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敎'''가르칠 교
'''부수
나머지 획수'''

, 7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일본어 음독'''
キョウ
'''일본어 훈독'''
おし-える, おそ-わる
'''간체자'''

'''표준 중국어 독음'''
jiāo, jiào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반대자

[clearfix]

1. 개요


'''가르칠 교(敎).''' 가르치다, 교육, 본받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훈''': 가르치다
'''음''': 교
'''일본어'''
'''음독''': キョウ
'''훈독''': おし-える, おそ-わる
'''중국어'''
'''표준어''': jiāo
광동어: gaau3
객가어: kâu
민동어: gá
민남어: kà
오어: kau (T2)
'''표준어''': jiào
광동어: gaau3
객가어: kau
민동어: gáu
민남어: kàu
오어: jiau (T2)
'''베트남어'''
giáo
유니코드에선 U+654E, 한자검정시험에선 8급에 배정되어있다.
[image]
(사귈 효), (아들 자), (칠 복) 자를 합하여 만들어진 글자이다. 기본적으로 회의자이나, 爻 자를 성부(聲符)로 보는 시각도 있으며, Zhengzhang Shangfang과 Baxter-Sagart의 상고음 재구에는 이런 시각이 반영되어 있다. 아이를 회초리로 치는 모습에서 '가르치다'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갑골문에서부터 현재까지 자형의 변화는 그렇게 크지 않으나, 갑골문에서는 (배울 학) 자와 비슷하게, 爻 자의 X 부분이 하나만 있는 모양과 두 개 있는 모양이 있고, 子 자가 있는 모양과 없는 모양으로 구별된다.
敎의 이체자로는 教가 있는데, 한국을 제외한 한자문화권에서는 이 자형을 쓰고 있다. 신자체간체자는 물론이고, 정체자구자체에서도 敎가 아닌 教가 표준이다. 한국에서는 서예 등에서 간간이 教가 사용된다. 教의 경우, 유니코드 상에서는 U+6559에 배정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에서는 JDOK(十木人大)로 입력한다.
이 글자는 중국에서는 다음자(多音字)로, 1음절 동사로 '~에게 가르치다'라는 의미로 사용될 때는 위 표에서 전자로 발음하고, 그 외에 2음절 이상의 합성어에서는 후자로 발음된다. 전자의 발음은 敎의 평성음(표준중국어, 객가어)이거나 백독음(민어, 오어)이고, 후자의 발음은 敎의 거성음이거나 문독음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 맹모삼천지교 (孟母三遷之敎)
  • 교외별전 (敎外別傳)
  • 단기지교 (斷機之敎)
  • 교학상장 (敎學相長)
  • 불언지교 (不言之敎)

3.3. 인명/지명/창작물



4. 유의자


  • (가르칠 미)
  • (가르칠 훈)

5. 반대자


  • (익힐 련)
  • (익힐 습)
  • (배울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