌프 잇 업 THE REBIRTH부터 비주얼이 향상되었지만 EZ2DJ 3rdTRAX보단 떨어지고 BGA 퀄리티 자체는 나쁘지 않지만 신규 BGA들의 참여 아티스트들이 소수라서 그런건지 연출 다양성 면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
EZ2DJ 4thTRAX ~Over Mind~에서도 3rd 못지 않는 수준 높은 비주얼과 사운드가 구현되었지만, BGA의 퀄리티가 나날이 상승되면서 BGA 리소스들의 사양도 점점 높아져 이로 인한 최적화 문제 및 다른 부분들의 버그, 이 자주 발생하였다. 게다가 구곡들이 대량 삭제되었는데, 다행히 구곡 삭제 덕분인지 RAM 용량 부족 현상은 크게 대두되지 않았다. 하지만 해당 운영체제는 꽤나 오랫동안 EZ2AC 내부 시스템의 정체성이자 '''족쇄'''가 되었다.

6.1.3. 후기 (2003~2007년)


'''사용 시기'''
<colbgcolor=white,#191919>EZ2DJ Platinum
EZ2DJ 6thTRAX ~Self Evolution~
'''CPU'''
AMD K6-2 Chomper Extended 350 ~ 400 MHz
'''메인보드'''
'''모델명'''
SOLTEK SL-56D1 ~ SL-56G5 중에 하나로 추정
'''CPU 소켓'''
슈퍼 소켓 7
'''칩셋'''
VIA Apollo MVP3
'''메인 메모리'''
PC-100 (100 MHz) SDRAM '''256 MB'''
'''보조 저장 장치'''
ATA33 규격의 퀀텀 파이어볼 4 ~ 6.4 GB HDD
'''그래픽 카드'''
NVIDIA RIVA TNT2 M64 32 MB
'''사운드 카드'''
Creative Sound Blaster Live! CT4670, CT4830
'''I/O 컨트롤러'''
보드 내 ISA 슬롯에 삽입된 I/O 카드
'''인증 장치'''
패러럴 포트형 Hardlock EYE 동글
'''디스플레이'''
33인치 SVGA CRT 모니터
'''운영체제'''
Windows 98 Second Edition
EZ2DJ Platinum에서는 수록곡 볼륨이 급격하게 커지고 개발 지원은 4th 때보다 더욱 열악해져서 최적화 작업을 완벽하게 마무리할 여유가 없었는지 128 MB SDRAM을 탑재한 기존의 기체에서 '''RAM 용량 부족 문제'''로 구동이 버벅거렸는데, 당시에도 구형이라 구하기 쉽지 않았던 PC-100 규격의 128 MB SDRAM 모델의 물량을 우여곡절 끝에 확보한 후 무상으로 추가 장착을 지원하여 버벅거림 문제만큼은 어떻게든 조치될 수 있었다. 시스템적인 기능 추가보다는 콘텐츠 보강에 중점을 둔 덕분이라고 볼 수 있다.[17] 여기까지의 하드웨어적인 문제점도 그냥 애교 수준에 불과했었다.
EZ2DJ 6thTRAX ~Self Evolution~에서는 전작보다 더 많은 기능과 시스템이 새로 추가되면서 Platinum 때보다 더 치명적인 싱크 밀림 현상 등의 문제들이 나타나고 말았다. 특히 이러한 현상들은 버추얼 배틀 모드에서 자주 발생했었는데, 이번엔 RAM 용량 부족 문제보다는 '''CPU 성능 미달 문제'''가 더 컸으며, 하드웨어 관련 잠재적 문제점들의 고름이 6th에 와서야 터지게 된 것. 당시 개발진 측에서는 비공식 패치 버전을 통해 어느 정도 개선했지만 완벽하게 해결한 건 아니었고, 하드웨어 사양을, 정확히는 CPU를 업그레이드해야 해결할 수 있다고 못박았다.
실제로 사내 테스트용 기체에서 EZ2DJ 7thTRAX ~Resistance~부터 적용된 2세대 사양으로 업그레이드한 결과 상당한 최적화를 보여준 것으로 언급되었다. 기존 메인보드에서 업그레이드 가능한 최상위 CPU가 기존 CPU보다 높은 클럭 속도인 AMD K6-2 550MHz이니 굳이 메인보드까지 갈아엎을 필요가 없지 않을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보다 더 높은 성능인 코퍼마인 펜티엄 3 또는 투알라틴 셀러론에서야 쾌적한 구동을 보여줄 정도면 K6-2 550으로도 역부족일만큼 버추얼 배틀 모드 자체가 높은 사양을 요구하는 기능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렇게 업그레이드된 사양이 2년 넘도록 아케이드 시장에 널리 실현되지 못함으로써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문제는 훗날 7th 개발진에게 넘겨줄 수밖에 없었다.

6.2. 2세대


인텔 P6 마이크로아키텍처 기반 CPU가 탑재된 기판을 사용한다. 8년 동안 사용했지만 오래 사용하면 안 되었던 성능[18]이라서 좀비라는 불명예를 안겨주었다.

6.2.1. 전기 (2007~2014년)


