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페이/서비스 국가
1. 개요
삼성 페이를 지원하는 국가와 해당 은행 및 카드사, 부가서비스에 대해 정리한 문서.
2. 지원 국가
- 2015년 - 대한민국(8.20) · 미국(9.28)
- 2016년 - 중국(3.29) · 스페인(6.2) · 호주(6.15) · 싱가포르(6.16) · 푸에르토리코(7.13) · 브라질(7.19) · 러시아(9.28) · 캐나다(11.8)
- 2017년 - 태국(2.8) · 말레이시아(2.24) · 인도(3.22) · 스웨덴(4.27) · 아랍에미리트(4.27) · 영국(5.16) · 스위스(5.23) · 대만(5.23) · 홍콩(5.25) · 베트남(9.28) · 벨라루스(11.15)
- 2018년 - 멕시코(1.30) · 이탈리아(3.22) · 프랑스(4.26) · 남아프리카공화국(7.31)
- 2019년 -인도네시아(3.23)
- 2020년 - 카자흐스탄(3.5) · 독일(10.28)[1]
- 미정 - 네덜란드[2] · 일본[3]
3. 대한민국
4. 미국
4.1. 출시 관련
2015년 8월 25일부터 미국 내 베타 테스트 실시[4] , 9월 28일부터 미국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2015년 9월 30일 기준. 버라이즌도 삼성 페이를 지원할 것이라는 소식이 나왔다. 다음 업데이트 때 삼성 페이 서비스를 실시하겠다고 하였다.# 이후 삼성 페이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4.2. 지원 은행
- 미국의 4대 은행
- U.S. Bank
-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글로벌 공통)
- 마스터카드 (글로벌 공통)
- 비자카드 (글로벌 공통)
- JP모건 체이스
- 우리은행 (미국지사)
- 블랙호크 네트워크
- GE 캐피탈 synchrony financial
- UW 크레딧 유니온
- USC 크레딧 유니온
- Discovery Federal Credit Union
- 미국 대형 이동통신사
5. 중국
5.1. 지원 은행/카드사
2015년 12월 8일 삼성전자는 중국의 은련과 협력 크로스 라이센스를 체결하고 중국 시장에 진출했다.
- 알리페이
- 위챗페이[5]
- 중국공상은행
- 중국은행
- 중국건설은행
- 교통은행
- 중신은행
- 중국광대은행
- 화하은행[A]
- 중국민생은행
- 초상은행
- 흥업 은행[A]
- 중국광파은행[A]
- 평안은행
- 베이징 은행
- 발해 은행
- 광저우 은행[A]
- 장쑤 은행[A]
- 닝샤 은행[A]
- 상해 포동 발전은행 (포발은행)[A]
- 시안 은행
- 은주 은행
- 바오딩 은행
- 우루무치 은행
- 충칭농촌상업은행
5.2. 지원 교통카드
2017년 5월 베이징, 상하이 교통카드를 시작으로 교통카드서비스를 시작하였다. 현재 사용가능한 교통카드는 다음과 같다. 단 일부 기종에서는 일부 교통카드 이용이 제한된다.
- 베이징시 北京市政交通一卡通[발급중단]
- 상하이시 上海公共交通卡[호환주의]
- 광둥성 岭南通
- 선전시 深圳通
- 우한시 武汉通
- 허페이시 合肥通[호환주의]
- 샤먼시 厦门e卡通[호환주의]
- 정저우시 绿城通[호환주의]
- 지린성 吉林通[교통연합]
- 장쑤성 江苏交通一卡通(苏州)[교통연합]
- 허베이성 河北交通一卡通[교통연합]
- 징진지 京津冀互联互通卡[교통연합]
- 하얼빈시 哈尔滨城市通[교통연합]
- 시안시 长安通互联互通[교통연합]
- 선양시 盛京通[교통연합]
- 칭다오시 琴岛通[교통연합]
5.3. 기타
카드키 등록 기능을 지원한다(!) NFC를 통해 카드키를 복제해 신용카드 결제하듯 카드를 선택하여 생채인식/PIN 번호로 인증 후 사용하는 방식.
6. 브라질
- Banco do Brasil
- Brasil Pre-Pagos
- 이타우 우니방쿠 (Itaú Unibanco)
- Santander 은행
- CaixaBank
- Banrisul 은행
- Nubank
- Porto Seguro
- Bradesco 은행
- Inter 은행
7. 싱가포르
8. 스페인
2016년 6월 2일 CaixaBank와 협력하여 스페인에서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 CaixaBank
- El Corte Ingles(엘 꼬르떼 잉글레스) 백화점
- Abanca 은행
- ImaginBank 은행
- Sabadell 은행
- 산탄데르 은행
- Openbank 은행
- WiZink 은행
9. 영국
2017년 5월 16일 삼성페이 영국서비스가 정식적으로 런칭되었다.
이와 동시에 교통카드 서비스도 정식 지원한다.
10. 호주
- 시티은행
-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 웨스트팩 은행
- ANZ 은행
- People's Choice
- 시드니 은행
- Australian Unity
- Bendigo Bank
- Big Sky
- Central Coast
- Central Murray
- Catalyst Money
- Illawarra
- Beyond Bank Australia
- Community First
- NBCU
- CUA
- Defence Bank
- Nexus Mutual
- First Option
- Holiday Coast
- Horizon
- Macarthur
- Bank Australia
- Intech
- P&N Bank
- Customs Bank
- Police Bank
- QT Mutual Bank
- Queenslanders
- Select Encompass
- SWSCU
- SCU Banking
- Firefighers Mutual
- Teachers Mutual
- UniBank
- Reliance Bank
- Unity Bank
- WAW
- wecu
11. 캐나다
2016년 11월부터 CIBC 신용카드 한정 Early Access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2017년 11월 기준 스코시아 은행과 ATB 은행 카드들도 삼성페이 지원이 시작되었고 CIBC 데빗카드도 추가 지원하기 시작하였다.
