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시내버스

 



1. 개요
2. 특징
3. 공영버스
4. 면허 체계
5. 도색
6. 운행차량
7. 운송업체
8. 관련 문서


1. 개요


강원도에서 운영하는 시내버스를 다루는 문서.

2. 특징


과거에는 시.군마다 요금이 들쭉날쭉했으나, 강원도소비자정책위원회가 2018년 하반기 실시한 요금 인상으로 18개 시.군의 기본요금은 성인 기준 현금 1,400원으로 표준화된 상태이다.
여기서 각 시.군별로 거리비례 요금제를 적용하는 곳도 있고, 단일요금제를 적용하는 곳도 있다.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시.군
성인
청소년
어린이
환승
비고
교통카드
현금
교통카드
현금
교통카드
현금
춘천시
1,250원
1,400원
970원
1,120원
550원
700원
40분 이내 2회

원주시
시내, 누리(야간[1])
1,300원
1,400원
1,020원
1,120원
700원
700원
1시간 이내 1~2회[2]
관내(시, 군) 기본요금,
이후 116.14원/km
누리
900원
1,000원
700원
800원
500원
500원
횡성군
1,300원
1,400원
1,020원
1,120원
700원
700원
1시간 이내 1회
강릉시
일반
1,260원
1,400원
1,010원
1,120원
630원
700원
40분 이내 1회[3]
좌석
교통카드 1,800원, 현금 2,000원 청소년 및 어린이 할인 일체 없음.
동해시
1,260원
1,400원
1,010원
1,120원
630원
700원
40분 이내 1회
삼척시
시내
1,260원
1,400원
1,010원
1,120원
630원
700원
60분 이내 1회
좌석
1,860원
2,000원
1,490원
1,600원
930원
1,000원
태백시
시내
1,300원
1,400원
1,040원
1,120원
650원
700원
30분 이내 1회
좌석
1,900원
2,000원
1,520원
1,600원
950원
1,000원
속초시
1,260원
1,400원
1,010원
1,120원
630원
700원
1시간 30분 이내 1회
고성군
-
8km까지 기본요금,
이후 116.14원/km
양양군
정선군
시내
1,300원
1,400원
1,020원
1,100원
650원
700원
30분 이내 1회
좌석
1,700원
1,800원
1,420원
1,500원
1,100원
1,150원
평창군
1,300원
1,400원
1,050원
1,120원
650원
700원
30분 이내 1회
영월군
1,300원
1,400원
1,050원
1,100원
650원
700원
1시간 이내 1~2회[4]
전 구간 단일요금
홍천군
1,330원
1,400원
1,040원
1,100원
660원
700원
30분 이내 1회
철원군
1,280원
1,400원
730원
800원
640원
700원
인제군
900원
1,000원
400원
500원
400원
500원
60분 이내 1회[5]
양구군
1,300원
1,400원
1,040원
1,120원
650원
700원
-
일단 도시지역의 버스 요금은(강릉시, 원주시, 춘천시 세 지역) 2018년 11월 1일 기준으로 성인은 1,400원, 청소년은 1,120원, 초등학생은 700원이다. 여기까진 큰 차이가 없다. 환승도 되고 하니까.
요금 단일화 지역을 제외한 군 지역에서는 성인 기준 8km까지 1,200원, 이후 km당 116.14씩 받고 있다.
장거리 시내버스(농어촌버스)는 시외버스 요금하고 거의 차이가 없다. 단, 횡성군은 2014년 3월 1일부터, 홍천군금강고속, 대한교통은 2014년 3월 24일부터, 현대교통은 2014년 4월 7일부터, 철원군은 2016년 1월 1일부터, 양구군, 인제군은 2019년 3월 1일부터, 영월군은 2019년 7월 1일부터, 화천군은 2019년 9월 9일부터 군내 단일요금을 징수한다. 양양군은 최고 상한선(1,700원)을 넘기면 추가요금은 따로 없다.
