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1. 개요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1. 개요


물론 윗동네인 대경권보다는 보수성이 약하지만, 그래도 농촌이라서 그런지 보수성이 강하다. 그래도 20% 이상의 민주당계 정당의 고정지지율이 있다. 심지어 합천에서도 말이다. 이는 대경권에서 민주당 계열의 지지세가 그나마 높은 축에 속하는 구미[1], 대구[2], 경산[3], 포항[4]과 비슷한 수준이다. 심지어 이 지역구는 3당 합당 이전에도 민주공화당, 민주정의당계가 PK 맹주이자 민주화 운동 세력의 한 축인 신민당, 신한민주당, 통일민주당을 압도했던 지역구이다. 행정구역상으로 부울경라고는 하지만 실질적인 지역 정체성으로는 대경권에 더 가깝다. 실제로 과거에 해당 지역 수재들도 부산고, 경남고보다는 경북고 등 대구지역 명문고로 더 많이 진학하곤 했다.
참고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의 결과를 보면 아주 재밌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는데, 20대 총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권문상 후보가 합천>거창>산청>함양 순으로 많이 득표를 해서 합천군에서 선전을 한 반면, 19대 대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함양>거창>산청>합천 순으로 득표를 해, 함양에서 선전을 했다. 이는 농촌의 특유의 소지역주의때문인데, 권문상 후보는 합천군 출신이었기 때문이다.[5]
21대 기준으로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소속의 김태호 의원이다.
[image]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관할 구역
산청군 일원[산청], 함양군 일원[함양], 거창군 일원[거창], 합천군 일원[합천]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역대 '''산청군, 함양군, 합천군, 거창군'''의 국회의원
대수
당선자
당적
임기
선거구
제13대
노인환

1988년 5월 30일~1992년 5월 29일
'''산청군·함양군'''
권해옥
'''합천군'''
김동영

1988년 5월 30일~1991년 8월 19일
'''거창군'''
제14대
노인환

1992년 5월 30일~1996년 5월 29일
'''산청군·함양군'''
권해옥
'''합천군'''
이강두

'''거창군'''
제15대
권익현

1996년 5월 30일~2000년 5월 29일
'''산청군·함양군'''
이강두
'''거창군·합천군'''
제16대
김용균

2000년 5월 30일~2004년 5월 29일
'''산청군·합천군'''
이강두
'''함양군·거창군'''
제17대
김영덕
2004년 5월 30일~2008년 5월 29일
의령군·함안군·'''합천군'''
이강두
'''산청군·함양군·거창군'''
제18대
조진래
2008년 5월 30일~2012년 5월 29일
의령군·함안군·'''합천군'''
신성범
'''산청군·함양군·거창군'''
제19대


2012년 5월 30일~2015년 11월 27일
의령군·함안군·'''합천군'''
신성범
2012년 5월 30일~2016년 5월 29일
'''산청군·함양군·거창군'''
제20대
강석진
2016년 5월 30일~2020년 5월 29일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제21대
김태호

2020년 5월 30일~

2.1. 20대 총선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산청군 일원, 함양군 일원, 거창군 일원, 합천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강석진(姜錫振)'''
'''61,475'''
'''1위'''
'''새누리당'''
'''62.67%'''
<color=#373a3c> '''당선'''
'''2'''
권문상(權文相)
25,068
2위
더불어민주당
25.55%
낙선
'''3'''
윤석준(尹錫俊)
6,256
3위
국민의당
6.37%
낙선
'''5'''
김홍업(金洪業)
5,281
4위
무소속
5.38%
낙선
'''계'''
'''선거인 수'''
161,817
'''투표율'''
62.3%
'''투표수'''
100,849
'''무효표수'''
2,769

2.2. 19대 대선


'''정당'''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color=#373a3c> 정의당
격차
투표율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color=#373a3c> 심상정
(1위/2위)
(선거인/표수)
'''거창군'''
'''득표수
(득표율)'''
'''6,561
(27.00%)'''
'''12,544
(51.63%)'''

'''2,753
(11.33%)'''
'''1,196
(4.92%)'''
'''935
(3.84%)'''
'''- 5,983
(▼24.63)'''
'''76.09%'''
거소·선상투표
32.56%
34.88%
22.48%
5.43%
1.55%
▼2.32

관외사전투표
39.17%
32.49%
12.30%
8.17%
7.06%
△6.68

재외투표
'''48.85%'''
6.11%
30.53%
6.87%
6.11%
△18.32

'''합천군'''
'''득표수
(득표율)'''
'''7,143
(21.83%)'''
'''19,699
(60.22%)'''

'''3,077
(9.40%)'''
'''1,317
(4.02%)'''
'''1,065
(3.25%)'''
'''- 12,556
(▼38.38)'''
'''77.00%'''
읍 지역[6]
25.09%
55.98%
9.30%
4.87%
4.23%
▼30.89
77.35
면 지역[7]
18.25%
66.74%
8.53%
2.77%
2.14%
▼48.49
73.45
거소·선상투표
18.68%
54.95%
15.38%
4.40%
1.47%
▼36.27