'''사용 시기'''
<colbgcolor=white,#191919>EZ2DJ 7thTRAX ~Resistance~
EZ2DJ 7thTRAX Ver 1.5
EZ2DJ 7thTRAX Ver 2.0
EZ2DJ 7thTRAX CLASS R ~CODENAME:VIOLET~
EZ2DJ 7thTRAX BONUS EDITION
EZ2DJ 7thTRAX BONUS EDITION revision A
EZ2DJ : AZURE EXPRESSION
EZ2DJ : AZURE EXPRESSION INTEGRAL COMPOSITION
EZ2AC : ENDLESS CIRCULATION
'''CPU'''
인텔 투알라틴 셀러론 1.1 ~ 1.4 GHz
인텔 펜티엄 III 코퍼마인 533 ~ 1000 MHz[19][20]
'''메인보드'''
'''모델명'''
불명
'''CPU 소켓'''
소켓 370
'''칩셋'''
VIA Apollo Pro 133A
VIA Apollo Pro 133T
'''메인 메모리'''
PC-100 (100 MHz) SDRAM '''256 ~ 512 MB'''
'''보조 저장 장치'''
IDE(PATA) 규격 20 GB 이상의 HDD
'''그래픽 카드'''
NVIDIA RIVA TNT2 M64 32 MB
'''사운드 카드'''
Creative Sound Blaster Live! Live! CT4670, CT4830
'''I/O 컨트롤러'''
보드 내 ISA 슬롯에 삽입된 I/O 카드
'''인증 장치'''
패러럴 포트형 Hardlock EYE 동글
'''디스플레이'''
33인치 SVGA CRT 모니터
'''운영체제'''
Windows 98 Second Edition
[17] 선곡 화면의 수록곡 리스트 형태가 변경된 것 말고는 모드 체계는 전작과 동일하다.[18] 말이 8년이지 인텔 펜티엄III 시리즈 중 180nm 공정이 적용된 코퍼마인과 130nm 공정이 적용된 튜알라틴 CPU가 각각 1999년 10월, 2001년 6월에 출시된 점을 감안하면 실제 연식은 6년 이상 더 오래되었다고 볼 수 있다.[19] EC를 통해 확인된 최저 클럭 모델은 533MHz이지만 최하위 모델인 500MHz가 사용된 곳이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20] 펜티엄 3 코퍼마인의 최고 클럭 모델인 1133 MHz는 희귀한 물량과 매우 비싼 가격만이 아니라 당시 경쟁 제품군이었던 AMD 애슬론을 이기려고 클럭을 무리하게 끌어올리다가 문제점이 발생해서 리콜을 맞게된 적이 있었기 때문에 안정성을 중요시하는 오락실 게임기로는 여러모로 부적합한 CPU이다.
EZ2DJ 6thTRAX ~Self Evolution~에서 사내 테스트용으로 잠시 구동되었던 사양이 정식 사양으로 채택되었다. 버추얼 배틀 모드까지 있던 전작에서도 쾌적한 구동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버추얼 배틀 모드가 삭제된 EZ2DJ 7thTRAX ~Resistance~에서는 EZ2DJ 3rdTRAX ~Absolute Pitch~ 이후로 오랜만에 성능 부족 문제라는 혹평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EZ2DJ 7thTRAX Ver 1.5부터 인수인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는지 사운드 카드 사양에 맞지 않는 음원 사양으로 제작된 수록곡들이 남발하면서 '''음파 크래시 버그'''가 속출하고 말았는데, 이 때문에 서로 다른 리듬 게임기들이 다닥다닥 붙여있는 오락실 특성상 오죽하면 다른 리듬 게임 플레이어들에게 폐 끼치는 리듬 게임이라고 불렀을 정도. 사운드 크리에이터로서 여러 악곡들을 제공했었던 yak_won이 사운드 엔지니어링까지 담당하게 되면서 이 버그의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조치하기까지 몇 년의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었다.
음파 크래시 버그 말고도 EZ2DJ 7thTRAX CLASS R ~CODENAME:VIOLET~에서 RAM 용량 부족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올라오기 시작했는데 구곡들이 대량 삭제된 것이 그 증거. 다행히 EZ2DJ 7thTRAX BONUS EDITION revision A에서 삭제된 모든 구곡들이 부활된 상태에서도 RAM 용량 부족 문제가 크게 대두되지 않았던 점을 생각해보면, 순전히 최적화 문제였을 수도 있다. 물론 완벽하게 쾌적한 구동은 아니었기 때문에 일부 오락실에서는 비공식으로 512MB로 증설하곤 했었다. 진작에 공식 사양을 512MB로 조정했다면 굳이 구곡들을 삭제할 필요가 없었을지도 모른다.
EZ2DJ : AZURE EXPRESSION에서 7thTRAX 계열 수록곡들 중 무려 48곡이나 삭제되어서 수록곡 삭제는 어쩔 수 없다고 해도 수록곡에 파생되는 각종 패턴들까지 함께 삭제되는 바람에 밸런스면에서 많은 비판을 받았지만, 하드웨어 성능 문제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별로 없었으며 오히려 수록곡 볼륨이 줄어든 점 때문에 올송 커맨드를 적용해도 선곡 화면 진입 로딩 시간이 빨라졌다. EZ2DJ : AZURE EXPRESSION INTEGRAL COMPOSITIONEZ2AC : ENDLESS CIRCULATION에서 신곡들을 대폭 추가했음에도 매우 쾌적한 구동을 보여줌으로써 낮은 하드웨어 사양에도 현세대 부럽지 않은 퀄리티를 구현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이미지로 평가받았다.
OS는 2nd부터 적용된 Windows 98 Second Edition의 자체 경량화 버전을 그대로 사용하고, 불필요한 요소는 모두 삭제되었기 때문에 메모리 누수 등의 이유로 가동이 중지되는 경우는 적었으나 여전히 불안정하고 버그가 많았다. 성능이 좀 오르긴 했지만 그래픽 카드는 여전히 2nd부터 적용된 사양 그대로인데다 콘텐츠에 비해 낮은 성능의 하드웨어와 겹처 프레임 드랍과 싱크밀림이 발생되는 등 상당히 좋지 않았다. Windows 98 Second Edition이 24-bit LBA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137 GB 이상의 HDD를 끼워도 정상적인 인식이 되지 않았고, 이는 160 GB 하드디스크에 담긴 게임의 정상적인 구동을 방해하여 여러 버그가 발생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MSCF로 잘 알려진 닉네임 / 점수 버그가 있으며 이 외에도 게임 도중 프로그램 이상 종료 등의 문제를 일으켰다.
CPU 방열 처리 능력이 떨어져 쓰로틀링 발생으로 프레임 속도 저하되곤 했는데, 기판 도입 초기가 아닌 한참 지난 시기에 나타난 증상으로 기판 내부 먼지 청소와 서멀 그리스 재도포를 통해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이는 사양에 상관없이 연식이 오래되어 노후화된 기판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기도 하다.

6.2.2. 후기 (2014~2015년)


'''사용 시기'''
<colbgcolor=white,#191919>EZ2AC : EVOLVE 1.0, 1.2a, 1.3c(구기판), 1.53(구기판), 2.03a
'''CPU'''
인텔 투알라틴 셀러론 1.1 ~ 1.4 GHz
인텔 펜티엄 III 코퍼마인 533 ~ 1000 MHz
'''메인보드'''
'''모델명'''
불명
'''CPU 소켓'''
소켓 370
'''칩셋'''
VIA Apollo Pro 133A
VIA Apollo Pro 133T
'''메인 메모리'''
PC-100 (100 MHz) SDRAM '''512 MB'''
'''보조 저장 장치'''
IDE(PATA) 규격 20 GB 이상의 HDD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FX 5200 128 MB'''
NVIDIA '''GeForce FX 5500 128 MB'''
NVIDIA '''GeForce FX 5600 128 MB'''
NVIDIA '''GeForce FX 5700 128 MB'''
'''사운드 카드'''
Creative Sound Blaster Live! Live! CT4670
'''I/O 컨트롤러'''
보드 내 ISA 슬롯에 삽입된 I/O 카드
'''인증 장치'''
패러럴 포트형 Hardlock EYE 동글
'''디스플레이'''
33인치 SVGA CRT 모니터
'''운영체제'''
Windows 98 Second Edition (EZ2AC : EVOLVE 1.0, 1.2a)
'''Windows XP Professional''' (EZ2AC : EVOLVE 1.3c[구기판\], 1.53[구기판\], 2.03a)[21]
[21] 신기판과는 다르게 영문 Windows XP를 사용한다.
EZ2AC : EVOLVE 초기 버전에는 구동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그래픽카드가 업그레이드되었지만, 각종 버그와 프리징, 로딩 딜레이[22]이 등 많은 문제가 발생했다. 최후기에는 OS까지 업그레이드해서 좀 쓸 만해졌지만 이미 2세대 기판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기로 하고 3세대 기판으로 넘어가기로 결정한 뒤였다.
2세대 기판의 경우 그래픽 카드는 AGP 8× 타입으로만 내놓은 제품인데다 기판의 메인보드는 AGP 4× 시절까지 존재했던 칩셋이지만 신호 전압과 슬롯 노치의 위치가 호환된다면 하위 호환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단,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같은 시리즈의 그래픽 카드여도 가능한 AGP 4× 타입의 변종 사양 그래픽 카드를 장착하여야 정상 작동을 보장할 수 있다.

