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和'''화할 화
'''부수
나머지 획수'''

, 5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ワ, (オ)
'''일본어 훈독'''
やわ-らぐ, やわ-らげる, なご-む, なご-やか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hé, hè, hú, huó, huò, huo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용례
2.1. 한자어
2.2. 성어
2.3. 중국어
2.4. 일본어

[clearfix]

1. 개요


어우러진다는 뜻의 한자. 벼()를 나누어 먹는다()는 식으로 생겨난 회의자이다. '벼 화'(禾)와 발음이 같다는 점에서 형성자이기도 하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禾가 붙은 글자치고는 특이하게도 부수가 '禾'가 아닌 '口'이다.
중국어에서는 '그리고'를 뜻하는 등위 접속사로 자주 쓰인다. 발음은 hé(허).[1]
일본에서는 자국을 지칭할 때 '和'(わ, 와)를 자주 사용한다. 가나 , ワ도 和로부터 비롯된 글자이다. 먼나라 이웃나라에서는 일본을 상징하는 사상이 '和'로 정리될 수 있다고 하면서, 이것이 섬나라라는 특성에서 기원한 것일 수 있다고 했다.[2] 오죽하면 '和', '大和'라고 쓰고 '야마토'라고 읽는 독음도 있을 정도이다.[3]
'포화', '중화' 등 물질을 자주 섞는 화학 분야에서 용어로 자주 쓰인다. '-'를 쓰는 단어들도 있고 의미가 사뭇 다를 때도 있다. '수화'(水和/水化)처럼 둘 다 쓸 수 있는 예도 있다.

2. 용례



2.1. 한자어



2.2. 성어



2.3. 중국어



2.4. 일본어


한국어에서 대개 '일-'()을 넣는 단어들이 일본어에서는 '和-'가 된다. '일식'(日食)도 和食인 등.
  • 쇼와(昭和)
  • 레이와(令和)
  • 오란다(和蘭): 한국식으로 '화란'도 간간히 쓰인다. 앞 글자를 줄이면 일본 자국을 줄이는 '和'하고 같은 탓인지 대개 '蘭'으로 줄인다('난학' 등).

2.5. 인명



2.6. 지명


[1] 대만에서는 ㄏㄢˋ(hàn)으로 읽을 때가 많다.[2] 같은 책에서 한국은 ''으로, 중국은 ''로 상징화할 수 있다고 했다.[3] 그래서 스타크래프트 배틀크루저의 '야마토 포'도 중국어로는 大和砲라고 하고 음으로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