- 스코시아 은행
- CIBC 은행
- ATB 금융
- Royal Bank of Canada
- Tangerine Bank
- Simplii Bank
- Brim Financial
- American Express
12. 러시아
- 시티은행
- 알파 은행
- 상트 페테르부르크 은행
- B&N 은행
- ВТБ24 은행
- MTC 은행
- Открытие 은행 (RoketBank 포함)
- Raiffeisen 은행
- Русский Стандарт 은행
- 스베르방크
- Tinkoff 은행
- Точка 은행
- 얀덱스 머니
13.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삼성페이에서 Galaxy A9 Pro (2016)을 2017년 3월 23일부터 지원하기 시작했다.
14. 태국
- 시티은행
- 방콕은행
- KTC은행
- SCB은행
- 크룽스리은행
- K Bank
- M pay
- UOB 은행
15. 인도
-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 시티은행
- AXIS 은행
- 주택개발 은행(HDFC)
- ICICI 은행
- 인디아스테이트 은행(SBI)
- 스탠다드차타드 은행
16. 스웨덴
17. 홍콩
홍콩교통카드서비스 '''옥토퍼스''''''Octopus''''''八達通'''가 홍콩삼성페이에서 사용이 가능해졌다.
18. 대만
2020년 대만 교통카드중 하나인 이지카드 (悠遊卡)가 삼성페이에서 사용이 가능해졌다
19. 스위스
- 비자카드
- 마스터카드
-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 cornercard
- SWISS BANKERS
- Bonus Card
- ACES swiss card
20. 아랍에미리트
4월말 삼성페이서비스가 런칭되었다. 중동지방최초 삼성페이서비스가 가능해진 나라이기도하다.
- 스탠다드차타드
- 에미리트 NBD
- 아부다비 은행
- 아부다비 이슬람 은행
- 마쉬렉 은행
- RAKBank
21. 푸에르토리코
- Banco Popular
22. 베트남
2017년 9월 13일부터 베타서비스 진행한후 28일부터 정식서비스를 개시하였다.
- 비자카드
- 마스터카드
- Napas
- VietinBank
- Vietcom 은행
- BIDV
- AB 은행
- 신한은행 (베트남지사)
- 우리은행 (베트남지사)
- Sacom 은행
- 시티은행
- AGRIBANK
- SeA 은행
- TP 은행
- SCB
- MARITIME 은행
- FE CREDIT
23. 벨라루스
삼성페이 벨라루스 서비스는 삼성전자 홈페이지를 러시아와 통합 운영하기 때문에 자세한 정보는 삼성페이 러시아에서 확인하면 된다.
24. 멕시코
-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 HSBC
- Ban Regio 은행
- Banorte 은행
25. 이탈리아
한국기준 2018년 3월 22일 이탈리아 서비스가 정식런칭되었다.
26. 프랑스
프랑스에선 갤럭시 S6, S6+ 그리고 노트5는 지원이 제외되었다.
- 마스터카드
- BPCE (Banque Populaire, Caisse d’Epargne 포함)
- Banque de Savoie
- BCP 은행
- Edenred
27. 남아프리카공화국
- absa 은행
- Standard 은행
- Avios
- British Airways
- Virgin Money
28.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경우 간편결제 서비스인 DANA와 협력하여 운영한다. 때문에 지원은행여부는 DANA 홈페이지에서 확인해야한다.
29. 카자흐스탄
2020년 3월 5일 카자흐스탄 서비스가 정식런칭되었다.
30. 쿠웨이트
쿠웨이트 서비스는 아랍에미리트와 같이 운영되며. 지원은행 정보는 삼성페이 아랍에미리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수있다
- 쿠웨이트 국립은행 (NBK)
- 알알리 은행 (ABK)
- 부비얀 은행
- 부르간 은행
31. 독일
- 솔라리스 은행
[1] 관련기사[2] 2016년 중순에 런칭한다는 기사가 떴으나, 2021년 1월 현재도 런칭되지 않고 있다.[3] [image] 일본의 경우 스마트폰 브랜드 명칭인 갤럭시 페이라는 이름으로 진출할 계획이 있다는 소문이 돌았지만, 2019년 2월까지 출시가 진척된 바 없다. 이미 구글페이를 비롯한 간편결제 서비스가 선점하고 있는 상황이고 갤럭시의 점유율이 낮아 진출이 더뎌지고 있는 모양이다. 더군다나 삼성페이의 핵심기능은 MST인데, 원래부터 일본시장에서 신용카드 단말기 보급률이 낮았고, 새로 보급되는 결제단말기도 2020년 의무화되는 IC카드와 NFC 위주로 보급되고 있는 터라 마그네틱 결제는 점차 사장되는 분위기이다. 따라서 삼성페이가 들어올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다.[4] 버라이즌 제외. 강제로 apk를 구해서 설치해도 초기 셋팅조차 불가능하다.[5] 알리페이와 다르게 위챗지갑 화면으로 넘어가는, 즉 사실상 바로가기(...) 기능이다.[A] A B C D E F G H 직불카드는 등록불가[발급중단] 하술 京津冀互联互通卡출시로 단종. 기존 카드는 사용가능.[호환주의] A B C D 上海公共交通卡와 동시발급 불가.[교통연합] A B C D E F G H 교통부(交通部)표준 전국호환 교통카드 규격 교통연합(交通联合)지원[6] VISA 계열 직불카드는 등록불가