6.3. 3세대


인텔 넷버스트 마이크로아키텍처 기반의 CPU가 탑재된 기판을 사용한다. 그 중에서도 90nm 공정으로 제조된 프레스캇 CPU 때문에 '''프레스핫''' 또는 '''보일러'''라는 악명에서도 보듯 발열이 매우 심각한 편. 이 때문에 발열 문제가 그나마 덜 한 130nm 공정으로 제조된 노스우드 코어의 펜티엄 4와 셀러론을 채용했던 것. 하지만 물량 부족 문제 때문인지 90nm 공정으로 제조된 프레스캇 코어의 셀러론 D를 부득이 채용하게 되었다. 또한, 같이 채용된 GeForce FX 시리즈 그래픽카드도 '''헤어드라이어'''라고 불렀을 정도로 소비 전력, 발열, 쿨링팬 소음면에서 역시 프레스캇만큼이나 악명이 자자했다. 그래픽카드도 그나마 다행으로 헤어드라이어라는 별명을 가리켰던 지포스 FX 5800 시리즈가 아닌 FX 5700 시리즈 이하 라인의 그래픽카드를 채용하여 최악의 조합을 피했다고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기판부터 일부 곡에서 동영상 BGA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는데, 동영상을 사용하는 곡에서 렉이 종종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CPU 발열 문제[23]부터 점검해 보자. PC가 표준 사양 이상이라면 제대로 된 서멀 그리스를 재도포해주면 보통은 해결된다고 한다. 또, PC 내의 열 배출이 제대로 되는 지도 확인해 보자. 내부 청소 및 쿨링 팬의 성능을 확인해 봐야 할 것이다. 그나마 소켓 478에 맞는 CPU 쿨러가 계속 판매되고 있는 것은 다행. 공랭 쿨러의 끝판왕이자 140mm 직경의 팬 2개가 탑재된 Noctua의 NH-D15, DEEPCOOL의 GAMER STORM ASSASSIN 3, 잘만테크의 CNPS20X같은 듀얼 타워형 대장급 공랭 쿨러를 쓰면 좋겠지만 애석하게도 소켓 478에 맞지 않을 뿐더러 쿨러의 높이가 셋 다 165mm 내외라서 기판을 감싸는 케이스에 들어가지도 못한다(...).

6.3.1. 초기 (2015~2016년)


'''사용 시기'''
<colbgcolor=white,#191919>EZ2AC : EVOLVE 1.3c ~ 2.02b
'''CPU'''
인텔 펜티엄 4 노스우드 2.4 GHz 이상
인텔 노스우드 셀러론 2.4 GHz 이상
인텔 프레스캇 셀러론 D 2.4 GHz 이상
'''메인보드'''
'''모델명'''
HT845ISA/1(또는 3)
'''CPU 소켓'''
소켓 478
'''칩셋'''
인텔 845 계열 칩셋
'''메인 메모리'''
DDR1 (200~333 MHz) SDRAM 1 GB
'''보조 저장 장치'''
IDE(PATA) 또는 SATA 규격 20 GB 이상의 HDD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FX 5200 128 MB
NVIDIA GeForce FX 5500 128 MB
NVIDIA GeForce FX 5600 128 MB
NVIDIA GeForce FX 5700 128 MB
'''사운드 카드'''
Creative Sound Blaster Live! Live! CT4670
'''I/O 컨트롤러'''
보드 내 ISA 슬롯에 삽입된 I/O 카드
'''인증 장치'''
패러럴 포트형 Hardlock EYE 동글
'''디스플레이'''
33인치 SVGA CRT 모니터
'''운영체제'''
Windows XP Professional
[22] EZ2AC : EVOLVE 1.2a 버전의 경우 EZ2DJ 7thTRAX Ver 2.0 버전에서 전곡 올송을 건 수준으로 로딩이 길었다.[23] 프레스캇 기반의 셀러론 D의 경우 표기 TDP가 73~84W 범위로 나오지만 실제 소비 전력이 아이들시 50W대, 풀로드시 100W를 가볍게 넘는다! 참고로 2006년 7월에 출시된 코어 2 듀오 E6300~6700(1.86~2.66GHz)은 TDP 65W임에도 아이들시 20W 내외, 풀로드시 50~60W 정도밖에 안 되며, 2007년 6월에 출시된 셀러론 420~440(1.6~2.0GHz)은 펜티엄 4 상위 라인(3.0~3.8GHz)과 맞짱 뜰 수 있는 성능이면서 TDP가 35W임에도 실제 소비 전력이 아이들시 10W, 풀로드시 22~24W밖에 안 나온다!
2세대 기판의 만성적인 성능 부족에 시달리고 있던 2015년 2월 6일, EZ2AC : EVOLVE 1.3c 버전과 함께 전체적인 사양 업그레이드 소식이 발표되었다. 현재는 사장된 인터페이스인 ISA 기반의 I/O 하드웨어의 호환 문제로 인해 현재까지 진행된 업그레이드 이후의 OS나 하드웨어의 업그레이드는 불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었고, 하드웨어 변경에 따른 판정 변화에 대한 걱정도 있었다. 그러다가 ISA 슬롯이 있는 펜티엄 4 메인보드를 도입하고 기존 I/O 하드웨어를 그대로 사용한 상태에서 Windows XP로 업그레이드가 되었다. 이렇게 하드웨어 및 OS 업그레이드된 모습은 2015년 3월 말 EV 1.50 버전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되어 성능 향상, 동영상 BGA의 지원, 더 화려한 연출의 적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2세대에 비하면 엄청 좋아진 건 사실이지만 그래도 현세대 컴퓨터 보드에 비해 성능이 현격하게 낮은 편이라서 인게임 해상도(640×480)에 맞는 사양조차 버겁고 256×256 내외의 저해상도로 열화시켜야 원활하게 돌릴 수 있을 정도로 HD급 고화질 BGA는 아직 힘들다고 한다.[24]
메인보드는 '''ISA 슬롯이 있는''' 인텔 845GV 메인보드다. 이 보드는 주로 845GV 칩셋이 사용되었으나 일부 물량의 경우 온보드 내장 그래픽인 Intel Extreme Graphics와 AGP 레인이 둘 다 있는 845G 또는 온보드 내장 그래픽이 없는 845PE 메인보드도 있다. 물론 그래픽카드 장착을 위해 AGP 슬롯도 있어야 한다. 이 보드의 주 사용 용도가 산업용 및 임베디드 보드라서 AGP 슬롯이 없는 제품도 있다.
3세대 기판에 탑재된 RAM의 표준 사양이 1 GB이지만, 일부 오락실에서는 768 MB나 512 MB 사양으로 구동하는 경우가 있다. RAM 사양이 표준 사양보다 낮은 경우 USB 업데이트 등에 문제가 있어서 용량이 큰 패치가 나올때면 512 MB용 패치가 따로 나오기도 했으나, 현재는 512MB 사양에서도 패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특정 용량만큼 패치 파일을 분할해서 제공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다. 또한 운영체제가 Windows XP인 특성상 메모리가 1 GB를 넘는다고 문제가 생기지는 않기 때문에 업주의 재량에 따라 메모리를 1.5 GB 또는 2 GB로 넉넉하게 증설하기도 한다. 다만 4 GB는 XP의 32비트 운영체제의 한계로 불가.[25]

6.3.2. 중기 (2016~2017년)