관외사전투표
34.16%
36.37%
12.39%
9.13%
7.41%
▼2.21

재외투표
43.44%
9.95%
35.29%
4.07%
5.88%
△8.15

'''함양군'''
'''득표수
(득표율)'''
'''7,388
(28.02%)'''
'''13,008
(49.34%)'''

'''3,203
(12.14%)'''
'''1,315
(4.98%)'''
'''1,118
(4.24%)'''
'''- 5,620
(▼21.32)'''
'''76.33%'''
읍 지역[8]
29.09%
47.22%
12.66%
5.61%
4.55%
▼18.13
73.97
면 지역[9]
24.34%
56.10%
11.29%
3.96%
2.75%
▼31.76
74.70
거소·선상투표
36.53%
30.59%
12.79%
5.02%
5.48%
△5.94

관외사전투표
40.19%
27.80%
13.57%
7.78%
10.03%
△12.39

재외투표
'''48.67%'''
12.67%
27.33%
3.33%
8.00%
△21.34

'''산청군'''
'''득표수
(득표율)'''
'''6,561
(27.00%)'''
'''12,544
(51.63%)'''

'''2,753
(11.33%)'''
'''1,196
(4.92%)'''
'''935
(3.84%)'''
'''- 5,983
(▼24.63)'''
'''76.09%'''
거소·선상투표
32.56%
34.88%
22.48%
5.43%
1.55%
▼2.32

관외사전투표
39.17%
32.49%
12.30%
8.17%
7.06%
△6.68

재외투표
'''48.85%'''
6.11%
30.53%
6.87%
6.11%
△18.32

'''거창·합천
·함양·산청'''

'''후보'''
문재인
<colbgcolor=#c9151e> '''홍준표'''
안철수
<color=#373a3c> 유승민
<color=#373a3c> 심상정
격차
투표율
'''합계'''
24.25%
55.75%
10.77%
4.56%
3.48%
▼31.50
74.83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비고
1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32,348
25.78%
2
당선[A]
'''2'''
'''홍준표'''
'''자유한국당'''
'''65,227'''
'''51.97%'''
'''1'''

3
안철수
국민의당
13,956
11.12%
3

4
유승민
바른정당
6,275
5.0%
4

5
심상정
정의당
5,041
4.02%
5

선거인수
163,346[B]
무효표
1,180
투표수
125,499[B]
투표율
76.83%

2.3. 21대 총선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산청군 일원[10], 함양군 일원[11], 거창군 일원[12], 합천군 일원[13]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서필상(徐必尙)
20,698
3위
더불어민주당
17.94%
낙선
'''2'''
강석진(姜錫振)
42,061
2위
미래통합당
36.47%
낙선
'''3'''
김운향(金雲香)
639
7위
민생당
0.55%
낙선
'''7'''
박영주(朴映周)
719
6위
우리공화당
0.62%
낙선
'''8'''
전성기(全成基)
868
5위
민중당
0.75%
낙선[14]
'''9'''
김태영(金泰瑩)
1,231
4위
국가혁명배당금당
1.07%
낙선
'''10'''
'''김태호(金台鎬)'''
'''49,123'''
'''1위'''
'''무소속'''
'''42.59%'''
<color=#373a3c> '''당선'''
'''계'''
'''선거인 수'''
162,074
'''투표율'''
72.6%
'''투표 수'''
117,664
'''무효표 수'''
2,325
미래통합당에서는 거창 출신의 김태호 전 경남지사가 마찬가지로 거창이 고향인 현역 강석진 의원에게 도전장을 내밀었다. 중앙당에서는 김 전 지사에게 험지 출마를 권유한 바 있으나, 본인은 이미 2018년 지방선거 패배로 책임을 다했다고 선을 그었다. 결국, 좀처럼 의견 차가 좁혀지지 않자, 결국 통합당 공관위에서 강석진 의원과 신성범 전 의원의 경선을 통해 후보를 뽑기로 결정하면서 김 전 지사를 컷오프했다. 이에 반발해 김 전 지사는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그로 인해 강석진 후보는 기호 2번, 김태호 후보는 기호 10번을 배정받게 되었다. 두 후보는 여론조사에서 지속적으로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이고 있다.
서부 경남 보수의 아성에 도전하는 더불어민주당에서는 19, 20대 총선에서 연속으로 도전했던 합천 출신의 권문상 지역위원장이 2전 3기를 노릴 가능성이 점쳐졌으나 출마하지 않았고, 서필상 전 전국농협 노조위원장[15]이 단수공천되었다.
민생당에서는 공관위 구성 직후인 3월 20일에 지역위원장인 김운향 후보를 공천하였다.
우리공화당에서는 우리공화당 농축산위원회 공동위원장 박영주 후보를 공천하였다.
민중당에서는 함양군 농민회 회장인 전성기 후보를 공천하였다.
국가혁명배당금당에서는 혁명배당금당 거창지역 위원장인 김태영 후보를 공천하였다.
총 7명의 후보가 총선에 출마하여 경상남도에서 가장 높은 총선 경쟁률을 기록하게 되었고, 동시에 현역인 강석진 후보와 김태호 후보의 박빙승부도 귀추가 주목된다.
사전투표 1일차, 투표율은 산청군 20.4%, 함양군 19.5%, 거창군 18.7%, 합천군 18.96%를 기록하며 전국 투표율 12.14%와 비교하여 한참 상회했다.
사전투표 2일차, 투표율은 산청군 38.45%, 함양군 38.29%, 거창군 36.95%, 합천군 37.28%를 기록하였다.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선거구의 최종 투표율은 72.6%를 기록했다.
최종 결과, 무소속인 김태호경상남도지사의 당선으로 고향에서 재기에 성공했다. 합천에서는 강석진 후보가 김태호 후보를 앞섰으며, 함양에서는 서필상 후보가 20%를 넘게 득표해 선전했다.
여담으로 강석진 후보와 김태호 국회의원은 둘 다 보수이기 때문에 표를 다 합하면 무려 '''79.06%'''라는 엄청난 표를 얻은것이다, 사실상 이 지역구는 보수가 제일 쎈 곳인 셈.[16]
김태호 당선자는 조만간 미래통합당에 복귀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고, 이후 2021년 1월 7일, 미래통합당의 후신인 국민의힘에 복당하였다. 이와 더불어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한 홍준표, 권성동, 윤상현이 모두 복당할 때에는 미래통합당의 후신인 국민의힘의 의석 수가 103석에서 107석이 되는데, 아직까지 이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복당이 된 인물은 권성동과 김태호 뿐이다. 오히려 박덕흠전봉민, 김병욱 등이 논란으로 탈당하면서 의석 수는 더 줄어있는 상태이다.

