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명/지명
※ 이 페이지에 등록되는 것은 '''도시와 지역명'''의 개명을 대상으로 합니다. 교통 시설물(역명, 공항명) 등의 개명은 표시하지 않습니다.
1. 대한민국, 북한
- 읍 승격에 따라 개명을 한 면들 (예: 강외면→오송읍, 정읍면→정주읍[1] , 이담면→동두천읍[2] )
- 기존 이름이 인지도가 낮아 개명을 한 면들 (예: 부용면→부강면[3] , 내사면→양지면, 갈산면→양평면[4] , 도천면→속초면[5] , 중부면→남한산성면)
- 기존 이름이 인지도가 낮아 개명을 한 읍들 (예: 주내읍→파주읍, 실촌읍→곤지암읍, 의창읍→흥해읍)
-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동: 원래 경기도 광주군 구천면 곡교리였으나 서울로 편입되면서 천호동으로 변경되었다.
-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 원래 명칭은 하일동이었다.
- 서울특별시 중랑구 중화동: 원래 경기도 양주군 구리면 중하리였으나 서울로 편입되면서 중화동으로 변경되었다.
- 세종특별자치시: 원래 충청남도 연기군이었으나 행정도시가 들어서면서 2012년 7월 1일 광역자치단체로 승격, 세종특별자치시로 개명하였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상당수 도시들 : 김일성의 우상화 정책에 따라 김일성이 자기랑 친한 사람들이나 가족들의 이름으로 도시명을 마구 바꿔 놓았다. 대표적인 예로 김책시(구 성진시), 김정숙군(구 신파군), 김형직군(구 후창군), 김형권군(구 풍산군)이 있다.
-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한반도면, 무릉도원면: 본래는 하동면, 서면, 수주면이었다.
-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본래는 도암면이었다. 이 과정에서 강릉시가 반발하기도 했다.
-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본래는 이류면이었다. 이류(二流) 와 발음이 같아서 바꾼 것이다. 충주시는 이것으로도 모자라 가금면을 짐승을 뜻하는 단어(家禽)와 같다는 이유로 중앙탑면으로 바꿨다.
-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본래는 고령읍이었다.
- 경상북도 경산시: 고려 시대까지는 장산이었으나 피휘 때문에 바꿨다.
-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원직리: 본래는 하직리였다.
- 대구광역시: 이 쪽은 발음을 그대로 두고 한자만 바꾼 경우. 원래 大丘였던 한자를 大邱로 바꿨다. 이는 공자의 이름자인 丘를 피하기 위해서였다.
- 대구광역시 달서구 호산동: 호산동(虎山洞)의 원래 이름은 파산동(巴山洞)이었는데 2000년 12월 삼성상용차가 설립 5년 만에 퇴출되자 파산동 주민들이 '파산(巴山)'이라는 어감이 마치 망했어요를 의미하는 '파산(破産)' 같다고 달서구청에 동명 변경 신청을 하였고 결국 2005년 4월 동명이 호산동으로 변경되었다.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2018년 7월부터 남구에서 이름을 바꿨다.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2019년 부동면에서 이름을 바꿨다.
-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2019년 남면에서 이름을 바꿨다.
2. 일본
- 泉大津(이즈미오오츠), 泉佐野(이즈미사노), 大阪狭山(오사카사야마) 등 일본의 일부 도시들: 일본에서는 다른 도도부현에 같은 이름을 가진 지명이 있을 때 어떤 지역이 먼저 시로 승격하면 다른 현에 있는 지역이 시로 승격할 때 그 지역의 지명 앞에 율령국의 이름이나 도도부현의 이름을 붙여서 바꾼다. 이즈미오츠의 경우 시 승격 당시 시가현에 오츠시가 이미 있었다는 이유로, 이즈미사노는 토치기 현에 사노시가 있었다는 이유로, 오사카사야마는 사이타마에 사야마시(狭山)가 있었다는 이유로 이렇게 바꾼 듯.
- 미야기현: 본래 센다이 현(仙台県)이었으나 1870년대에 미야기 현(宮城県)으로 고쳤다.