'''사용 시기'''
<colbgcolor=white,#191919>EZ2AC : NIGHT TRAVELER
'''CPU'''
인텔 펜티엄 4 노스우드 2.4 GHz 이상
인텔 노스우드 셀러론 2.4 GHz 이상
인텔 프레스캇 셀러론 D 2.4 GHz 이상
'''메인보드'''
'''모델명'''
HT845ISA/1(또는 3)
'''CPU 소켓'''
소켓 478
'''칩셋'''
인텔 845 계열 칩셋
인텔 '''865 계열 칩셋''' (EZ2AC : EVOLVE 실행 불가)
'''메인 메모리'''
DDR (200~'''400''' MHz) SDRAM 1 GB
'''보조 저장 장치'''
IDE(PATA) 또는 SATA 규격 20 GB 이상의 HDD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FX 5200 128 MB
NVIDIA GeForce FX 5500 128 MB
NVIDIA GeForce FX 5600 128 MB
NVIDIA GeForce FX 5700 128 MB
'''사운드 카드'''
Creative Sound Blaster Live! Live! CT4670
'''I/O 컨트롤러'''
보드 내 ISA 슬롯에 삽입된 I/O 카드
'''인증 장치'''
'''USB형 동글'''
'''디스플레이'''
33인치 SVGA CRT 모니터
'''32인치 FHD LCD 모니터'''[26]
'''운영체제'''
Windows XP Professional
[24] 특히 EZ2AC는 비트매니아 IIDX와 달리 BGA를 화면에 꽉 채워서 출력하기 때문에 깍두기 현상의 나쁜 화질이 더욱 두드러지게 보인다. 만족할 만한 고화질의 영상을 쓰려면 ISA 슬롯이 탑재된 산업용 메인보드 범위 내에서 찾아야 할 경우 최소한 펜티엄D, 코어2 시리즈 세대(945, 965, 3, 4 시리즈 칩셋)의 메인보드를 써야 하며, FHD 사양에 60FPS까지 커버하려면 이보다 더 높은 성능의 CPU를 장착할 수 있는 메인보드를 써야 한다.[25] 부팅이 안 되는 건 아니지만 3~3.5 GB까지만 인식되고 초과분은 그냥 낭비하게 된다.[26] NT 이후 생산되는 리파인 기체에 해당한다. 모니터 자체는 1920×1080 해상도를 지원하지만, 인게임 해상도는 기존과 동일한 640×480이다.
EZ2AC : NIGHT TRAVELER부터는 17년 동안 인증 장치로 사용되었던 패러럴 포트 타입의 Hardlock EYE 동글에서 USB 타입의 전용 동글로 변경되었다. 또한, 기존 845 칩셋뿐만 아니라 듀얼 채널 DDR1 SDRAM, FSB 800 MT/s, SATA 단자를 지원하는 사우스브리지 ICH5가 탑재된 865 칩셋 기반의 메인보드도 지원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875P 칩셋도 가능하지만 맞는 보드를 찾기 힘들고, 848P 칩셋은 지원하지 않으며, 이전 버전인 EZ2AC : EVOLVE에서는 865 칩셋 보드로 장착해서 구동하면 튕김 또는 부팅 불가능 현상이 발생하여 제대로 동작할 수 없다.
137GB 이상의 하드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지만 CF카드[27]SSD는 호환성 문제로 사용하지 않고[28] 그것 말고도 여러가지 이유로 기존에 사용하던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는 것으로 일단락되었다.

6.3.3. 현재 (2017년~)


'''사용 시기'''
<colbgcolor=white,#191919>EZ2AC : TIME TRAVELER
EZ2AC -FINAL-
EZ2AC : FINAL EX
'''CPU'''
인텔 펜티엄 4 노스우드 2.4 GHz 이상
인텔 노스우드 셀러론 2.4 GHz 이상
인텔 프레스캇 셀러론 D 2.4 GHz 이상
'''메인보드'''
'''모델명'''
HT845ISA/1(또는 3)
'''CPU 소켓'''
소켓 478
'''칩셋'''
인텔 845 계열 칩셋
인텔 865 계열 칩셋 (EZ2AC : EVOLVE 실행 불가)
'''메인 메모리'''
DDR (200~400 MHz) SDRAM 1 GB
'''보조 저장 장치'''
IDE(PATA) 또는 SATA 규격 20 GB 이상의 HDD (EZ2AC -FINAL- 출고 이전)
SATA 규격 20 GB 이상의 HDD (EZ2AC -FINAL- 출고 이후)
SATA 규격 120GB BIOSTAR S100 시리즈 SSD (EZ2AC : FINAL EX 출고 이후)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7600GS AGP 512 MB'''
'''사운드 카드'''
Creative Sound Blaster Live! CT4670
'''I/O 컨트롤러'''
보드 내 ISA 슬롯에 삽입된 I/O 카드
'''인증 장치'''
USB형 전용 동글
'''디스플레이'''
33인치 SVGA CRT 모니터
32인치 FHD LCD 모니터
'''운영체제'''
Windows XP Professional
[27] CF카드로 하드카피를 한 뒤 사용하면 동작은 하지만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다. 특히나 EZ2AC : EVOLVE부터는 하드디스크를 2개의 불륨으로 파티셔닝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산업용이 아닌 일반 CF 카드를 파티셔닝해서 사용하는 것은 상당히 부적절하다.[28] SSD의 경우에는 IDE 타입을 구하기 힘든 탓도 있다. IDE의 후속 규격인 SATA조차도 병목 현상 일어난다고 PCIe 레인을 이용하는 NVMe 규격의 M.2 타입 스토리지로 교체되는 실정이다. 물론 개당 6~7천원선 하는 SATA → IDE 컨버터있기는 하지만 안정성 문제가 발생될 여지가 있어서 장시간 가동해야 하는 오락실용으로는 권장하지 않는다.
EZ2AC : TIME TRAVELER부터 그래픽 카드를 지포스 7600GS AGP로 교체한 이후로 삭제되었던 어트랙트 데모 플레이가 정식으로 부활되었으나, 전원 문제로 전원 경고창을 띄우는 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그래픽카드에 AMP MATE-N-LOK 파워 커넥터[29]가 있으니 연결해보자. 그래픽카드에 따라서는 보조전원을 꽃지 않으면 아예 안켜지는 경우도 있으며[30], 최악의 경우 파워 서플라이가 너무 낡아서 공급 전력이 부족해지면[31] 보조전원을 연결해도 그래픽카드가 제대로 동작하지 못 할 수 있으니 파워 서플라이도 함께 점검해보는 것이 좋다. 80Plus 제품이 가격이 떨어졌기 때문에 안정성을 위해서라면 고려할 수 있다.
EZ2AC -FINAL-부터는 기존에 사용되었던 IDE 타입 HDD들의 노후화로 인한 오작동 문제 때문에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SATA 타입의 HDD만 사용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EZ2AC : TIME TRAVELER도 EZ2AC -FINAL- 발매 시점부터 SATA 방식을 이용하는 후기형 HDD가 생산되는 중. 이로 인해 SSD와의 호환성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호환성만 확보했을 뿐, SATA Revision 1.0 규격 특성상 150 MB/s까지만 지원하는 대역폭 때문에 제 성능을 못 낸다.
EZ2AC : FINAL EX부터는 기존에 사용되었던 HDD가 아닌 SSD가 장착되었다.[32] 이엠텍이 유통하고 있는 BIOSTAR S100 시리즈로 120 GB 기준 2만원대로 형성하고 있으며, 가격 대비 스펙과 A/S는 나쁘지 않지만 버퍼 및 캐시 역할을 수행해줄 DRAM이 탑재되어 있지 않고, 보증 수명 지표로 취급하는 TBW 값이 알려지 있지 않아서 OS 설치된 드라이브로써는 믿고 쓸만한 제품이라고 보기엔 애매하다는 것이 단점.[33] SSD 제품 자체는 SATA Revision 3.0 규격이지만, 메인보드가 SATA Revision 1.0 규격까지만 지원해서 대역폭 문제로 SSD가 최대성능을 뽑을수는 없지만, 그래도 하드디스크보단 훨신 빠른 속도를 보여준다.