실제로 시내버스 주제에 시외버스처럼 두 개 이상의 시, 군을 넘나드는 버스들이 많다. 수도권에서는 서울과 경기도를 오가는 버스가 엄청나게 많은데 강원도라고 이상할 게 없다. 수원시~화성시 및 경상북도 지역에서도 이는 흔하다. 이를테면 홍천군에서 시내버스를 타고 인제군, 원통으로 갈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지역특성상 한 업체가 여러 곳을 담당하기 때문으로, 아래 강원도 시내버스 업체일람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시, 군은 다른 시, 군에서 담당한다.
현재 강원도 내에서 천연가스버스를 운행중인 도시는 춘천(홍천), 원주-횡성, 동해-삼척 정도이다. 강릉시는 수 년 전부터 천연가스버스 도입을 시도했지만, 공영 차고지를 새로 건설하는데 100억원 이상의 예산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버스업체 입장에서도 유가 보조금도 지원받지 못하고 강릉지역 천연가스 비용이 상대적으로 비싸 난색을 표하고 있어 무기한 연기되었다. 대신 강릉시는 도 내에서 최초로 전기버스를 운행 중이다.[6] 홍천군에는 충전소가 있지만 정작 농어촌버스는 천연가스버스가 없고 대신에 금강고속 시외버스 일부가 천연가스버스로 운행하고 있다.
전기버스는 강릉시에서 첫 도입했으며, 춘천시는 2번째로 도입했다. 디피코 본사가 횡성군에 있어서 횡성 명성교통에 전국 최초로 중형 전기저상버스인 HU-SKY를 도입했으며, 춘천시민버스, 삼척 강원여객, 속초 동해상사에서도 도입했다. 정작 강원도 최대 도시인 원주시에서는 아직 전기버스 도입 계획조차 없는 게 함정.
지역마다 사용하는 교통카드가 다른데 이비카드의 적극적인 강원도 시장 공략 때문인지 대다수는 캐시비를 이용 중이며, 티머니는 밀리는 편이다. 2015년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지역에 따라 수도권과는 달리 무료 환승도 되며(고성군, 양구군, 양양군 제외), 강릉시-동해시, 동해시-삼척시 간은 광역 환승도 된다. 교통카드 할인은 성인 기준으로 원주는 100원 할인, 춘천은 150원 할인, 강릉은 10% 할인, 홍천군은 60원 할인, 인제군은 100원 할인이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로 카카오버스에서 18개 '''모든''' 시, 군의 실시간 버스정보를 볼 수 있다. 도 단위에서 경기도 다음으로 산하 모든 시.군의 버스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 선불 버스카드
    • 티머니, 캐시비, 마이비, 한페이, 레일플러스 : 전 지역
      • 캐시비의 전신인 이비카드의 경우, 카드번호가 16자리 숫자 표준형인 신형(티모아)은 캐시비와 같으나, 카드번호 중간에 EBA, EBS, 혹은 EBC로 적힌 구형은 강릉, 동해, 삼척, 춘천, 태백을 제외한 지역에서 사용 불가
    • 하나로카드 : 원주(횡성), 춘천을 제외한 전 지역
  • 과거에 사용했으나 현재는 사용 불가능한 선불 버스카드
    • K-Cash : 원주(횡성), 춘천
    • 유패스 : 강릉, 동해, 삼척, 태백, 원주(횡성)
      • 예전 KEBT제 단말기 시절 A-CASH가 부도나면서 한때 카드번호가 U 또는 S로 시작하는 구형 카드에 한해 유패스 사용이 가능했으나[7], 삼원FA제 마이비 단말기로 바뀐 지금은 구형, 신형 둘 다 사용할 수 없다.
강원도 지역중에 신형 이비 단말기로 교체된 곳은 강릉이랑 원주,횡성이며 나머지는 교체 계획이 없는듯 하다. 춘천시는 새로 도입된 봄봄마을버스(읍면지선) 투입 차량에 한해 신형 단말기가 적용되어 있는데, 향후 기존 차량들까지 신형 단말기가 확대 적용될 지는 아직 미지수.[8]