[1] 구미시 갑, 구미시 을 국회의원 선거구[2] 특히 대구 동구 을, 수성구 갑, 대구 북구 갑, 대구 북구 을, 대구 중구·남구 국회의원 선거구[3] 경산시 국회의원 선거구[4] 포항시 북구, 포항시 남구·울릉군 국회의원 선거구[5] 사실 17대 총선에서 합천이 낀 지역구에서 열린우리당 후보가 40%를 얻은 이유중 하나가 합천군 후보를 출마시켰기 때문이다. [산청] 산청읍, 차황면, 오부면, 생초면, 금서면, 삼장면, 시천면, 단성면, 신등면, 생비량면[함양] 함양읍, 마천면, 휴천면, 유림면, 수동면, 지곡면, 안의면, 서하면, 서상면, 백전면, 병곡면[거창] 거창읍, 주상면, 웅양면, 고제면, 북상면, 위천면, 마리면, 남상면, 남하면, 신원면, 가조면, 가북면[합천] 합천읍, 봉산면, 묘산면, 가야면, 야로면, 율곡면, 초계면, 쌍책면, 덕곡면, 청덕면, 적중면, 대양면, 쌍백면, 삼가면, 가회면, 대병면, 용주면[6] 합천읍[7] 봉산면, 묘산면, 가야면, 야로면, 율곡면, 초계면, 쌍책면, 덕곡면, 청덕면, 적중면, 대양면, 쌍백면, 삼가면, 가회면, 대병면, 용주면[8] 함양읍[9] 마천면, 휴천면, 유림면, 수동면, 지곡면, 안의면, 서하면, 서상면, 백전면, 병곡면[A] 전국 합산 결과[B] A B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합산 결과[10] 산청읍, 차황면, 오부면, 생초면, 금서면, 삼장면, 시천면, 단성면, 신등면, 생비량면[11] 함양읍, 마천면, 휴천면, 유림면, 수동면, 지곡면, 안의면, 서하면, 서상면, 백전면, 병곡면[12] 거창읍, 주상면, 웅양면, 고제면, 북상면, 위천면, 마리면, 남상면, 남하면, 신원면, 가조면, 가북면[13] 합천읍, 봉산면, 묘산면, 가야면, 야로면, 율곡면, 초계면, 쌍책면, 덕곡면, 청덕면, 적중면, 대양면, 쌍백면, 삼가면, 가회면, 대병면, 용주면[14] 민주노총·정의당·민중당·노동당 단일화 후보[15] 2018년 7회 지선에 함양군수로 출마했다 낙선했다.[16] 하지만 무소속을 뽑은 사람들은 둘 다 싫어서 뽑은 것일수도 있기에 진짜 저만큼은 아니다. 4개 지역 중 인구가 많은 거창 출신에 경상남도지사를 역임했던 김태호라 그렇지, 듣보잡 인물이 출마했다면 무조건 강석진 후보가 이기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