7. 비공식 커스텀 사양 기판


현행 펜티엄 4와 7시리즈 그래픽을 사용하는 기판은 15년 전에나 쓰이던 컴퓨터와 비슷한 사양이다 보니 EZ2AC 게임도 간신히 돌리는 수준이다. 특히 최신작인 EZ2AC : FINAL EX는 프레임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다.
성능을 업그레이드 하려니 기존 보드는 펜티엄 4가 최대사양이라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보드를 비롯한 각종 부품들을 교체해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이 있다.

7.1. 메인보드, CPU, 램


기존의 메인보드인 845칩셋 사양보다 성능이 높으면서 ISA 슬롯이 있는것으로는 대표적으로 945, G31, G41이 있다. 더 좋은 사양인 H81이나 H110도 있지만 가격이 너무 비싸고 Windows XP와 호환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 사양들로 EZ2AC 하드를 끼우고 부팅하면 신기판용 이볼브 이상일경우 무조건 블루스크린이 뜬다. 기존에 설치된 칩셋 드라이버와의 호환성 문제[34]인데 해결법은 아래 저장장치 문단에서 서술.
아래에 소개된 모든 메인보드들은 산업용이다보니 전원부가 취약해 오버클럭은 절대금물이다. 반드시 순정 클럭으로 사용해야 하고, 소켓에 호환되는 CPU 중에서도 최상위 성능의 모델은 피하는게 좋다. 산업용 메인보드는 애초부터 오버클럭을 염두에 두지 않고 설계하기 때문에 일반 메인보드에 비해 전원부가 부실할 수밖에 없다.

7.1.1. 945칩셋


'''사용 가능 버전'''
<colbgcolor=white,#191919>EZ2AC : EVOLVE
EZ2AC : NIGHT TRAVELER
EZ2AC : TIME TRAVELER
EZ2AC -FINAL-
EZ2AC : FINAL EX
'''CPU'''
인텔 코어2듀오 E7000번대중 7500 이하, 펜티엄 D, 펜티엄 4, 셀러론 D
'''메인보드'''
'''모델명'''
불명
'''CPU 소켓'''
LGA775
'''칩셋'''
945GV, ICH7
'''메인 메모리'''
DDR2 400/533/667 MHz 최대 4 GB
'''보조 저장 장치'''
IDE 규격의 하드디스크, SATA 규격의 하드디스크 또는 SSD
'''그래픽 카드'''
PCIe 규격의 엔비디아 지포스 그래픽 카드(8000, 9000번대 권장)
'''사운드 카드'''
Creative Sound Blaster Live! CT4670
'''I/O 컨트롤러'''
보드 내 ISA 슬롯에 삽입된 I/O 카드
'''인증 장치'''
패러럴 포트형 Hardlock EYE 동글(이볼브), USB 동글(NT 이상)
'''운영체제'''
Windows XP SP3 32비트
[29] 과거 IDE 타입 하드디스크나 ODD에 있는 파워 커넥터와 같은 IDE용 4핀 파워 커넥터로, Molex 커넥터라고도 불렀는데 Molex에서 제조되어서 그렇다.[30] 사실 이상하지 않는 것이, 현 세대 그래픽카드는 메인스트림 이상의 라인이면 보조전원이 보통 1~2개가 존재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플래그쉽 라인 중에서도 최상위 등급의 비레퍼런스 제품일 경우 '''3개'''까지 꽂는 경우도 있기 때문.[31] 파워는 소모품이라 당연히 시간이 갈수록 효율이 떨어져 출력이 떨어진다.[32] 파이널 EX 출시이후 파이널 이하 버전들도 이 SSD로 출고된다[33] SSD/추천 비추천 제품 목록에서 보듯 OS 설치 드라이브로 많이 추천되는 제조사로 삼성전자, Western Digital(샌디스크),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3개 회사를 많이 꼽는다.[34] Windows XP만 해당되며 Windows 98은 자체적으로 드라이버들을 다시 잡아준다. 그래서 1세대 소프트웨어(1st~6th)를 2세대 기판에 설치해도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실제로 1세대 기판에서 최적화 문제가 심각한 6th를 2세대 기판에서 구동하면 쾌적하게 잘 돌아간다.
구매 링크
945 칩셋 보드는 기존 845 보드의 불편한점이 해결되는데, 펜티엄 4와는 비교불가 성능인 코어 2 듀오[35]를 장착할 수 있고 DDR이 아닌 DDR2(최대 4GB 지원), AGP가 아닌 PCIe 그래픽 카드 슬롯, SATA 저장장치를 컨버터 없이 장착가능해서 부품 수급이 쉬워지고 성능도 크게 올릴 수 있다.

7.1.2. G31칩셋


'''사용 가능 버전'''
<colbgcolor=white,#191919>EZ2AC : EVOLVE
EZ2AC : NIGHT TRAVELER
EZ2AC : TIME TRAVELER
EZ2AC -FINAL-
EZ2AC : FINAL EX
'''CPU'''
인텔 코어2듀오 E6000번대, 펜티엄 D, 펜티엄 4, 셀러론 D
'''메인보드'''
'''모델명'''
불명
'''CPU 소켓'''
LGA775
'''칩셋'''
G31, ICH7
'''메인 메모리'''
DDR2 400/533/667 MHz 최대 4 GB
'''보조 저장 장치'''
IDE 규격의 하드디스크, SATA 규격의 하드디스크 또는 SSD
'''그래픽 카드'''
PCIe 규격의 엔비디아 지포스 그래픽 카드(8000, 9000번대 권장)
'''사운드 카드'''
Creative Sound Blaster Live! CT4670
'''I/O 컨트롤러'''
보드 내 ISA 슬롯에 삽입된 I/O 카드
'''인증 장치'''
패러럴 포트형 Hardlock EYE 동글, USB 동글
'''운영체제'''
Windows XP SP3 32비트
[35] 전원부가 그리 좋지는 않은지 제조사에서는 E7500이하를 장착해야한다고 한다.
구매 링크
코어 2 듀오의 경우 울프테일이 아닌 콘로만 지원된다고 한다. 나머지는 945칩셋 보드와 큰 성능차이는 없다.