- 아이치현: 본래 나고야 현(名古屋県)이었으나 1870년대에 아이치 현(愛知県)으로 고쳤다.
- 치바현 나라시노시: 시 승격 이전에는 츠다누마(津田沼)였으나 시로 승격되면서 나라시노(習志野)로 바꾸었다.
- 효고현 니시노미야시: 2009년 이전에는 西ノ宮라는 표기를 썼으나 2009년에는 히라가나 발음은 그대로 둔 채 ノ를 빼고 西宮로 바꾸었다.
- 효고현 탄바사사야마시: 2019년 5월 1일 사사야마시에서 이름을 바꾼다.
3. 중국
- 베이징: 중화민국 당시 베이핑(北平)
4. 이란
- 반다르에안잘리: 1925~1979년 사이 반다르에팔라비
- 반다르에에맘호메이니: 1979년까지 반다르샤푸르
- 에슬라마바드-에 가르드: 1979년까지 샤하바드
- 이맘 광장(이스파한): 1979년까지 샤 광장
- 우르미아: 1925~1979년 사이 레자이에
- 케르만샤: 1979~1990년 사이 바크타란
- 사데기에(테헤란): 1979년까지 아리아샤르
5. 유럽 여러 나라
- 노르웨이 오슬로: 1624~1925년 사이 크리스티아니아
- 독일 켐니츠: 1953~1990년 사이 카를마르크스슈타트
- 몬테네그로 체티네: 1946~1992년 사이 티토그라드
- 스페인 페롤(Ferrol): 1938~1982년 사이 페롤델카우디요
- 아일랜드 코브(Cobh) - 1849~1922년 사이 퀸즈타운
6. 소련 및 구소련 여러 나라
- 러시아
- 카자흐스탄
- 누르술탄: 아크몰린스크, 1961~1992년 사이 첼리노그라드, 1992~1998년 사이 아크몰라, 1998~2019년 사이 아스타나
- 타지키스탄
- 두샨베: 1929~1961년 사이 스탈리나바드
- 후잔드 : 1939~1991년 사이 레니나바드
- 키르기스스탄
- 비슈케크: 1926~1991년 사이 프룬제
- 카라콜: 1889~1921년, 1939~1991년 사이 프르제발스크
- 아르메니아 규므리: 쿠마이리에서 1840~1924년 사이 알렉산드로폴, 1924~1990년 사이 레니나칸
- 에스토니아 쿠레사레(Kuressaare): 1952~1988년 사이 킨기세파(Kingissepa)
7. 미국
- 미주리 준주: 1812년 루이지애나가 미국의 주가 되면서 이름을 미주리 준주로 고쳤고, 이는 현재의 미주리 주로 이어진다.
-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주의 도시. 본래 예르바 부에나(Yerba Buena)였으나 미국이 이 지역을 차지하면서 San Francisco로 개명하였다.
- 아칸소 주: 준주 시절 Arkansaw에서 Arkansas로 철자만 하나 고쳤다.
8. 중남미
- 도미니카 공화국 산토도밍고: 1936~1991년까지 시우다드트루히요
- 파라과이 시우다드델에스테 : 19??~1989년까지 푸에르토프레지덴테스트로에스네르(Puerto Presidente Stroessner)
9. 아프리카
- 콩고민주공화국
- 루붐바시 : 엘리자베트빌(Elisabethville/Elisabethstad)에서 고침
- 키상가니: 스탠리빌(Stanleyville/Stanleystad)에서 고침
[1] 현 정읍시 시내 (내장상동 제외). 읍 승격 시 '정읍읍'은 '읍(邑)'자가 중복되어 어색하다 하여 바꾼 것. 1981년 읍 이름 그대로 정주시로 승격되었다가, 1995년 모체인 정읍군과 통합되면서 정읍시로 개칭(환원)되어 현재에 이른다.[2] 현 동두천시. [3] 청원군에서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4] 현 양평읍.[5] 현 속초시. 속초면은 속초읍이 되었다가 속초시로 승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