3. 공영버스


주 52시간제 근로가 확대 시행됨에 따라 각 시.군의 벽지 노선들을 시.군이 직접 운영하는 노선으로 전환하고 있다.
춘천시
마을버스 봄봄
원주시
누리버스
강릉시
마실버스
속초시
속초마을버스
영월군
행복버스
평창군
우리동네 마을버스

4. 면허 체계


한 면허로 여러 지역이 돌려쓰는 경우도 있다.
일부가 다를 수 있다.

5. 도색


[image]
[image]
춘천시 시내버스
(춘천 버스 300)
원주시 시내버스
(원주 버스 2)
[image]
[image]
강릉시 시내버스
(강릉 버스 227)
동해시 시내버스
(동해 버스 132)
[image]
[image]
속초시 시내버스
(속초 버스 9-1)
태백시 시내버스
(태백 버스 1)
[image]
[image]
삼척시 시내버스
(삼척 버스 10-4)
횡성군 농어촌버스
(횡성 버스 10)
[image]
[image]
평창군 농어촌버스
(평창 버스 횡계-알펜시아)
정선군 농어촌버스
(정선 공영버스 4)
대부분의 버스업체들 도색들이 예전엔 다양했었지만,[9][10] 서울의 그것들과 비슷하게 도색되었다.
  • 지역별 도색 목록
    • 강릉 : 솔색 도색(2009년 솔향강릉 도시브랜드 출범으로 현재는 전부 이 도색), 자주색 도색( 솔향강릉 출범과 동시에 나온 좌석버스 시안), 하늘색 도색(친환경 전기버스에 적용하는 도색)
    • 동해 : 하늘색 도색(강릉과 마찬가지로 도시브랜드 출범에 맞춰 변경된 도색, 파도를 표현했다고 한다.)을 사용하지만, 동해상사 차량에 한정하여 강릉시 시내버스와 동일한 솔색 도색으로 출고하고 있다.
    • 원주 : 파란색(서울시 도색)[11]
    • 춘천: 하늘색 바탕 + 노란 띠(간선) / 하늘색 바탕 + 하얀 띠(지선) / 보라색 바탕 + 하얀 띠(마을버스)[12]
    • 강원여객은 지역별로 여러 종류의 다양한 도색을 사용중이다.

6. 운행차량


1970~1990년대 당시 대부분의 지방들이 그랬듯이 대우버스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일부 강릉, 원주, 춘천, 속초, 평창 등에서는 현대버스가 대부분이거나 현대/대우 가 비등비등하게 있기도 하였다. 1990년대 당시 실제로 원주시나 춘천시, 설악산 일대로 가면 현대자동차의 에어로시티520L/에어로시티540L을 많이 볼 수 있었고 2000년대 초반에도 이어져서 슈퍼 에어로시티도 쉽게 접할 수 있었다.
그런데 2000년대 중반부터 강원도 시내버스 대부분 업체들이 자일대우버스만 도입하여 강원도 지역에서 현대 도시형버스 신차를 보기가 어렵게 되었다. 때문에 강원도 여러 업체들 중 2005년~2007년에 나온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전기모델은 원주시 동신운수/태창운수, 홍천군 금강고속/현대교통 이 전부였고, 나머지 지역은 거의 전무하였다.
그러나 2010년도를 전후로 강원여객과 춘천시 대동운수/대한운수, 평창군 평창운수, 강릉시 동진버스 등에서 현대 도시형버스를 다시 도입하기 시작하여, 도시형 버스로서 자일대우버스만 운행하는 업체로는 동해상사가 유일했으나 이쪽도 현대 그린시티를 뽑아서 굴리고 있다. 반대로 양구 현대운수의 카운티가 모두 대차되면서 자일대우상용차만 운행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DNKA (DENSO 풍성) 에어컨을 선호하는 업체가 많다. 다만 춘천시 춘천시민버스, 홍천군/인제군 금강고속, 횡성군 명성교통, 영월군 영월교통은 두원공조 에어컨을 가장 선호한다.

7. 운송업체


시·군을 기준하여 가나다순으로 정렬하였다. 지역특성 상 한 업체가 여러 곳을 담당하는 경우도 있다.

8. 관련 문서


[1] 22시~익일 06시[2] 누리버스 미탑승시 1회, 탑승 시 2회[3] 서로 다른 유형의 노선 환승 시 가장 요금이 높은 유형을 기준으로 부과[4] 영월공영행복버스 미탑승시 1회, 탑승 시 2회[5] 5월 1일부터 시행[6] 경제성 때문에 천연가스버스를 포기한 몇몇 중소 도시들이 전기버스를 먼저 도입한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곳이 강릉시, 아산시, 당진시, 서산시, 정읍시 등이다.[7] 카드번호가 16자리 숫자 표준형으로 된 신형은 이때도 불가능했다.[8] 춘천시민버스 관계자에 따르면, 기존 구형 단말기의 계약기간은 2021년까지라고 하였다. 아마 2021년에 교체할 듯 하다. [9] 2000년대 초중반만 해도 지역별로 여러 도색이 마구 혼재했다.[10] 2000년 무렵까지는 그런대로 통일된 도색을 썼다.[11] 원주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일명 치악산 도색이라고 해서 차량 옆면에 산 무늬를 그려넣은 도색이 있는데 원주에서 사용하던 연두색 + 녹색 이외에 타 지역에서는 파랑색 + 빨강색(화천군), 하늘색 + 파랑색(양구군), 빨강색 + 노랑색(정선군, 현재는 사용하지 않음) 등이 있다. 원주에서는 현재 이 도색이 다 사라지고 파란색으로 통일되었지만 타 지역에서는 여전히 이 도색으로 신차를 출고한다.[12] 본래 원주처럼 파란색 단색 도색에 회색 범퍼 도색이었지만 2019년 하반기에 노선을 싹 다 갈아엎으며 새로운 도색이 적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