7.1.3. G41칩셋


'''사용 가능 버전'''
<colbgcolor=white,#191919>EZ2AC : EVOLVE
EZ2AC : NIGHT TRAVELER
EZ2AC : TIME TRAVELER
EZ2AC -FINAL-
EZ2AC : FINAL EX
'''CPU'''
인텔 코어2쿼드, 코어2듀오(권장), 펜티엄
'''메인보드'''
'''모델명'''
불명
'''CPU 소켓'''
LGA775
'''칩셋'''
G41, ICH7
'''메인 메모리'''
DDR3 800/1066 MHz 최대 4 GB
'''보조 저장 장치'''
IDE 규격의 하드디스크, CF 카드, SATA 규격의 하드디스크 또는 SSD
'''그래픽 카드'''
PCIe 규격의 엔비디아 지포스 그래픽 카드(8000, 9000번대 권장)
'''사운드 카드'''
Creative Sound Blaster Live! CT4670
'''I/O 컨트롤러'''
보드 내 ISA 슬롯에 삽입된 I/O 카드
'''인증 장치'''
패러럴 포트형 Hardlock EYE 동글, USB 동글
'''운영체제'''
Windows XP SP3 32비트
구매 링크
현재 윈도우 XP와 EZ2AC가 완벽하게 호환되면서 가장 고성능인 사양을 만들 수 있는 보드이다. DDR3 램을 장착할 수 있고 무려 쿼드코어 사양인 코어2쿼드도 지원하지만 메인보드에 상당한 부담을 가해서 수명이 단축되기 때문에 쿼드 중에서 중~하위급 모델이나 코어2듀오를 장착하는게 좋다.

7.2. 그래픽 카드


945 이상 커스텀 사양의 기판은 PCIe 규격을 사용하기 때문에 찾기도 힘들고 가격도 비싼 AGP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위 3가지 칩셋 사양 모두 PCIe 1.1버전이기 때문에 그래픽 카드도 1.1 규격을 사용하는게 좋고, 2.0이나 3.0도 가능하지만 대역폭의 한계로 최대성능보다는 낮은 성능으로 작동한다. 또한 지나치게 신형모델을 장착하면 아예 부팅이 안될수도 있으니 GTX650이하의 그래픽카드를 써야한다.
AMD(ATI) 그래픽 카드는 EZ2AC와 호환이 안된다.

7.3. 파워 서플라이


커스텀 기판 사양에서 EZ2AC를 구동하기 위한 최소 출력은 300W지만, 사양이 높을수록 그만큼 전력소모가 늘어나기 때문에 400W 이상이 권장된다.
당연하지만 기존의 3세대 기판중 일부에 장착된 빅풋이나 천궁같은 폭탄파워는 피해야 한다. 파워가 터졌다간 보드가 고장나서 큰 손해가 발생한다.

7.4. 케이스


케이스는 ATX 호환(주로 미들타워) 중에서 원하는 디자인을 골라서 구매하면 된다.
다만 일반 PC용 케이스에 부품을 이식하면 통기체와의 호환성을 잃게 되니 홈케이드용이 아니라면 순정 케이스를 써야한다.

7.5. 저장장치


기존의 EZ2AC 하드디스크를 그냥 커스텀 사양의 기판에 장착하면 칩셋 미호환으로 인해 블루스크린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빈 하드를 끼우고 일반용 XP와 필요한 드라이버들을 설치한 후 EZ2AC 하드를 추가장착하거나, 일반 XP가 설치된 하드에 EZ2AC 하드의 게임파일을 넣으면 된다[36]. 주의사항으로 이 방법을 사용하면 패치를 못하게 된다. 게임 패치를 하려면 EZ2AC 하드를 공식 3세대에 장착해서 패치를 하면 된다.[37]
필요한 드라이버 목록
칩셋 드라이버 : 메인보드 패키지에 동봉된 CD를 통해서 설치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 엔비디아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하드락 드라이버(이볼브 한정), USB 동글은 자체적으로 드라이버가 잡힌다.
유저포트 : NT계열 윈도우[38]에서 ISA 부품을 제어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사운드카드 드라이버
기존의 IDE나 SATA 하드디스크를 SSD로 업그레이드 하려면 고스트 백업 및 복원을 통해서 게임 데이터를 SSD로 이전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면 된다. 하드디스크 컨트롤러가 있으면 편리하다.

8. 여담



8.1. 시스템 부팅 과정


CRT 모니터를 장착한 기기는 부팅 과정이 보이지 않는데, I/O 카드가 CRT 전원을 차단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 부팅이 완료되거나 또는 정비를 위해서 메인보드 CMOS 설정에 들어가면 화면이 켜진다.
1세대 기판으로 돌아가는 소프트는 Windows 98을 부팅하고[39], 부팅 후 시작메뉴의 시작 프로그램에 있는 EZ2DJ 게임 바로가기를 통해 프로그램이 시작되고 하드락 동글 유무를 검사한 후 게임이 실행된다. 하드락 동글이 없거나 다른버전용을 끼웠을 경우 1st SE까지는 하드웨어를 올바르게 설치하라고 알려주고 2nd부터는 하드락이 없다고 알려준다.
2세대 기판 Windows 98 SE로 돌아가는 소프트들은 1세대 처럼 윈도우 부팅 후 시작메뉴의 시작프로그램에 있는 게임 바로가기를 통해 실행된다.
다만 기존과 다른점이 있는데 하드락 유무뿐만 아니라 각종 하드웨어까지도 점검한다.
순정 그래픽카드 사양인 TNT2 M64가 아닌 모델이 장착되었거나, 특수한 과정 없이 다른 하드디스크로 카피한 하드를 사용했을경우 검사를 통과하지 못하여 게임 실행이 차단된다.
3세대 기판의 부팅 과정은 아래와 같다.
  1. Windows XP를 부팅한다.
  2. 부팅 후 런쳐를 실행한다.(파이널 EX부터는 체크디스크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저장장치를 검사해서 오류가 있을경우 수정 후 런쳐를 실행)
  3. 필요한 하드웨어 사양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키보드나 마우스 연결여부, 인터넷 연결여부, 드라이버 설치여부등을 검사한다.
  4. 패치 파일이 담긴 USB가 있는지 검색하고, 패치 파일이 존재할 경우 패치를 한다.
  5. 모든 요소가 이상이 없을경우 잠시 대기 후 게임을 실행한다.
부팅 화면 모음
  • 1st SE 부팅 화면.[40]
  • [41]내장된 소프트웨어에 따라 나오는 버전은 다르다. TNT2 카드를 사용한 바로 이전 사양도 이 영상과 큰 차이가 없다. (EC 부팅화면) 다만 10년 이상된 구버전의 부팅은 바탕화면이 좀 다르다.
  • EV 2.03a 부팅 화면
  • EZ2AC EV 1.3c 부팅 화면. 1.3c에서는 Windows XP의 기본 부트 로고(지렁이가 지나가는 그 화면)를 사용하고 새로운 시작 화면이 표시되었다.
  • EZ2AC EV 1.50 부터 1.60 이전까지 부팅 화면. 1.5 버전부터는 단색 처리된 타이틀 로고가 부트 로고로 사용되고 새로운 시작 화면이 없어졌다. 하드디스크에 따라서는 부트 로고가 나오지 않고 검은 화면에 커서만 깜빡거리기도 한다. 예시
  • EZ2AC EV 1.60 ~ 1.80 이전까지 부팅화면. 오프닝 음악이 약간 달라지고 오프닝 처음 들어가는 화면[42]이 추가되었다.
  • EZ2AC EV 1.80 이후 부팅화면. 부팅과 업데이트에 관여하는 런처가 영어 표기에서 한글 표기로 변경되었다
  • EZ2AC NT 1.01 부팅 화면. EV와 큰 차이는 없다.
  • FNEX 1.01 부팅 화면. 윈도우 바탕화면이 추가되었으며, 런처 실행 전에 명령 프롬프트가 열려 chkdsk를 수행한다.
1st TRACKS부터 6thTRAX까지는 바탕화면과 모든 UI가 흰색으로 되어있으며 작업 표시줄 및 바탕화면 아이콘은 안 보이게 설정되어 있었다. 7thTRAX부터 EVOLVE 1.2a까지는 바탕화면이 검정색으로 되어 있었으며, 작업 표시줄이 표시되었다. EVOLVE 1.3c부터는 바탕화면이 검정색이며 Windows 고전 테마를 사용한다. 작업표시줄은 오른쪽에 숨겨 두었으며 바탕화면 아이콘은 표시되지 않는다. EZ2AC : EVOLVE를 제외한 시리즈 공통적으로 마우스 포인터는 투명 처리된 파일을 사용한다. 이 때문에 EZ2AC : EVOLVE의 경우 게임 화면에서 마우스 포인터가 표시되는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8.2. 성능 개선 방안



8.2.1. 게임 엔진 개량


게임에서 주어진 하드웨어 사양과 게임 엔진으로 성능 문제가 발생하면 게임 엔진부터 개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화질 이미지, 고음질 키음, HD급 동영상 BGA를 동시에 구동하는 HD 해상도 환경의 리듬 게임들은[43] CPU 자원 소모량을 절약하기 위해 저사양이지만 낡은 코덱인 MPEG-2나 WMV를, 사양을 조금 요구하지만 용량 대비 화질까지 타협하면 H.264를 이용할 수 있다.[44] 하지만 소규모 컨텐츠 볼륨이 아닌 한 모두 로열티 지불 문제와 엮여있는 코덱이므로 오픈소스이면서 로열티에 자유로우려면 VP8, 고사양을 감안하면서 용량 대비 화질까지 잡겠다면 VP9 코덱이 가장 적합하다. VP8이 H.264보다 용량 대비 화질이 떨어지는 편이기 때문. 비디오 코덱과 컨테이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위키백과의 비디오 코덱 비교 문서비디오 컨테이너 비교 문서 참조.
이미지도 마찬가지로 특허 및 로열티에 자유로우려면서 투명성 옵션을 지원하는 포맷을 이용해야 하는데 CPU 성능이 여유롭지 않다면 용량을 감수해서라도 BMP같은 무압축 포맷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45][46] 여유롭다면 PNG, WebP같은 압축 포맷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미지 포맷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위키백과의 그래픽 파일 포맷 비교 문서 참조.

8.2.2.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8.2.2.1. ISA to PCI 또는 PCI Express 또는 USB 컨버터

I/O 카드에 장착된 주 칩셋은 MCS-51 계열 8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Atmel AT89C51을 사용한다. 동작 속도는 12 MHz이다.[47] ISA의 단순한 동작 방식 덕분에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었던 것.
알리익스프레스에선 ISA 포트를 USB 또는 PCI, PCI-Express를 통해 쓸 수 있게 하는 컨버터 카드가 있다. 운좋게도 3세대 기판 중 대다수가 ISA 변환 칩을 통해 내부 USB 버스로 ISA를 지원한다. 덕분에 ISA를 지원하지 않는 메인보드의 USB 포트에 컨버터 카드를 꽂아 ISA를 지원하도록 할 수 있다. 인텔 D845GVSR, ASRock P4i45GV 보드와 Winbond W83628 칩셋이 달린 컨버터에서 EZ2AC TT 1.83 HDD의 정상동작을 확인했다.[48] PCI-Express용은 아직 사례가 없는 듯하다.
820 칩셋 기반의 메인보드부터 기본적으로 ISA 버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과 이 컨버터 칩의 존재에 근거해서 3세대 기판을 기점으로 I/O 보드의 규격이 사실상 USB 또는 PCI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다만 비용과 인력 문제 때문에 기존 I/O 카드를 PCI-E나 USB 방식으로 리메이크하는 것은 현 시점에 부적절하다는 의견이 있다.

8.2.2.2. ISA 슬롯이 탑재된 다른 메인보드

훗날 성능 문제에 닥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판을 갈아엎어야 할 경우, 현실적으로 업그레이드 가능한 보드는 사실상 위의 항목에 먼저 서술된 유저 비공식 기판 사양에 해당하는 메인보드들이다. ISA 호환 I/O 카드가 아닌 USB, PCI-Express같이 현역 규격의 I/O 컨트롤러로 갈아탈 여력(기술력, 자본력 등)이 생길 때까지는 당분간 ISA 슬롯이 탑재된 메인보드만 찾아 구해야 하는 방법밖엔 없다. 또한, 이들은 현행 메인보드의 소켓 규격, 시스템 메모리 규격, 그래픽 카드 슬롯 규격이 다르므로 업그레이드시 CPU, RAM, 그래픽 카드까지 추가 확보는 필수다. 메인보드가 변경되면 블루스크린이 발생하지 않도록 OS 업그레이드가 아니더라도 재설치 작업과 이에 맞는 드라이버 셋팅도 필요하다.
당연하지만 그래픽 카드 장착 슬롯이 PCI-Express이므로, AGP 그래픽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 레거시 PCI 그래픽카드는 PCI 슬롯이 존재할 경우 사용 가능하지만 구하기도 어렵고 2012년을 끝으로 신형이 더 이상 나오지 않으며, 같은 스펙이라도 레거시 PCI 자체의 매우 낮은 대역폭으로 인한 성능 저하 때문에 가성비가 매우 떨어진다. 결정적으로 현행 기판에 탑재된 그래픽카드보다도 성능이 떨어진 이상, 굳이 레거시 PCI 그래픽카드를 구해야 할 이유가 없다.
PCI-Express 타입이지만 해당 메인보드의 세대와 비슷하지 않는 그래픽 카드를 장착하면 호환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가급적이면 메인보드와 비슷한 세대의 그래픽 카드로 조합하는 것이 좋다. 메인보드 출시 전에 조합할 장치들과의 호환성 테스트를 거치기 때문이다. 커넥터 규격만 똑같으면 장땡이 아니라는 뜻이다. 그래픽 카드 성능도 무작정 고성능 그래픽 카드일 필요가 없다. 2D 그래픽 기반인 EZ2AC 특성상 3D 그래픽 성능을 많이 요구하지도 않을 뿐더러, 고성능일수록 추가로 요구되는 보조 전원 단자 규격까지 고려해야 해서 귀찮은 일이 더 많아지기 때문. 어차피 메인보드에 장착 가능한 CPU의 성능에 맞지 않으면 고성능 그래픽 카드와의 병목 현상이 심해질 수도 있으니 보조 전원 단자가 필요 없는 엔트리 라인의 그래픽 카드 정도면 충분하다.[49]
물론, 하드웨어 성능만 충분하다면 작업량을 줄이기 위해 게임 엔진 개량없이 기존에 사용하던 코덱 및 포맷을 그대로 사용 못 할 이유는 없다. 640×480 해상도의 동영상조차 제대로 돌리기 버거워서 해상도를 640×480보다 약간 작게 줄여서 전체화면으로 늘이거나 깍두기가 보일 정도로 화질 자체를 열화시킬 수밖에 없었던 것도 현행 기판의 CPU 성능 부족[50]에 의한 조치였기 때문에 성능만 충분하면 640×480보다 높은 고해상도에 깍두기 현상 없이 깔끔한 동영상 BGA를 돌릴 수 있다.
ISA 슬롯이 탑재된 산업용 메인보드들의 전원부는 모두 히트싱크가 없기 때문에 CPU 오버클럭 중에서도 극오버도 아닌 국민오버조차 권장하지 않을만큼 튼실하지 않다. 어차피 오락실 아케이드 게임기로 사용할 메인보드라면 영업 시간 내내 장시간 가동해야 하는 조건상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CPU를 스톡 클럭(순정) 상태로만 사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히트싱크가 없는 한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최상위 CPU로 맞추는 것도 권장하지 않는다. 상위 CPU로 갈수록 전원부에 가하는 부하가 커져서 온도가 높아지고, 효율이 떨어지며, 전원부의 핵심 부품인 모스펫 자체의 스펙과 효율이 떨어지면 기대 수명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이다.

8.2.2.3. PCI 슬롯 타입의 사운드 카드

현재까지 계속 채용 중인 Creative의 사운드 블라스터 Live! Value 2(CT4830)가 구형 PCI 슬롯 타입이기 때문에 I/O 컨트롤러에 비하면 슬롯 제약이 덜한 편이다. 게임의 사운드 엔진이 해당 사운드 카드 사양에 맞는 용량의 음원 데이터로 맞춰서 개발되었기 때문에[51] 상위 호환형 사운드 카드로 업그레이드하면 고사양, 대용량의 음원 데이터를 용량 줄일 필요 없이 음파 크래시 버그 없는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다. 하드웨어 교체이므로 교체 비용을 고려해야 한다.
메인보드가 차세대로 업그레이드된 상태일 경우, 교체된 CPU의 성능이 충분히 높다면 사운드 카드 없이 소프트웨어로 돌리는 것도 불가능하지 않지만[52] 사양이 바뀌므로 이에 맞도록 게임 사운드 엔진의 수정이 필요하다. 이쪽은 하드웨어 교체 비용이 아닌 인건비가 발생할 수밖에 없으므로 비용을 고려해야 하는건 마찬가지이다.

9. 관련 문서


[36] 저장장치의 용량이 충분하면 여러 버전들을 넣어도 된다. 게임을 종료하고 바탕화면으로 나온 후 동글을 교체하고 다른 버전을 실행하면 된다. 다만 키보드 입력이 막히는 Final EX는 제외[37] 칩셋 드라이버를 초기화 시켜서 블루스크린을 방지하는 방법도 있다. 기존의 OS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패치가 가능해지지만 시스템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단점이 있다.[38] 2000, XP, 7등[39] 기존의 하늘배경에 윈도우 로고가 나오는게 아니라 도스창에서 윈도우 98을 시작한다는 텍스트만 나온다. 윈도우 설정파일 수정으로 구현한 것.[40] 지금은 폐업된 목마 오락실에서 구동한 영상으로, 플레이 도중 갑자기 메인화면으로 튕겨버려서 시스템을 재부팅한 시점부터 재생된다. 1st SE를 가지고 있는 몇 안되는 오락실 중 하나였다.[41] 현재 이 영상은 삭제되어 볼 수 없다.[42] 동전을 넣을 때 나오는 애니메이션. 프리 플레이 모드에서는 기본적으로 표시되지 않으나, 일반 모드와 마찬가지로 동전을 넣으면 나온다.[43] 시리즈가 종료된 DJMAX TECHNIKA 시리즈Sabin Sound Star가 대표적이다.[44] H.265는 사실상 어렵다. 이 녀석의 권장 사양은 CPU가 인텔 하스웰 마이크로아키텍처 이후, GPU는 GM206 기반의 지포스 GTX 960, 950, Fiji 기반의 라데온 R9 FURY X, FURY, NANO 이후이지만 저가형 GPU들이 아니므로 저가형 모델까지 지원하는 시리즈는 지포스 10 시리즈(GT 1030), 라데온 RX 500 시리즈(RX 550) 이후부터다. 이 정도로 하드웨어 세대가 넘사벽으로 차이가 나는 것이다.[45] EZ2AC는 초대작부터 현재까지 BMP 기반의 이미지 포맷을 사용중이다. 다만 해당 포맷은 투명도를 지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마스크 텍스처를 만들어서 이미지 밑에 깔아놓는 식으로 투명도를 처리하는데, 그래픽 카드가 교체된 EZ2AC EV부터 일부 요소에 작은 구멍이 생기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는 모양이다.[46] 알파 채널을 통해 투명 효과를 지원하는 R8G8B8A8 형식의 BMP 포맷도 존재하지만 알파 채널이 추가되었기 때문에 용량이 R8G8B8 형식보다 1/3만큼 더 많아지며, 게임 엔진에서 이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지원하도록 수정해야 한다. 용량은 더 많아지지만 무압축이기 때문에 속도면에서는 압축 포맷보다 여전히 더 유리하다.[47] 기판에 12 MHz의 수정 진동자가 장착되어 있어서 24 MHz의 동일 제품을 꽂아도 12 MHz로 동작한다.[48] 보드마다 작동 여부가 다를 수 있으며 컨버터 카드의 인식을 위해 2번 정도의 재부팅을 해야 한다. 잘못 설치된 경우 I/O 카드를 찾을 수 없다는 오류가 뜨거나 코인버그가 발생할 수 있다.[49] NVIDIA 지포스 그래픽 카드를 예로 들자면 지포스 8600 GT 이하 라인, 9500 GT 이하 라인, GT 240 이하 라인, GT 440 이하 라인, GTX 650 이하 라인, GTX 750 Ti 이하 라인, GTX 1050 Ti 이하 라인, GTX 1650 등이 있다. 물론 세대마다 성능이 다르기 때문에 CPU 성능에 맞추는 것이 좋다.[50] 2세대 기판과 동급의 기판으로 가동했던 펌프 잇 업 EXCEED의 연주 화면에서 풀스크린의 640x480 30FPS의 동영상 BGA를 돌릴 수 있었던건 BGM과 키음을 처리해야 하는 EZ2AC와는 달리 BGM만 재생하면 되는 간단한 처리 구조라 가능했던 일이고, 3세대 기판과 동급의 기판이었던 beatmania IIDX 9th style ~ 19 Lincle은 BGA가 640×480의 절반 이하 해상도라서 가능했던 일이라 현행 기판의 성능으로도 640×480 해상도에 풀스크린인 동영상 BGA, BGM, 키음을 동시에 버벅거림 없이 처리하는게 가능했다면 EZ2AC의 게임 엔진 자체가 엄청난 신적화였다는 점 말고는 설명할 길이 없다... 그만큼 더 높은 성능을 요구한다는 것.[51] 7th 1.50 버전부터 사운드 데이터 처리에 관한 개발 자료의 인수인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채 개발되었기 때문에 규격에 맞지 않는 음원 데이터가 포함된 수록곡에서는 음파 크래시 버그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AE부터 7th 1.0 이전까지 수록된 구곡들의 사운드 데이터를 분석한 후 사운드 데이터 처리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다시 작성 해야만 했다.[52] 이제는 메인보드가 자체적으로 5.1채널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고 노이즈 가드를 구현해놨기 때문에 해당 모듈이 고장나거나 하이파이 등 음향 시설 세팅에 예민한 환경을 구축해야 하는 상황 이외에는 사운드카드를 따로 사야 할 일은 없다시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